HERI 리뷰
[HERI World] 세계 톺아보기 / 3·11 일본 동북부 대지진과 생협

7000678290_20110427.JPG
» 일본생협연합회 및 회원 생협이 3ㆍ11 대지진 후 신속한 지원 활동에 나서고 있다. 일본생협연합회 제공
지금 일본은 대지진, 해일, 원전 사고란 미증유의 재난과 맞닥뜨려 있다. 지난 3월11일에 일본 도호쿠지방에서 발생한 대지진과 해일로 사망자는 1만3705명, 행방불명자는 1만4175명이며 13만7027명이 피난소 생활을 하고 있다. 더욱이 후쿠시마현 제1원자력발전소 사고 수습이 더뎌지면서 수천 구의 유체도 한 달 이상 방치되어 13일부터 방호복으로 무장한 경찰이 겨우 수습을 시작한 상황이다.

일본 사회 전체는 긴급지원과 복구활동에 나서고 있다. 이재민 스스로 서로 돕는 정신과 강인한 인내력으로 버티고 있으며, 일본 최대의 소비자조직이며 전국 조합원이 2500만 가구가 넘는 일본생협연합회(JCCU) 및 회원 생협은 지진 발생 후 30분 만에 대책본부를 마련하고 신속한 지원활동에 나섰다. 맨 먼저 실시한 것은 긴급지원물자 수송으로 재해 당일 야간부터 4월1일까지 보낸 물자수송 트럭 수는 1407대, 지원 물자는 1017만점(JCCU 집계분), 직원 파견인원은 2802명이다.

재해지역에 들어간 생협 직원들은 피난소 취사 활동, 고립지역에 생활물자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판매차량 운행, 지역 주민의 생활 안정을 위한 신속한 생협매장 재건, 조합원 안부 확인 활동에 나섰다. 특히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의 영향으로 생활물자 공급이 부족해진 원전에서 가까운 하마도리 지역의 노인요양홈, 복지시설, 어린이집 등에는 생협이 먼저 연락을 넣어 부족 물자를 파악하여 4월3일까지 시설 403곳에 쌀, 생수, 음료, 채소 등을 공급했다. 의료복지생협연합회는 3월 말까지 의사 109명을 비롯한 529명의 직원을 파견하여 피난소 순회진찰, 가설진료소 설치,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가까운 의료생협의 입원환자 대피를 서둘렀다.

1995년의 한신 대지진 이후 전국의 생협은 대형 재난에 대비해 각 지방자치단체와 ‘재해시 물자제공협정’을 체결했는데 체결 지자체 수는 2010년에 광역지자체 46곳, 기초지자체 310곳에 이른다. 또한 일본생협연합회는 연합회에 납품하는 가공업체 72곳과 ‘지진 등 대규모 재해 발생시 상품의 우선공급에 관한 협정서’를 맺어 긴급지원 생활물자(음료수, 컵라면, 통조림, 휴대용 난방용품, 휴지, 기저귀, 생리대 등 231품목)를 우선적으로 연합회 쪽에 납품하여 재해지역으로 공급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일본생협연합회는 이런 협정을 실제 상황에서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관한 예상연습을 매년 조직적으로 벌여왔기 때문에 이번 재해 때 신속하고 조직적으로 대응할 수 있었다. 한신 대지진 때 전국의 생협에서 달려와 헌신적으로 지역 주민의 생활 안정을 위해 협동의 힘을 발휘했던 경험에서 ‘재해 있는 곳에 생협이!’란 조어가 생겨났다. 당시보다 5배 이상의 피해가 예상되는 이번 재난 속에서 일본의 생협이 발휘하는 협동의 힘은 그 이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김형미 iCOOP생협연합회 국제팀장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헤리리뷰 18호] ‘불편없는 사이버세상’ 만들어요

[HERI Media] 장애인 웹 이용 돕는 사회적기업 웹와치 » ‘불편없는 사이버세상’ 만들어요 인터넷은 몸이 불편한 장애인에겐 ‘우렁각시’ 같은 도우미다. 이를 통해 은행·관공서 일을 보고, 쇼핑과 공부도 하고 세상 돌아가...

  • HERI
  • 2011.06.24
  • 조회수 18728

[헤리리뷰 18호] 디지털이 연 ‘상징정치’ 시대…피할 수 없다면 즐겨라

[HERI World] 해외칼럼/ 디지털 미디어와 민주주의 » 프랭크 웹스터 영국 런던 시티대 사회학 교수 이집트에서 보여준 인터넷 위력의 이면 이집트를 비롯한 북부 아프리카에서 펼쳐지고 있는 인터넷 혁명에 대해 여러 가지 견...

  • HERI
  • 2011.06.24
  • 조회수 17904

[헤리리뷰 18호] 성별 균형과 인권 보호 요구 거세진다

지속가능경영 표준화의 흐름 » 전민구 CSR 컨설팅기관 투투모로우 아시아 이사 많은 한국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살펴보면 여전히 지속가능경영 보고와 홍보 브로슈어의 차이점을 인식하지 못하는 모습이다. 이러한 근시...

  • HERI
  • 2011.06.24
  • 조회수 16414

[헤리리뷰 18호] 정부보다 발빠른 지원 ‘재해있는 곳에 생협있네’

[HERI World] 세계 톺아보기 / 3·11 일본 동북부 대지진과 생협 » 일본생협연합회 및 회원 생협이 3ㆍ11 대지진 후 신속한 지원 활동에 나서고 있다. 일본생협연합회 제공 지금 일본은 대지진, 해일, 원전 사고란 미증유의 ...

  • HERI
  • 2011.06.24
  • 조회수 27284

[헤리리뷰 18호] “모든 이해관계자에 최고의 가치 줘야 좋은 회사”

[HERI가 만난 사람] 권오철 하이닉스반도체 사장 » 권오철 하이닉스반도체 사장이 기업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만족을 주는 협업체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하이닉스반도체는 시련을 많이 겪은 기업...

  • HERI
  • 2011.06.24
  • 조회수 12014

[헤리리뷰 17호] 디지털 위험사회 해소로 가는 패스워드 사·회·책·임·경·영

[헤리리뷰] 스페셜 리포트|디지털 위험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 디지털 위험사회 해소로 가는 패스워드 사·회·책·임·경·영 ‘리니지’로 유명한 게임업체 엔씨소프트(NC Soft)가 프로야구단을 창단하기로 한 것은 물론 창업자 김택...

  • HERI
  • 2011.06.24
  • 조회수 13604

[헤리리뷰 17호] 전방위 걸쳐 체감…인터넷서비스업체 책임 첫손 꼽아

[헤리리뷰] 스페셜 리포트|디지털 위험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 디지털 위험 인식 조사 결과 분석 독일의 사회학자 울리히 벡은 현대를 ‘위험사회’(risk society)라 정의했다. 과학기술과 전문가 시스템이 눈에 보이지 않는 불안...

  • HERI
  • 2011.06.24
  • 조회수 17281

[헤리리뷰 17호] IT 활용능력은 키워주고 역기능은 차단한다

[헤리리뷰] 스페셜 리포트|디지털 위험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 다음커뮤니케이션이 세운 베트남 지구촌 희망학교에서 휴가 중 봉사활동을 온 직원들이 학생들과 즐겁게 어울리고 있다. 다음커뮤니케이션 제공 디지털 미디어 기업의...

  • HERI
  • 2011.06.24
  • 조회수 14395

[헤리리뷰 17호] 개인정보 유출 피해 여전…스팸문자·디지털중독도 심각

[헤리리뷰] 스페셜 리포트|디지털 위험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사그라지지 않는 소비자 불만들 디지털 미디어 기업들이 나름대로 노력하고 있지만 역기능을 관리하는 데 여전히 미흡하다는 평가가 나오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

  • HERI
  • 2011.06.24
  • 조회수 13817

[헤리리뷰 17호] 이윤과 책임 충돌 딜레마…사회적 합의점 찾아가야

[헤리리뷰] 스페셜 리포트|디지털 위험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 왼쪽부터 한세희, 김영주, 구본권, 최희원, 김갑수. 디지털 기술은 순기능과 역기능이 동전 앞뒷면처럼 밀접히 연관된 경우가 많다. 또 정부의 규제만으로 디지털 ...

  • HERI
  • 2011.06.24
  • 조회수 14757

[헤리리뷰 17호] 디지털 소비자는 프로슈머…활용 넘어 책임도 고민해야

[헤리리뷰] 스페셜 리포트 디지털 위험을 관리하는 것은 정부나 기업의 노력만으로 되지 않는다. 개인도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현명하게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한겨레경제연구소 디지털 위험 관련 ...

  • HERI
  • 2011.06.24
  • 조회수 17435

[헤리리뷰 17호] 위기의 농업 이렇게 살리자

[헤리리뷰] 녹색생활|전문가 제언 » 김효석 국회의원(민주당) 개방으로 입은 손실 보전방안 있어야 김효석 국회의원(민주당)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분석 결과를 보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연평균 8700억원, 한-유럽연합(EU) 에프...

  • HERI
  • 2011.06.24
  • 조회수 11689

[헤리리뷰 17호] 민주적 협동 원리로 지속적 혁신…위기 타개 앞장

[헤리리뷰] HERI포커스|영국 협동조합 탐방기 » 영국 최대 협동조합인 코오퍼러티브 그룹의 맨체스터 시내 소매점포 내부. 성공회대 대학원 협동조합경영학과가 2월7~14일 영국 협동조합 탐방 연수를 다녀왔다. 정치·경제적으로 변...

  • HERI
  • 2011.06.24
  • 조회수 13978

[헤리리뷰 17호] 조합 가치 되살리니 떠났던 소비자 돌아왔다

[헤리리뷰] HERI포커스|영국 유통업 5위 올라선 코오퍼러티브 그룹 코오퍼러티브 그룹이 영국 협동조합 부활의 신호탄을 쏘았다. 1980년대 중반 이후 시민들의 생활패턴 변화와 유통시스템 개선으로 협동조합은 대형 유통업체에 ...

  • HERI
  • 2011.06.24
  • 조회수 14167

[헤리리뷰 17호] “비난 듣더라도 장기적 관점에서 사회책임경영 해야”

[헤리리뷰] HERI가 만난 사람|주강수 한국가스공사 사장 » 주강수 한국가스공사 사장은 자원기업의 책임자는 긴 안목의 경영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진수 기자jsk@hani.co.kr “영어 단어 ‘exploitation’(엑스플로이테이션)은...

  • HERI
  • 2011.06.24
  • 조회수 11383

[헤리리뷰 17호] 사람은 사회적기업의 전부…분명한 동기 부여를

[헤리리뷰] 헤리 지상컨설팅 Q 성과도 내고 직장 분위기도 즐겁게 하려면 저소득층의 고용 창출을 위해 사회적기업을 만들어 운영하고 있습니다. 역량 있는 직원을 구하기가 쉽지 않고, 게다가 기존 직원들도 기업의 정체성에 ...

  • HERI
  • 2011.06.24
  • 조회수 17203

[헤리리뷰 17호] ‘싱크탱크 네트워크’가 뜬다…특정주제 넘어 분야별 협력도

[헤리리뷰] HERI싱크탱크|새로운 도약 예고하는 한국 싱크탱크 생태계 » 한국 싱크탱크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 (※ 클릭하시면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에선 한참 훗날의 일처럼 여겨졌던 정치권의 ‘복지논쟁’, ‘세...

  • HERI
  • 2011.06.24
  • 조회수 15897

[헤리리뷰 17호] 정당·사회단체·언론과 연결…영향력 극대화

[헤리리뷰] HERI싱크탱크|미국 싱크탱크들의 연대와 협력 » 미국 싱크탱크들의 역할과 협력 유형 미국 싱크탱크들은 다양한 형태의 연대와 협력을 도모하고 있다. 대표적인 협동연구 프로젝트인 브루킹스연구소의 ‘해밀턴 프로젝...

  • HERI
  • 2011.06.24
  • 조회수 13982

[헤리리뷰 17호] 이젠 균형 성장으로…역내 협력·인적자원 개발 집중해야

[헤리리뷰] HERI월드|글로벌 위기 벗어난 아세안의 갈 길 » 비다야크 다스언론인·정치평론가 비다야크 다스언론인·정치평론가 비다야크 다스는 시민사회운동이 정치와 정책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현재 방콕에서...

  • HERI
  • 2011.06.24
  • 조회수 14957

[헤리리뷰 16호] 아시아의 눈으로 ‘동아시아 30’ 찾아내다

[헤리리뷰] ‘2010 한국 CSR’ 한·중·일 공동 사회책임경영 평가모델 첫 결실 » 사회책임경영 한중일 국가별 30대 기업 (가나다순) / (※클릭하시면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10년 8월21일 토요일, 한국·중국·일본 사회책임...

  • HERI
  • 2011.06.24
  • 조회수 39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