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리뷰
[헤리리뷰] HERI포커스|영국 협동조합 탐방기

00384389101_20110308.JPG
» 영국 최대 협동조합인 코오퍼러티브 그룹의 맨체스터 시내 소매점포 내부.
성공회대 대학원 협동조합경영학과가 2월7~14일 영국 협동조합 탐방 연수를 다녀왔다. 정치·경제적으로 변화와 위기를 맞은 영국이 오래된 아이디어인 ‘협동조합’에 주목하고 있는 현황을 소개하고 시사점을 제시한다.(편집자)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영국 사회는 정치·경제적으로 새로운 변화와 위기에 직면해 있다. 경제적으로 2010년 현재, 영국 정부의 재정적자 규모는 국내총생산(GDP)의 62% 수준에 이르고, 실업자 수는 250만명이 넘는다. 전체 경제인구의 8%가 실업 상태이다.

보수당 정부가 선택한 ‘큰 사회’

정치적으로는 2010년 정권교체가 있었다. 보수당과 자유민주당 연립정부는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재정지출을 대폭 삭감하는 대신, 세금을 올리고 있다. 동시에 민간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전략과 비전이 그 어느 때보다 간절한 시기다.

이러한 변화와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보수당 정부가 선택한 것이 있다. 바로 협동조합(co-operative)이다. 최근 영국 보수당 연립정부는 ‘큰 사회’(Big Society)를 전면에 내세워 공공서비스 영역을 협동조합 원리로 해결하려고 한다. ‘큰 사회’는 일반 시민과 지역사회가 중앙정부로부터 권력을 가져와 더 큰 세력을 만들고, 시민 개인과 지역사회 문제, 주택과 학교교육 등의 문제를 직접 해결할 수 있는 능력과 역량을 갖추는 사회를 가리킨다. 그 중심엔 시민의 협동 원리가 있다. 공공서비스를 협동조합 방식의 서비스로 대체하겠다는 뜻이다.

결과적으로 노동당 정부가 사회적기업 등을 동원해 추진했던 사회서비스 정책을 보수당 연립정부는 160년 전 영국 산업혁명 시기에 사회경제 문제 해결을 위해 등장했던 협동조합이라는 오래된 아이디어를 동원해 실천하려는 셈이다. 소비자와 노동자의 자조·자립이야말로 금융위기 극복을 위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는 판단을 한 것이다.


19세기 산업혁명 와중에 시작

협동조합을 간단히 정의하면 조합원이 소유하고, 조합원을 위해 일하고, 조합원은 동등한 권리를 갖고, 이익은 조합원들이 나누어 갖는 조직을 뜻한다. 따라서 협동조합의 가치는 민주, 평등, 자조, 책임, 공정, 연대이다. 이러한 정신을 바탕으로 영국 협동조합은 19세기 산업혁명의 파고 속에서 영국 북서부에서 시작했다. 1844년 영국 맨체스터 북쪽에 있는 로치데일에서 출발한 영국 소비자협동조합은 지금까지도 영국 협동조합의 역사를 대변한다. 이러한 역사적 뿌리를 기반으로 발전한 영국의 가장 큰 협동조합 코오퍼러티브 그룹(The Co-operative Group)과 영국협동조합연합회(Co-operatives UK)도 맨체스터에 자리잡고 있다.


129954403786_20110309.JPG
» 영국 협동조합기업과 전체경제 연도별 비교

영국에서 협동조합은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협동조합보다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협동조합기업’이란 용어가 이를 잘 보여준다. 한국에서 사회적기업이란 용어를 아는 사람들은 많지만, 협동조합에 기업이란 용어를 붙이는 것은 생소하다. 협동조합기업과 사회적기업의 차이는 분명하다. 협동조합은 조합원이 소유하는 사업체이며, 사회적기업과 달리 이미 1800년대부터 협동조합이 추구하는 가치가 세계적으로 공유되고 있었다. 국제협동조합연맹(ICA)에서 정의한 일곱 가지 원칙이 그것이다.


“인간중심 비즈니스가 특징”

이에 대해 협동조합의 역사와 전세계 다양한 협동조합을 연구해 온 스털링대학의 존스턴 버철 교수는 “협동조합은 일반 영리기업은 물론이거니와 사회적기업과도 명백히 다르다. 협동조합과 같이 조합원이 소유한 다양한 사업체(Member-Owned Businesses)는 투자자(주주)가 소유한 기업과 달리, 인간중심 비즈니스가 특징”이라고 그 차이점을 강조했다.


금융위기에도 두자릿수 성장

오늘날 영국 협동조합은 비영리단체로만이 아니라, 중요한 경제주체인 기업처럼 다양성을 갖고 진화하는 과정에 있다. 영국협동조합연합회의 2010년도 보고서를 보면, 2010년 현재 영국에는 모두 4992개의 협동조합기업이 있다. 이 기업에 소속된 조합원은 1290만명에 이른다. 매출 규모는 335억파운드(60조원)이며, 종업원 수는 23만7800명 안팎이다. 협동조합기업의 규모는 영국 전체 유통업체 가운데 5위의 규모를 자랑하는 코오퍼러티브 그룹부터 중소규모 협동조합까지 매우 다양하다. 영국의 유명 백화점인 존 루이스(John Lewis Partnership PLC)처럼 종업원 소유 주식회사도 협동조합기업에 포함된다. 업종 면에서도 유통, 금융 서비스부터 농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협동조합기업들이 활동하고 있다.


129954403762_20110309.JPG
» 코오퍼러티브 그룹 지배구조
이러한 다양성을 바탕으로 영국 협동조합기업은 2007년 이후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특히 2008년 시작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두 자릿수 이상의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영국 국내총생산 성장률이 뒷걸음질치고 있는 것과 상반되는 모습이다.

그렇다면 영국 협동조합기업들이 성장하고 있는 원인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첫째, 새로운 유형의 협동조합이 지속적으로 출현하고 있다. 학교와 같은 공공서비스에서, 그리고 디자인이나 예술 같은 창조산업에서의 창조협동조합이 등장하고, 대체에너지를 제공하는 협동조합도 나오고 있다.

둘째, 역사적으로 보면 협동조합은 최저임금, 공정무역, 윤리적 소비 등 혁신적 시도를 활발히 했고 지금도 계속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혁신을 나중에 영리기업들이 적극 차용하고 활용하면서 협동조합의 가치가 사회 전체의 변화를 선도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셋째, 협동조합 스스로 지속적인 혁신을 꾀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인수합병을 통해 적극적인 성장 경로를 찾아내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2009년에만 하더라도 코오퍼러티브 그룹이 경쟁 소매유통업체인 소머필드와 금융기관 브리타니아를 인수했다.

영국 협동조합의 사례는 한국 협동조합에 적지 않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먼저, 지배구조가 민주적이라는 점이다. 영국 협동조합의 지배구조는 조합원을 중심으로 한 민주적인 의사결정 구조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이는 협동조합기업의 연합체, 즉 그룹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 협동조합기업에서도 마찬가지다. 코오퍼러티브 그룹에서 개인 조합원은 지역위원회의 대표를 뽑고, 지역위원회에서는 지방권역 이사회 대표를 선출하고, 그들이 전국 이사회의 이사를 선출하는 방식이다.

다음으로, 협동조합에 대한 법적 규제가 적은 편이라는 점이다. 즉, 영국에는 협동조합만을 특별히 규율하는 법률이 따로 없다. 법적 규제가 적기 때문에 협동조합도 일반 기업체처럼 유통, 금융, 여행, 장례, 자동차 판매, 토지 개발, 농업 등 다양한 사업체를 운영할 수 있다. 이러한 민주적 지배구조와 다양한 사업체를 가진 협동조합이 영국 협동조합의 밝은 미래를 담보할 것으로 보인다. 


글·사진 장승권 성공회대 경영학부·대학원 협동조합경영학과 교수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헤리리뷰 18호] ‘불편없는 사이버세상’ 만들어요

[HERI Media] 장애인 웹 이용 돕는 사회적기업 웹와치 » ‘불편없는 사이버세상’ 만들어요 인터넷은 몸이 불편한 장애인에겐 ‘우렁각시’ 같은 도우미다. 이를 통해 은행·관공서 일을 보고, 쇼핑과 공부도 하고 세상 돌아가...

  • HERI
  • 2011.06.24
  • 조회수 18743

[헤리리뷰 18호] 디지털이 연 ‘상징정치’ 시대…피할 수 없다면 즐겨라

[HERI World] 해외칼럼/ 디지털 미디어와 민주주의 » 프랭크 웹스터 영국 런던 시티대 사회학 교수 이집트에서 보여준 인터넷 위력의 이면 이집트를 비롯한 북부 아프리카에서 펼쳐지고 있는 인터넷 혁명에 대해 여러 가지 견...

  • HERI
  • 2011.06.24
  • 조회수 17919

[헤리리뷰 18호] 성별 균형과 인권 보호 요구 거세진다

지속가능경영 표준화의 흐름 » 전민구 CSR 컨설팅기관 투투모로우 아시아 이사 많은 한국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살펴보면 여전히 지속가능경영 보고와 홍보 브로슈어의 차이점을 인식하지 못하는 모습이다. 이러한 근시...

  • HERI
  • 2011.06.24
  • 조회수 16427

[헤리리뷰 18호] 정부보다 발빠른 지원 ‘재해있는 곳에 생협있네’

[HERI World] 세계 톺아보기 / 3·11 일본 동북부 대지진과 생협 » 일본생협연합회 및 회원 생협이 3ㆍ11 대지진 후 신속한 지원 활동에 나서고 있다. 일본생협연합회 제공 지금 일본은 대지진, 해일, 원전 사고란 미증유의 ...

  • HERI
  • 2011.06.24
  • 조회수 27293

[헤리리뷰 18호] “모든 이해관계자에 최고의 가치 줘야 좋은 회사”

[HERI가 만난 사람] 권오철 하이닉스반도체 사장 » 권오철 하이닉스반도체 사장이 기업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만족을 주는 협업체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하이닉스반도체는 시련을 많이 겪은 기업...

  • HERI
  • 2011.06.24
  • 조회수 12022

[헤리리뷰 17호] 디지털 위험사회 해소로 가는 패스워드 사·회·책·임·경·영

[헤리리뷰] 스페셜 리포트|디지털 위험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 디지털 위험사회 해소로 가는 패스워드 사·회·책·임·경·영 ‘리니지’로 유명한 게임업체 엔씨소프트(NC Soft)가 프로야구단을 창단하기로 한 것은 물론 창업자 김택...

  • HERI
  • 2011.06.24
  • 조회수 13615

[헤리리뷰 17호] 전방위 걸쳐 체감…인터넷서비스업체 책임 첫손 꼽아

[헤리리뷰] 스페셜 리포트|디지털 위험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 디지털 위험 인식 조사 결과 분석 독일의 사회학자 울리히 벡은 현대를 ‘위험사회’(risk society)라 정의했다. 과학기술과 전문가 시스템이 눈에 보이지 않는 불안...

  • HERI
  • 2011.06.24
  • 조회수 17291

[헤리리뷰 17호] IT 활용능력은 키워주고 역기능은 차단한다

[헤리리뷰] 스페셜 리포트|디지털 위험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 다음커뮤니케이션이 세운 베트남 지구촌 희망학교에서 휴가 중 봉사활동을 온 직원들이 학생들과 즐겁게 어울리고 있다. 다음커뮤니케이션 제공 디지털 미디어 기업의...

  • HERI
  • 2011.06.24
  • 조회수 14405

[헤리리뷰 17호] 개인정보 유출 피해 여전…스팸문자·디지털중독도 심각

[헤리리뷰] 스페셜 리포트|디지털 위험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사그라지지 않는 소비자 불만들 디지털 미디어 기업들이 나름대로 노력하고 있지만 역기능을 관리하는 데 여전히 미흡하다는 평가가 나오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

  • HERI
  • 2011.06.24
  • 조회수 13825

[헤리리뷰 17호] 이윤과 책임 충돌 딜레마…사회적 합의점 찾아가야

[헤리리뷰] 스페셜 리포트|디지털 위험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 왼쪽부터 한세희, 김영주, 구본권, 최희원, 김갑수. 디지털 기술은 순기능과 역기능이 동전 앞뒷면처럼 밀접히 연관된 경우가 많다. 또 정부의 규제만으로 디지털 ...

  • HERI
  • 2011.06.24
  • 조회수 14768

[헤리리뷰 17호] 디지털 소비자는 프로슈머…활용 넘어 책임도 고민해야

[헤리리뷰] 스페셜 리포트 디지털 위험을 관리하는 것은 정부나 기업의 노력만으로 되지 않는다. 개인도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현명하게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한겨레경제연구소 디지털 위험 관련 ...

  • HERI
  • 2011.06.24
  • 조회수 17454

[헤리리뷰 17호] 위기의 농업 이렇게 살리자

[헤리리뷰] 녹색생활|전문가 제언 » 김효석 국회의원(민주당) 개방으로 입은 손실 보전방안 있어야 김효석 국회의원(민주당)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분석 결과를 보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연평균 8700억원, 한-유럽연합(EU) 에프...

  • HERI
  • 2011.06.24
  • 조회수 11695

[헤리리뷰 17호] 민주적 협동 원리로 지속적 혁신…위기 타개 앞장

[헤리리뷰] HERI포커스|영국 협동조합 탐방기 » 영국 최대 협동조합인 코오퍼러티브 그룹의 맨체스터 시내 소매점포 내부. 성공회대 대학원 협동조합경영학과가 2월7~14일 영국 협동조합 탐방 연수를 다녀왔다. 정치·경제적으로 변...

  • HERI
  • 2011.06.24
  • 조회수 14007

[헤리리뷰 17호] 조합 가치 되살리니 떠났던 소비자 돌아왔다

[헤리리뷰] HERI포커스|영국 유통업 5위 올라선 코오퍼러티브 그룹 코오퍼러티브 그룹이 영국 협동조합 부활의 신호탄을 쏘았다. 1980년대 중반 이후 시민들의 생활패턴 변화와 유통시스템 개선으로 협동조합은 대형 유통업체에 ...

  • HERI
  • 2011.06.24
  • 조회수 14175

[헤리리뷰 17호] “비난 듣더라도 장기적 관점에서 사회책임경영 해야”

[헤리리뷰] HERI가 만난 사람|주강수 한국가스공사 사장 » 주강수 한국가스공사 사장은 자원기업의 책임자는 긴 안목의 경영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진수 기자jsk@hani.co.kr “영어 단어 ‘exploitation’(엑스플로이테이션)은...

  • HERI
  • 2011.06.24
  • 조회수 11385

[헤리리뷰 17호] 사람은 사회적기업의 전부…분명한 동기 부여를

[헤리리뷰] 헤리 지상컨설팅 Q 성과도 내고 직장 분위기도 즐겁게 하려면 저소득층의 고용 창출을 위해 사회적기업을 만들어 운영하고 있습니다. 역량 있는 직원을 구하기가 쉽지 않고, 게다가 기존 직원들도 기업의 정체성에 ...

  • HERI
  • 2011.06.24
  • 조회수 17221

[헤리리뷰 17호] ‘싱크탱크 네트워크’가 뜬다…특정주제 넘어 분야별 협력도

[헤리리뷰] HERI싱크탱크|새로운 도약 예고하는 한국 싱크탱크 생태계 » 한국 싱크탱크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 (※ 클릭하시면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에선 한참 훗날의 일처럼 여겨졌던 정치권의 ‘복지논쟁’, ‘세...

  • HERI
  • 2011.06.24
  • 조회수 15906

[헤리리뷰 17호] 정당·사회단체·언론과 연결…영향력 극대화

[헤리리뷰] HERI싱크탱크|미국 싱크탱크들의 연대와 협력 » 미국 싱크탱크들의 역할과 협력 유형 미국 싱크탱크들은 다양한 형태의 연대와 협력을 도모하고 있다. 대표적인 협동연구 프로젝트인 브루킹스연구소의 ‘해밀턴 프로젝...

  • HERI
  • 2011.06.24
  • 조회수 13998

[헤리리뷰 17호] 이젠 균형 성장으로…역내 협력·인적자원 개발 집중해야

[헤리리뷰] HERI월드|글로벌 위기 벗어난 아세안의 갈 길 » 비다야크 다스언론인·정치평론가 비다야크 다스언론인·정치평론가 비다야크 다스는 시민사회운동이 정치와 정책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현재 방콕에서...

  • HERI
  • 2011.06.24
  • 조회수 14972

[헤리리뷰 16호] 아시아의 눈으로 ‘동아시아 30’ 찾아내다

[헤리리뷰] ‘2010 한국 CSR’ 한·중·일 공동 사회책임경영 평가모델 첫 결실 » 사회책임경영 한중일 국가별 30대 기업 (가나다순) / (※클릭하시면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10년 8월21일 토요일, 한국·중국·일본 사회책임...

  • HERI
  • 2011.06.24
  • 조회수 39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