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리뷰
[헤리리뷰] HERI싱크탱크|미국 싱크탱크들의 연대와 협력


47512257699_20110308.JPG
» 미국 싱크탱크들의 역할과 협력 유형
미국 싱크탱크들은 다양한 형태의 연대와 협력을 도모하고 있다. 대표적인 협동연구 프로젝트인 브루킹스연구소의 ‘해밀턴 프로젝트’가 최근 재가동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로버트 루빈 등 과거 클린턴 행정부의 주요 인사들이 중심이 되어 2006년에 시작되었다. 프로젝트에 참가한 전문가들은 부시 행정부의 경제정책을 비판하고, 정부의 올바른 역할과 책임을 강조하며 미국 경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제안했다.

민주당 재집권 전략의 하나로 받아들여지기도 했던 해밀턴 프로젝트였지만, 2008년 대선에서 민주당 버락 오바마 후보가 승리한 이후 오히려 소강상태로 접어들었다. 프로젝트의 주요 멤버들이 오바마 행정부로 직접 참여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2010년 4월, 오바마 대통령의 첫 백악관 수석 경제보좌관을 지냈던 마이클 그린스톤이 프로젝트 책임자를 맡으며 활기를 되찾고 있다. 그러다 보니 오바마의 경제정책들이 최근 보수화되고 있는 것이, ‘기업친화적’ 성향이 강한 해밀턴 프로젝트 부활과 맞물려 있다는 미국 진보진영의 비판도 벌써 제기되고 있다.

해밀턴 프로젝트가 미국 경제에 대한 중장기 전망과 일정으로 진행된 대규모 협동연구 프로젝트였다면, 2008년 대통령 선거 당시의 ‘기회 08’(Opportunity ’08)은 전형적인 대선용 프로젝트였다. 미국 <에이비시>(ABC) 방송과 공동으로 기획되었고, 브루킹스연구소 연구원만이 아니라 다른 싱크탱크 소속 연구자들도 대규모로 참여했다. 또한 그동안 브루킹스연구소가 해 오던 전통적 방식(두꺼운 단행본 출판)을 넘어, 진행 과정을 방송과 누리집, 동영상, 지역 토론회 등을 통해 공개하고, 대중들과 적극적으로 공유하려 했다.

당시 이 프로젝트를 총괄했던 마이클 오핸런 연구위원은 “‘기회 08’은 브루킹스 역사상 가장 큰 프로젝트이고, 민주당 후보의 정책 의제 선정에 우선적으로 개입하고자 하는 의도가 크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2008년 미국대선을 대비하는 과정에서 진보 진영 싱크탱크들의 협력은 훨씬 다양했고, 비교적 긴 호흡으로 진행됐다. 2006년 처음 열린 ‘진보 진영 원탁회의’(Progressive Roundtable)에는 50개 이상의 사회운동조직과 싱크탱크들이 참여해 17개 진보 의제를 함께 선정했다. 2007년 12월에는 25개 진보 싱크탱크 대표들이 모여 ‘진보적 아이디어 네트워크’(Progressive Ideas Network)를 결성하고, 다음 정권 인수위원회에 제출할 ‘이행 프로젝트’ 운영을 결정했다. 그리고 1년 뒤, 이들은 오바마 행정부 인수위원회에 ‘크게 생각하기: 새로운 시대의 진보적 아이디어’라는 무게 있는 보고서를 제출했다. 이 과정에서 작지만 뛰어난 ‘네트워크 코디네이터’ 역할을 수행했던 싱크탱크가 샌프란시스코의 코먼윌연구소였다.

그러나 미국 싱크탱크들의 협력과 연대는 보수진영 싱크탱크들에서 더욱 일찍부터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미국 전역을 종횡으로 잇는 보수 싱크탱크들의 협력 구조 중심에 헤리티지재단이 있다.

헤리티지재단은 매년 전국 각지로부터 수백명의 보수 싱크탱크 대표들과 사회운동가, 공익변호사, 블로거, 기부자, 선출직 공무원들을 워싱턴 디시로 초청하거나 특정 지역으로 모아, 보수적 가치와 정책에 대한 정보 제공과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공들이고 있다. 자신이 가진 엄청난 ‘자원’과 ‘영향력’을 전국의 보수 싱크탱크들과 나누고 있는 것이다.

‘자원은행’으로 불리는 이 행사는 2010년 4월 마이애미에서 33회째를 맞았다. 당시 행사의 파트너 가운데 하나가 ‘주 정책 네트워크’(State Policy Network)라 불리는 조직이었다. 1992년 설립된 이 단체는, 미국 각 주에 위치한 ‘자유시장주의’ 지향 싱크탱크들을 모으고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이 조직의 정식 회원이 되면 각 주의 사정에 맞게 보수적 정책들을 만드는 데 도움을 받는다.





헤리티지재단과 주 정책 네트워크가 중심이 된 미국 보수 싱크탱크들의 종횡 네트워크는, 다시 정당과 의회, 사회운동, 언론과 연결되어 ‘단순 개별 합’ 이상의 힘을 발휘하고 있다.

홍일표 한겨레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헤리리뷰 18호] ‘불편없는 사이버세상’ 만들어요

[HERI Media] 장애인 웹 이용 돕는 사회적기업 웹와치 » ‘불편없는 사이버세상’ 만들어요 인터넷은 몸이 불편한 장애인에겐 ‘우렁각시’ 같은 도우미다. 이를 통해 은행·관공서 일을 보고, 쇼핑과 공부도 하고 세상 돌아가...

  • HERI
  • 2011.06.24
  • 조회수 18743

[헤리리뷰 18호] 디지털이 연 ‘상징정치’ 시대…피할 수 없다면 즐겨라

[HERI World] 해외칼럼/ 디지털 미디어와 민주주의 » 프랭크 웹스터 영국 런던 시티대 사회학 교수 이집트에서 보여준 인터넷 위력의 이면 이집트를 비롯한 북부 아프리카에서 펼쳐지고 있는 인터넷 혁명에 대해 여러 가지 견...

  • HERI
  • 2011.06.24
  • 조회수 17919

[헤리리뷰 18호] 성별 균형과 인권 보호 요구 거세진다

지속가능경영 표준화의 흐름 » 전민구 CSR 컨설팅기관 투투모로우 아시아 이사 많은 한국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살펴보면 여전히 지속가능경영 보고와 홍보 브로슈어의 차이점을 인식하지 못하는 모습이다. 이러한 근시...

  • HERI
  • 2011.06.24
  • 조회수 16427

[헤리리뷰 18호] 정부보다 발빠른 지원 ‘재해있는 곳에 생협있네’

[HERI World] 세계 톺아보기 / 3·11 일본 동북부 대지진과 생협 » 일본생협연합회 및 회원 생협이 3ㆍ11 대지진 후 신속한 지원 활동에 나서고 있다. 일본생협연합회 제공 지금 일본은 대지진, 해일, 원전 사고란 미증유의 ...

  • HERI
  • 2011.06.24
  • 조회수 27294

[헤리리뷰 18호] “모든 이해관계자에 최고의 가치 줘야 좋은 회사”

[HERI가 만난 사람] 권오철 하이닉스반도체 사장 » 권오철 하이닉스반도체 사장이 기업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만족을 주는 협업체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하이닉스반도체는 시련을 많이 겪은 기업...

  • HERI
  • 2011.06.24
  • 조회수 12022

[헤리리뷰 17호] 디지털 위험사회 해소로 가는 패스워드 사·회·책·임·경·영

[헤리리뷰] 스페셜 리포트|디지털 위험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 디지털 위험사회 해소로 가는 패스워드 사·회·책·임·경·영 ‘리니지’로 유명한 게임업체 엔씨소프트(NC Soft)가 프로야구단을 창단하기로 한 것은 물론 창업자 김택...

  • HERI
  • 2011.06.24
  • 조회수 13615

[헤리리뷰 17호] 전방위 걸쳐 체감…인터넷서비스업체 책임 첫손 꼽아

[헤리리뷰] 스페셜 리포트|디지털 위험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 디지털 위험 인식 조사 결과 분석 독일의 사회학자 울리히 벡은 현대를 ‘위험사회’(risk society)라 정의했다. 과학기술과 전문가 시스템이 눈에 보이지 않는 불안...

  • HERI
  • 2011.06.24
  • 조회수 17291

[헤리리뷰 17호] IT 활용능력은 키워주고 역기능은 차단한다

[헤리리뷰] 스페셜 리포트|디지털 위험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 다음커뮤니케이션이 세운 베트남 지구촌 희망학교에서 휴가 중 봉사활동을 온 직원들이 학생들과 즐겁게 어울리고 있다. 다음커뮤니케이션 제공 디지털 미디어 기업의...

  • HERI
  • 2011.06.24
  • 조회수 14405

[헤리리뷰 17호] 개인정보 유출 피해 여전…스팸문자·디지털중독도 심각

[헤리리뷰] 스페셜 리포트|디지털 위험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사그라지지 않는 소비자 불만들 디지털 미디어 기업들이 나름대로 노력하고 있지만 역기능을 관리하는 데 여전히 미흡하다는 평가가 나오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

  • HERI
  • 2011.06.24
  • 조회수 13825

[헤리리뷰 17호] 이윤과 책임 충돌 딜레마…사회적 합의점 찾아가야

[헤리리뷰] 스페셜 리포트|디지털 위험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 왼쪽부터 한세희, 김영주, 구본권, 최희원, 김갑수. 디지털 기술은 순기능과 역기능이 동전 앞뒷면처럼 밀접히 연관된 경우가 많다. 또 정부의 규제만으로 디지털 ...

  • HERI
  • 2011.06.24
  • 조회수 14768

[헤리리뷰 17호] 디지털 소비자는 프로슈머…활용 넘어 책임도 고민해야

[헤리리뷰] 스페셜 리포트 디지털 위험을 관리하는 것은 정부나 기업의 노력만으로 되지 않는다. 개인도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현명하게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한겨레경제연구소 디지털 위험 관련 ...

  • HERI
  • 2011.06.24
  • 조회수 17455

[헤리리뷰 17호] 위기의 농업 이렇게 살리자

[헤리리뷰] 녹색생활|전문가 제언 » 김효석 국회의원(민주당) 개방으로 입은 손실 보전방안 있어야 김효석 국회의원(민주당)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분석 결과를 보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연평균 8700억원, 한-유럽연합(EU) 에프...

  • HERI
  • 2011.06.24
  • 조회수 11695

[헤리리뷰 17호] 민주적 협동 원리로 지속적 혁신…위기 타개 앞장

[헤리리뷰] HERI포커스|영국 협동조합 탐방기 » 영국 최대 협동조합인 코오퍼러티브 그룹의 맨체스터 시내 소매점포 내부. 성공회대 대학원 협동조합경영학과가 2월7~14일 영국 협동조합 탐방 연수를 다녀왔다. 정치·경제적으로 변...

  • HERI
  • 2011.06.24
  • 조회수 14009

[헤리리뷰 17호] 조합 가치 되살리니 떠났던 소비자 돌아왔다

[헤리리뷰] HERI포커스|영국 유통업 5위 올라선 코오퍼러티브 그룹 코오퍼러티브 그룹이 영국 협동조합 부활의 신호탄을 쏘았다. 1980년대 중반 이후 시민들의 생활패턴 변화와 유통시스템 개선으로 협동조합은 대형 유통업체에 ...

  • HERI
  • 2011.06.24
  • 조회수 14175

[헤리리뷰 17호] “비난 듣더라도 장기적 관점에서 사회책임경영 해야”

[헤리리뷰] HERI가 만난 사람|주강수 한국가스공사 사장 » 주강수 한국가스공사 사장은 자원기업의 책임자는 긴 안목의 경영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진수 기자jsk@hani.co.kr “영어 단어 ‘exploitation’(엑스플로이테이션)은...

  • HERI
  • 2011.06.24
  • 조회수 11386

[헤리리뷰 17호] 사람은 사회적기업의 전부…분명한 동기 부여를

[헤리리뷰] 헤리 지상컨설팅 Q 성과도 내고 직장 분위기도 즐겁게 하려면 저소득층의 고용 창출을 위해 사회적기업을 만들어 운영하고 있습니다. 역량 있는 직원을 구하기가 쉽지 않고, 게다가 기존 직원들도 기업의 정체성에 ...

  • HERI
  • 2011.06.24
  • 조회수 17221

[헤리리뷰 17호] ‘싱크탱크 네트워크’가 뜬다…특정주제 넘어 분야별 협력도

[헤리리뷰] HERI싱크탱크|새로운 도약 예고하는 한국 싱크탱크 생태계 » 한국 싱크탱크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 (※ 클릭하시면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에선 한참 훗날의 일처럼 여겨졌던 정치권의 ‘복지논쟁’, ‘세...

  • HERI
  • 2011.06.24
  • 조회수 15906

[헤리리뷰 17호] 정당·사회단체·언론과 연결…영향력 극대화

[헤리리뷰] HERI싱크탱크|미국 싱크탱크들의 연대와 협력 » 미국 싱크탱크들의 역할과 협력 유형 미국 싱크탱크들은 다양한 형태의 연대와 협력을 도모하고 있다. 대표적인 협동연구 프로젝트인 브루킹스연구소의 ‘해밀턴 프로젝...

  • HERI
  • 2011.06.24
  • 조회수 13998

[헤리리뷰 17호] 이젠 균형 성장으로…역내 협력·인적자원 개발 집중해야

[헤리리뷰] HERI월드|글로벌 위기 벗어난 아세안의 갈 길 » 비다야크 다스언론인·정치평론가 비다야크 다스언론인·정치평론가 비다야크 다스는 시민사회운동이 정치와 정책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현재 방콕에서...

  • HERI
  • 2011.06.24
  • 조회수 14973

[헤리리뷰 16호] 아시아의 눈으로 ‘동아시아 30’ 찾아내다

[헤리리뷰] ‘2010 한국 CSR’ 한·중·일 공동 사회책임경영 평가모델 첫 결실 » 사회책임경영 한중일 국가별 30대 기업 (가나다순) / (※클릭하시면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10년 8월21일 토요일, 한국·중국·일본 사회책임...

  • HERI
  • 2011.06.24
  • 조회수 39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