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리뷰
[헤리리뷰] ‘2010 한국 CSR’
한·중·일 공동 사회책임경영 평가모델 첫 결실


129237773968_20101216.JPG
» 사회책임경영 한중일 국가별 30대 기업 (가나다순) / (※클릭하시면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10년 8월21일 토요일, 한국·중국·일본 사회책임경영(CSR) 전문가 10명이 인천국제공항에 속속 모습을 드러냈다. 세 나라 사회책임경영 우수기업을 가려낸 ‘동아시아 30’ 리스트를 결정하는 데 필요한, 아시아 CSR 평가모델을 확정하는 최종 회의를 하기 위해서였다. ‘아시아 사회책임경영 전문가위원회’(위원장 주철기)의 첫 회의였다.

이들은 주말 이틀 내내 열띤 토론을 벌였다. 유엔글로벌콤팩트 10대 원칙, ISO 26000, GRI(글로벌 리포팅 이니셔티브) 가이드라인 등 글로벌 스탠더드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지표를 모두 꺼내 테이블에 올려두었고, 여기에 각 나라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슈를 제시했다.

결국 하나의 사회책임경영 평가모델이 만들어졌다. 최초의 동아시아 지역 공동 평가모델이 탄생하는 순간이었다.


30곳 중 일본 20곳, 한·중 5곳씩

평가 실무를 주관한 한겨레경제연구소는 이 모델을 통해 석 달 동안 한중일 기업 평가 및 분석을 진행했다. 그리고 전문가위원회의 최종 판단을 거쳐, 가장 사회책임경영이 우수한 기업 30곳을 골라 ‘동아시아 30’으로 선정했다. 뚜껑을 열어 보니, 한국의 기아자동차, 중국의 차이나모바일, 일본의 코스모석유 등 30개 기업 중 20개가 일본 기업이었다. 한국과 중국은 5개씩이었다.

일본 기업은 일단 사회책임경영 성과 보고를 충실히 하고 있다는 데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평가 대상 기업(에프티에스이 전세계 지수, FTSE All World Index)은 한국이 109곳, 중국이 134곳, 일본이 465곳이었다. 그런데 이들 중 사회책임경영 성과를 보고하는 기업은 한국 59곳(54%), 중국 54곳(40%), 일본 339곳(73%)으로 나타났다. 일본 기업은 출발선부터 앞서 있었던 것이다.

한편 한국 기업의 사회책임경영 보고서 발간 비율은 중국과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 중국은 아직 신흥시장으로 분류된다. 한국은 이미 선진 시장이라, 전세계 사회책임 투자자들의 관심 속에 있다. 이 두 나라 기업의 사회책임경영 보고율이 비슷하다는 것은 충격적이다.




‘동아시아 30’에 든 일본 기업들은 특히 환경영역 점수가 가장 높았다. 일본 기업은 환경경영 시스템을 거의 완벽하게 갖추고 있다는 평가 결과가 나왔다.

업종별로는 27곳이 제조업이고 3곳만이 비제조업이었다. 특히 소니·산요·파나소닉·삼성SDI와 같은 전자·전기업과 한국가스공사·도쿄가스·규슈전력·시노펙 등 전기·가스·오일 공급사, 엘지화학·세키스이화학공업 등 화학업종이 ‘동아시아 30’에 많이 올랐다.


환경·거버넌스 비해 사회 약해

동아시아 30 기업의 영역별 수준을 살펴보면, 환경, 사회, 거버넌스 세 영역 가운데 환경과 거버넌스가 각 100점 만점에 77.8점과 77.3점으로 비슷한 수준이었고, 사회가 66.9점으로 가장 낮았다.

사회영역의 세부지표를 들여다보면, 30개 기업은 ‘일자리 창출과 보장’(51.7점)과 노동조합(58점)이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일자리 창출과 보장’에서는 한중일 3개국이 공통으로 취약하여 낮은 점수를 받았고, ‘노동조합’의 경우 일본 기업은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20개 평균 65점)를 받았으나 한국(5개 평균 40점)과 중국(5개 평균 50점)이 낮은 점수를 받아 낮게 평가됐다.

‘동아시아 30’은 ‘한국 CSR 30’, ‘중국 CSR 30’, ‘일본 CSR 30’ 등 나라별 30개 우수기업 리스트도 포함한다. 또 세 나라를 통틀어 영역별로 가장 우수한 ‘동아시아 환경 30’, ‘동아시아 사회 30’, ‘동아시아 거버넌스 30’ 등의 리스트도 포함된다.

매년 우수기업 선정 발표키로

‘아시아 사회책임경영 전문가위원회’와 한겨레경제연구소는 앞으로 해마다 동아시아 기업의 사회책임경영을 평가해 우수기업 리스트를 발표할 예정이다. ‘동아시아 30’은 우선 글로벌 스탠더드와 동아시아 지역의 사회문화적 맥락이 함께 반영된, 권위있는 사회책임경영 가이드라인을 지향한다. 앞으로는 유럽 연기금 등 사회책임 투자자들이 아시아 기업에 투자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지역의 대표 사회책임투자 지수로 나아갈 것이 기대된다.

동아시아 기업이 세계의 눈높이에 맞추면서 지역의 맥락을 포괄하는, 책임있는 기업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것이 ‘동아시아 30’의 궁극적인 지향점이다.

이원재 한겨레경제연구소 소장 timelast@hani.co.kr

‘동아시아 30’ 전체 리스트는 한겨레경제연구소 누리집(www.heri.kr) 참조.

[알림] 2010 한국 CSR 대상 시상식

129237774012_20101216.JPG
» 2010 한국 CSR 대상 수상기업

한겨레신문사는 12월15일 ‘아시아 사회책임경영 전문가위원회’가 선정한 한국 CSR 우수기업 ‘2010 한국 CSR 대상’을 시상합니다.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진행되는 이번 시상은 CSR에 대한 기업과 사회의 인식을 제고하고 우수한 기업의 경영사례를 찾아 CSR 문화를 확산시키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특히 올해 평가는 한국·중국·일본 경제·경영 전문가들이 마련한 ‘아시아 사회책임경영 평가 모델’을 기초로 이뤄져 그 의미가 깊습니다. 아시아 지역의 전문가들이 한데 모여 아시아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공동의 사회책임경영 평가기준을 만들어 우수기업을 선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한국 사회책임경영 우수기업에 대한 시상과 더불어 ‘동아시아30’ 선포식도 진행됩니다.<2022>때ㆍ곳: 2010년 12월15일(수) 17:30~18:30, 서울 리츠칼튼호텔 그랜드볼룸 <2022>문의: 02-710-0070

아시아 사회책임경영 평가 연구진

한겨레경제연구소 이원재 소장, 이현숙 연구위원, 김진경 선임연구원, 김지예 연구원, 아시아 사회책임경영 전문가위원회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헤리리뷰 18호] ‘불편없는 사이버세상’ 만들어요

[HERI Media] 장애인 웹 이용 돕는 사회적기업 웹와치 » ‘불편없는 사이버세상’ 만들어요 인터넷은 몸이 불편한 장애인에겐 ‘우렁각시’ 같은 도우미다. 이를 통해 은행·관공서 일을 보고, 쇼핑과 공부도 하고 세상 돌아가...

  • HERI
  • 2011.06.24
  • 조회수 18753

[헤리리뷰 18호] 디지털이 연 ‘상징정치’ 시대…피할 수 없다면 즐겨라

[HERI World] 해외칼럼/ 디지털 미디어와 민주주의 » 프랭크 웹스터 영국 런던 시티대 사회학 교수 이집트에서 보여준 인터넷 위력의 이면 이집트를 비롯한 북부 아프리카에서 펼쳐지고 있는 인터넷 혁명에 대해 여러 가지 견...

  • HERI
  • 2011.06.24
  • 조회수 17929

[헤리리뷰 18호] 성별 균형과 인권 보호 요구 거세진다

지속가능경영 표준화의 흐름 » 전민구 CSR 컨설팅기관 투투모로우 아시아 이사 많은 한국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살펴보면 여전히 지속가능경영 보고와 홍보 브로슈어의 차이점을 인식하지 못하는 모습이다. 이러한 근시...

  • HERI
  • 2011.06.24
  • 조회수 16433

[헤리리뷰 18호] 정부보다 발빠른 지원 ‘재해있는 곳에 생협있네’

[HERI World] 세계 톺아보기 / 3·11 일본 동북부 대지진과 생협 » 일본생협연합회 및 회원 생협이 3ㆍ11 대지진 후 신속한 지원 활동에 나서고 있다. 일본생협연합회 제공 지금 일본은 대지진, 해일, 원전 사고란 미증유의 ...

  • HERI
  • 2011.06.24
  • 조회수 27302

[헤리리뷰 18호] “모든 이해관계자에 최고의 가치 줘야 좋은 회사”

[HERI가 만난 사람] 권오철 하이닉스반도체 사장 » 권오철 하이닉스반도체 사장이 기업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만족을 주는 협업체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하이닉스반도체는 시련을 많이 겪은 기업...

  • HERI
  • 2011.06.24
  • 조회수 12030

[헤리리뷰 17호] 디지털 위험사회 해소로 가는 패스워드 사·회·책·임·경·영

[헤리리뷰] 스페셜 리포트|디지털 위험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 디지털 위험사회 해소로 가는 패스워드 사·회·책·임·경·영 ‘리니지’로 유명한 게임업체 엔씨소프트(NC Soft)가 프로야구단을 창단하기로 한 것은 물론 창업자 김택...

  • HERI
  • 2011.06.24
  • 조회수 13618

[헤리리뷰 17호] 전방위 걸쳐 체감…인터넷서비스업체 책임 첫손 꼽아

[헤리리뷰] 스페셜 리포트|디지털 위험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 디지털 위험 인식 조사 결과 분석 독일의 사회학자 울리히 벡은 현대를 ‘위험사회’(risk society)라 정의했다. 과학기술과 전문가 시스템이 눈에 보이지 않는 불안...

  • HERI
  • 2011.06.24
  • 조회수 17297

[헤리리뷰 17호] IT 활용능력은 키워주고 역기능은 차단한다

[헤리리뷰] 스페셜 리포트|디지털 위험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 다음커뮤니케이션이 세운 베트남 지구촌 희망학교에서 휴가 중 봉사활동을 온 직원들이 학생들과 즐겁게 어울리고 있다. 다음커뮤니케이션 제공 디지털 미디어 기업의...

  • HERI
  • 2011.06.24
  • 조회수 14410

[헤리리뷰 17호] 개인정보 유출 피해 여전…스팸문자·디지털중독도 심각

[헤리리뷰] 스페셜 리포트|디지털 위험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사그라지지 않는 소비자 불만들 디지털 미디어 기업들이 나름대로 노력하고 있지만 역기능을 관리하는 데 여전히 미흡하다는 평가가 나오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

  • HERI
  • 2011.06.24
  • 조회수 13829

[헤리리뷰 17호] 이윤과 책임 충돌 딜레마…사회적 합의점 찾아가야

[헤리리뷰] 스페셜 리포트|디지털 위험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 왼쪽부터 한세희, 김영주, 구본권, 최희원, 김갑수. 디지털 기술은 순기능과 역기능이 동전 앞뒷면처럼 밀접히 연관된 경우가 많다. 또 정부의 규제만으로 디지털 ...

  • HERI
  • 2011.06.24
  • 조회수 14771

[헤리리뷰 17호] 디지털 소비자는 프로슈머…활용 넘어 책임도 고민해야

[헤리리뷰] 스페셜 리포트 디지털 위험을 관리하는 것은 정부나 기업의 노력만으로 되지 않는다. 개인도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현명하게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한겨레경제연구소 디지털 위험 관련 ...

  • HERI
  • 2011.06.24
  • 조회수 17462

[헤리리뷰 17호] 위기의 농업 이렇게 살리자

[헤리리뷰] 녹색생활|전문가 제언 » 김효석 국회의원(민주당) 개방으로 입은 손실 보전방안 있어야 김효석 국회의원(민주당)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분석 결과를 보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연평균 8700억원, 한-유럽연합(EU) 에프...

  • HERI
  • 2011.06.24
  • 조회수 11699

[헤리리뷰 17호] 민주적 협동 원리로 지속적 혁신…위기 타개 앞장

[헤리리뷰] HERI포커스|영국 협동조합 탐방기 » 영국 최대 협동조합인 코오퍼러티브 그룹의 맨체스터 시내 소매점포 내부. 성공회대 대학원 협동조합경영학과가 2월7~14일 영국 협동조합 탐방 연수를 다녀왔다. 정치·경제적으로 변...

  • HERI
  • 2011.06.24
  • 조회수 14020

[헤리리뷰 17호] 조합 가치 되살리니 떠났던 소비자 돌아왔다

[헤리리뷰] HERI포커스|영국 유통업 5위 올라선 코오퍼러티브 그룹 코오퍼러티브 그룹이 영국 협동조합 부활의 신호탄을 쏘았다. 1980년대 중반 이후 시민들의 생활패턴 변화와 유통시스템 개선으로 협동조합은 대형 유통업체에 ...

  • HERI
  • 2011.06.24
  • 조회수 14183

[헤리리뷰 17호] “비난 듣더라도 장기적 관점에서 사회책임경영 해야”

[헤리리뷰] HERI가 만난 사람|주강수 한국가스공사 사장 » 주강수 한국가스공사 사장은 자원기업의 책임자는 긴 안목의 경영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진수 기자jsk@hani.co.kr “영어 단어 ‘exploitation’(엑스플로이테이션)은...

  • HERI
  • 2011.06.24
  • 조회수 11391

[헤리리뷰 17호] 사람은 사회적기업의 전부…분명한 동기 부여를

[헤리리뷰] 헤리 지상컨설팅 Q 성과도 내고 직장 분위기도 즐겁게 하려면 저소득층의 고용 창출을 위해 사회적기업을 만들어 운영하고 있습니다. 역량 있는 직원을 구하기가 쉽지 않고, 게다가 기존 직원들도 기업의 정체성에 ...

  • HERI
  • 2011.06.24
  • 조회수 17228

[헤리리뷰 17호] ‘싱크탱크 네트워크’가 뜬다…특정주제 넘어 분야별 협력도

[헤리리뷰] HERI싱크탱크|새로운 도약 예고하는 한국 싱크탱크 생태계 » 한국 싱크탱크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 (※ 클릭하시면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에선 한참 훗날의 일처럼 여겨졌던 정치권의 ‘복지논쟁’, ‘세...

  • HERI
  • 2011.06.24
  • 조회수 15915

[헤리리뷰 17호] 정당·사회단체·언론과 연결…영향력 극대화

[헤리리뷰] HERI싱크탱크|미국 싱크탱크들의 연대와 협력 » 미국 싱크탱크들의 역할과 협력 유형 미국 싱크탱크들은 다양한 형태의 연대와 협력을 도모하고 있다. 대표적인 협동연구 프로젝트인 브루킹스연구소의 ‘해밀턴 프로젝...

  • HERI
  • 2011.06.24
  • 조회수 14005

[헤리리뷰 17호] 이젠 균형 성장으로…역내 협력·인적자원 개발 집중해야

[헤리리뷰] HERI월드|글로벌 위기 벗어난 아세안의 갈 길 » 비다야크 다스언론인·정치평론가 비다야크 다스언론인·정치평론가 비다야크 다스는 시민사회운동이 정치와 정책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현재 방콕에서...

  • HERI
  • 2011.06.24
  • 조회수 14979

[헤리리뷰 16호] 아시아의 눈으로 ‘동아시아 30’ 찾아내다

[헤리리뷰] ‘2010 한국 CSR’ 한·중·일 공동 사회책임경영 평가모델 첫 결실 » 사회책임경영 한중일 국가별 30대 기업 (가나다순) / (※클릭하시면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10년 8월21일 토요일, 한국·중국·일본 사회책임...

  • HERI
  • 2011.06.24
  • 조회수 39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