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지진 이후, 새로운 일본이 움튼다 | |
[HERI Review]미리 보는 ‘2011 아시아미래포럼’-첫날 기조연설1 >>데라시마 지쓰로 2001년의 ‘9·11’이 조지 부시 대통령의 재선 임기 말까지 미국을 ‘네오콘’의 시대로 밀어넣었듯이, 3월11일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과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일본도 위기 이전과 다른 사회로 변모해 가고 있다. 자위대의 위상 강화를 외치고 독도 문제를 제기하는 등 내셔널리즘이 강화되는 모습도 보인다. 지각뿐 아니라 사회의 토대를 함께 흔든 이 지진은 일본과 이웃나라의 관계, 그리고 아시아 전체의 미래에도 적지 않은 변화를 가져올 전망이다. 기존 문명사회 재검토하는 계기로
원전 사고 뒤 도쿄전력이 기업으로서 이윤을 남기려는 경영적 판단 때문에 낡은 원전 모델을고수하다 사고가 커졌다는 비판이 많았다. 이 때문에 일본 정부는 에너지 정책 관련 통제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가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에너지에 대한 정부의 재규제는 기업 활동 전반에 대한 통제 강화로 이어질 것으로 그는 내다봤다. 그는 “이런 상황에서 신자유주의가 강화된다는 것은 상상하기 어렵다”며 “계획경제까진 가지 않더라도, 규제와 공공성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사회가 바뀔 것”이라고 내다본다. 각종 부품 공급 업체가 밀집해 있던 도호쿠 지역이 지진해일로 쑥대밭이 된데다 규제 강화 움직임까지 겹쳐 일본 기업의 해외 이전과 산업 공동화가 촉진될 수도 있다고 그는 내다봤다. 그러나 이를 계기로 아시아 전역에 일본 기업이 진출해 새로운 사업 모델과 협력관계가 만들어지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고 그는 말한다. 한국·중국이 잘되면 일본도 이득
이봉현 한겨레경제연구소 연구위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