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보도
[광복 1945, 희망 2045] 국민 여론조사
서울 명동. 연합뉴스
‘삼포세대’라 일컬어지는 20대 젊은이들의 우리 사회에 대한 비관이 깊어지고 있다. ‘아프니까 청춘’이라지만 지금 20대는 과거와 비교해봐도 아파도 너무 아팠다. 미래 사회의 주역이 될 20대들의 기운을 북돋워줄 해결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한겨레>가 광복 70년을 맞아 실시한 이번 특별 여론조사에서 20대는 모든 세대를 통틀어 우리 사회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가장 부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20대들은 우선 ‘내가 사는 나라 대한민국’에 대한 만족도부터 낮았다. 10명 중 3명(28.4%) 정도만이 내가 사는 나라에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전체 평균(38.7%)보다 10.3%포인트가량 낮은 수치다. 만족도가 가장 높은 세대인 60대 이상(55.5%)과 비교하면 만족한다는 의견이 절반 수준(27.1%포인트 차이)밖에 안 된다.

나아가 우리 사회의 미래 전망에는 더욱 부정적이었다. 지금의 여러 여건 등을 고려했을 때 우리 사회에 대한 평가를 묻는 항목에서 20대들은 10명 중 7명(71.6%)의 압도적 다수로 ‘좋지 않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이런 응답을 한 이들 가운데 2명(16.4%)꼴로 ‘매우 좋지 않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보고 있었다. 반면 ‘좋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응답한 20대는 3명 중 1명(26.1%)에도 미치지 못했다.

20대들은 우리 사회 상황의 개선 여부에 대해서도 부정적 의견이 우세했다. 우리나라의 미래가 지금보다 ‘나아질 것’이라고 응답한 이들(36.1%)이 모든 세대를 통틀어 가장 적었고, ‘나빠질 것’이란 의견(34.1%)은 가장 많았다.

특히 10년 전과 비교하면, 20대들의 비관적 상황 인식이 크게 심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04년 5월 <한겨레>가 창간기념일을 맞아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와 비교해보니, 이번 조사에서 30~60대 이상 세대에선 내가 사는 나라 대한민국에 대한 긍정적 여론이 적게는 7%포인트에서 많게는 20%포인트 이상 증가했다. 하지만 유독 20대에서는 만족한다는 답변이 10년 새 0.3%포인트(2004년엔 28.1%) 늘어나는 데 그쳤다. 사실상 변한 게 없는 것이다.

또 우리 사회의 먼 미래 전망에 대해 60대 다음으로 낙관적이었던 20대는 10년 만에 가장 비관적인 세대로 돌아섰다. 2004년 20대의 57%가 더 나은 미래를 예상했지만, 10년 만에 그 비율은 36.1%로 추락했다. 대신, 미래엔 상황이 더 나빠질 것이란 의견은 9.2%에서 34.1%로 4배가량 늘었다.

20대가 본 우리나라 (※ 이미지를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실업·학자금빚 짓눌린 20대
“미래 나빠질 것” 34%로 최다
10년새 가장 비관적 세대로

‘사회보장과 평등’ 바라지만
증세에는 대부분 반대 의견

높은 청년실업률과 학자금 대출 등으로 늘어난 빚 때문에 ‘삼포세대’(연애와 결혼, 출산을 포기한 세대)를 넘어 ‘오포세대’(내 집 마련과 인간관계까지 포기한 세대)로 전락한 20대들의 현실이 고스란히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이번 조사에서 20대들은 ‘경제적 불안정성’(67.8%)과 ‘사회적 성공과 인정을 받지 못해서’(20.7%)를 자신의 삶에 만족하지 못하는 주된 원인으로 꼽았다.

경제적 어려움 등에 짓눌린 탓인지 20대들은 향후 우리 사회가 나아갈 방향으로 ‘빈부격차가 적고 사회보장이 잘돼 있는 나라’(36.8%), ‘힘없는 사람들도 평등하게 보호받는 나라’(30.6%)를 우선적으로 꼽으면서도, 이에 수반되는 ‘증세’에는 가장 부정적이었다. 사회복지 확대를 위해 증세를 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던 30~50대와는 달리, 20대는 ‘지금 수준을 유지’(60.7%)하거나 ‘낮추는 것이 좋다’(23.8%)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유독 20대의 비관이 도드라지긴 하지만 다른 세대들의 우리 사회에 대한 전망도 그리 좋은 편은 아니다. 우리 사회가 좋지 않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여기는 의견이 60.5%에 이르는데다, 우리나라의 미래 상황이 더 나빠질 것(26.2%)이라고 내다본 응답자가 10년 전(16.1%)에 비해 10.1%포인트 늘었다. 내 나라에 대한 전체적인 만족 응답이 10년 전(26.9%)보다 11.8%포인트 상승했다곤 하지만, ‘그저 그렇다’(40.5%)고 밝힌 이들 중 69.5%는 우리 사회가 좋지 않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보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낙관에서 비관으로 무게중심이 옮아가는 모양새다.

이정애 기자 hongbyul@hani.co.kr


[관련 기사]

20대가 희망 잃은 나라…“경제적 불안정 탓” 68%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50 금수저-흙수저 대물림…부모 소득 격차가 자녀 취업 격차로 admin 2015-10-16 18438
49 “청년운동, 청년세대 넘어 사회운동의 주인공으로” admin 2015-10-16 8875
48 2014년 11월 28일자 2014 대한민국 지역사회복지대상 file admin 2015-07-17 7893
47 2015년 1월20일 화요일자 싱크탱크 광장 - 전문가 상당수 “현 정부 복지·노동정책 잘한 일 꼽을 게 없다” HERI 2015-07-15 8346
46 2015년 1월1일 목요일자 기획 보도 - 10명중 6명 “협력해야 할 나라는 중국”…미국 크게 앞질러 HERI 2015-07-15 7812
45 2015년 1월1일 목요일자 기획 보도 - 우리 사회 최대 걸림돌은 부정부패·빈부격차 심화 HERI 2015-07-15 8021
» 2015년 1월1일 목요일자 기획 보도 - 20대가 희망 잃은 나라…“경제적 불안정 탓” 68% HERI 2015-07-15 7596
43 2015년 1월1일 목요일자 기획 보도 - 새해, 여러분은 어떤 사회를 바라시나요? HERI 2015-07-15 8072
42 2014년 12월16일 화요일자 싱크탱크 광장 - ‘보편복지=무상복지’라는 틀을 깨라 HERI 2015-07-15 8501
41 2014년 11월12일 수요일자 기획 보도 - 공론화위 ‘공회전’…두달 뒤 문닫는데 의제 설정도 못해 HERI 2015-07-15 7822
40 2014년 11월11일 화요일자 기획 보도 - 미래의 재앙 사용후핵연료 처리 ‘발등의 불’ HERI 2015-07-15 7461
39 2014년 10월21일 화요일자 싱크탱크 광장 - 보수정부의 복지 확대, 화려한 ‘성장’ 뒤엔 인색한 ‘보장’ HERI 2015-07-15 7364
38 2013년 11월12일 화요일자 싱크탱크 광장 - “박근혜 복지 정책 태생적 한계로 후퇴 거듭” HERI 2015-07-15 12437
37 2013년 11월5일 화요일자 싱크탱크 광장 - “지역사회 수요자 중심 돌봄 시스템 구축해야” HERI 2015-07-15 9119
36 2013년 10월15일 화요일자 싱크탱크 광장 - “국민연금제 뿌리 흔드는 것” “재정 현실 고려한 조처” HERI 2015-07-15 9262
35 2013년 9월17일 화요일자 싱크탱크 광장 - 노인 ‘삶의 질’ 높이려면 지방정부 자율성 높아져야 HERI 2015-07-15 8857
34 2013년 8월20일 화요일자 싱크탱크 광장 - 산별노조 강화·비례대표 확대로 제도개혁 먼저 HERI 2015-07-15 7294
33 2013년 7월2일 화요일자 싱크탱크 광장 - '노사 타협·좌우 상생’ 전통…신뢰 바탕 변화 모색 HERI 2015-07-15 9373
32 2013년 6월18일 화요일자 싱크탱크 광장 - 통상임금 해법, 사회적 합의냐 대법원 판례냐 HERI 2015-07-15 8296
31 2013년 5월21일 화요일자 싱크탱크 광장 - “차별 해소 능사 아냐…나이·성별 구체 방안 마련할 때” HERI 2015-07-15 8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