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보도
130753144521_20110609.JPG
“투표 의향 커졌다” 응답자의 78%가
“시민이 직접 정치에 영향 줘야” 답해 
20~30대 정치적 표현·참여 경험 풍부
통념과 달리 386보다 정치의식 높아
00394336601_20110609.JPG
한겨레사회정책연구소와 ‘내가 꿈꾸는 나라’의 ‘시민의 정치의식 및 참여도’ 여론조사 결과는 우리의 정치지형에서 ‘시민정치’라는 새 물결이 흐르고 있으며, 향후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정당이나 준정당적 시민단체가 아닌, 시민 자신이 직접 정책과 정치에 대해 목소리를 내고 행동에 나서는 움직임이다. ‘내가 꿈꾸는 나라’는 이런 흐름에 조응해 시민을 대변하는 것이 아닌 시민이 직접 주체가 돼 정치 및 사회개혁에 나서겠다는 취지로 지난 3월 말 준비위원회가 꾸려졌으며, 오는 9월 정식 출범할 계획이다.

“정치란 정부, 정당, 정치인들의 일이다.” “민주주의란 몇 년마다 선거에서 대표를 뽑고, 모든 것을 그의 손에 맡기는 것이다.” 이런 고정관념들이 21세기 들어 세계 곳곳에서 깨져가고 있다. 시민들이 더는 투표자로 머물지 않고 있다. 정책을 검증하고 여론을 확산시키고, 정당들을 압박하는 적극적인 주권자로 새로운 정치적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미국의 정치학자 러셀 돌턴은 이를 ‘시민정치’라고 이름 붙였다. 국내에서는 2002년 미선·효순 촛불집회, 2004년 탄핵반대 촛불집회, 2008년 ‘촛불소녀’와 ‘유모차부대’가 바로 이런 시민정치 시대의 도래를 알리는 사건들이었다.

그렇다면 과연 시민들의 정치 참여 의식과 경험은 얼마나 되는지? 어떤 사람들이 정치적으로 가장 적극적인지? 직접적인 정치참여를 중요시하는 시민들은 대의민주주의나 선거정치에 대해 어떤 태도를 갖고 있는지? 이번 ‘시민 정치의식 및 참여도 조사’는 그에 대한 최초의 체계적 조사라 할 수 있다.

조사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 국민의 대다수가 정치와 민주주의에 대해 매우 적극적인 관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민 10명 가운데 7~8명이 ‘시민들이 정치적 사안에 직접 목소리를 내야 한다’ ‘정치인들이 민의를 대변하지 못하면 시민들이 직접 정치에 영향을 미쳐야 한다’ ‘국회에서 통과된 법안이라도 다수 국민이 반대하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번 조사 결과는 이런 직접민주주의에 대한 우리 국민들의 욕구가 대의민주주의나 기존 정당정치에 대한 부정을 뜻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내년 총선과 대선에 투표할 의향이 전에 비해 더 커졌다’는 응답자의 78.0%, ‘최근 들어 선거에 대한 관심도가 이전에 비해 늘어난 편’이라는 응답자의 78.3%가 “시민이 직접 정치에 영향을 미쳐야 한다”고 응답했다. 조용히 표를 던지는 방식으로 정치에 참여하는 것과, 거리로 나가 정치적 목소리를 내는 행동 둘 다 모두 중요하다고 여기고 있는 것이다.

그동안 우리 사회에서는 민주주의 진전을 둘러싸고 서로 다른 관점이 존재했다. 한쪽에선 시민들이 정치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게 민주주의의 발전이라고 봤고, 다른 쪽에선 정당정치가 중요하다고 여겼다. 이번 조사는 이런 의견 대립이 ‘잘못 놓인 논쟁’임을 보여준다. 시민정치와 정당정치는 한쪽이 융성하면 다른 쪽이 쇠락하는 관계가 아니라는 것이다. 정치에 적극적인 시민들은 선거를 통한 간접적인 정치참여는 물론 직접적인 정치참여에 모두 관심이 컸다.

130753941805_20110609.JPG
‘촛불’은 정치·사회적 현안에 대해 직접 목소리를 내고자 하는 우리 국민들의 욕구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사진은 ‘6월 시민항쟁’ 21돌 기념일인 2008년 6월10일 서울 광화문 네거리에서 덕수궁까지 거리를 가득 메 운 시민들이 ‘미국산 쇠고기 수입 재협상’을 요구하며 행진하는 모습.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연령별로 살펴보면, 정치적 적극성에서 20~30대 연령층이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시민의 직접적인 정치행동을 압도적으로 지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실제로 정치적 표현과 참여의 경험이 매우 풍부한 세대다. 이와 관련해 ‘어떤 정당이 집권하느냐에 따라 내 삶이 달라질 것’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19~24살(50.8%), 30~34살(40.4%), 40~44살(36.6%)에서 매우 높았다. 다른 연령층에서는 20%대에 그쳤다. 젊은층의 탈정치화, 보수화, 개인주의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일부에서 나오고 있지만, 이번 조사를 보면 그들은 ‘386’ 세대보다 정치의식이 더 높고 활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무현 세대’인 30대와 ‘촛불세대’인 20대가 70~80년대 민주화운동 세대에 이어 대의민주주의와 직접민주주의를 함께 발전시키고 싶어 하는 새로운 정치세대를 형성해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신진욱

‘내가 꿈꾸는 나라’ 운영위원(중앙대 교수·사회학)

[관련 기사]

시민들 ‘한표 행사’와 ‘거리 외침’ 둘다 중시했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수
50 2011년 12월21일 수요일자 싱크탱크 광장 - “복지 위해선 ‘이중 노동시장’ 고치는 사회개혁 정책 필요” HERI 2015-07-14 6050
49 2011년 10월12일 수요일자 싱크탱크 광장 - ‘한국판 버핏세’ 부유세는 조세정의 HERI 2015-07-14 6098
48 2011년 7월20일 수요일자 싱크탱크 광장 - “복지국가, 인적자원 투자 많아야 경제성장 촉진” HERI 2015-07-15 5960
47 2012년 1월11일 수요일자 싱크탱크 광장 - “차기 정부, 양극화 먼저 해소해 복지·민주 강화를” HERI 2015-07-15 6304
46 2011년 8월24일 수요일자 싱크탱크 광장 - ‘낮은 복지’ 일본, 청년을 ‘하류사회’로 추방 / 이창곤 HERI 2015-07-15 6082
45 2011년 6월9일 목요일자 기획 보도 - 국민10명중 7명 “시민이 정치에 영향 미쳐야” HERI 2015-07-15 5808
» 2011년 6월9일 목요일자 기획 보도 - 시민들 ‘한표 행사’와 ‘거리 외침’ 둘다 중시했다 HERI 2015-07-15 5788
43 2011년 6월10일 금요일자 기획 보도 - 시민정치운동 ‘제3의 물결’ HERI 2015-07-15 5856
42 2011년 6월10일 금요일자 기획 보도 - ‘촛불’ 10년의 힘, 생활과 정치의 거리를 좁혔다 HERI 2015-07-15 5938
41 2012년 2월22일 수요일자 싱크탱크 광장 - “건보 본인부담 연 100만원 안넘게 상한제 실시해야” HERI 2015-07-15 6648
40 2012년 2월15일 수요일자 싱크탱크 광장 - “2040의 절망, 공정한 기회·기본소득 보장으로 풀어야” HERI 2015-07-15 6243
39 2012년 2월14일 화요일자 기획 보도 - 20대 취업·30대 노후·40대 자녀교육 ‘불안 1순위’ HERI 2015-07-15 6603
38 2012년 3월14일 수요일자 싱크탱크 광장 - “재벌개혁, 계열분리 등 ‘정책조준’ 잘해야 실패 반복안해” HERI 2015-07-15 6258
37 2012년 5월9일 수요일자 싱크탱크 광장 - “세상을 바꾸려는 행동이 당신의 건강을 결정” HERI 2015-07-15 6091
36 2012년 5월16일 수요일자 싱크탱크 광장 - “서울시민 느끼는 삶, 아직 개발도상국 수준” HERI 2015-07-15 6483
35 2012년 6월20일 수요일자 싱크탱크 광장 - “사민당-‘재벌’ 타협? 사실과 다르다” “복지국가 북유럽에도 ‘재벌’ 자리잡아” HERI 2015-07-15 6842
34 2013년 1월16일 수요일자 싱크탱크 광장 - “당선인, 아버지 따라잡기 위해선 확고한 비전 필요” HERI 2015-07-15 6414
33 2013년 1월23일 수요일자 싱크탱크 광장 - “당선인 복지공약재원 135조…언젠간 증세 불가피” HERI 2015-07-15 6407
32 2013년 1월 30일 수요일자 기획 보도 - “박 당선인 노동공약 거의 없어 좋은 일자리로 고용률 70%를” HERI 2015-07-15 6326
31 2012년 4월6일 금요일자 기획 보도 - “여, 노령연금 인상 철회 해명해야…야, 2배 인상안 두고볼것” HERI 2015-07-15 6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