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저자 : | 김현대 |
---|---|
공동저자 : |
젊은이들이 협동조합으로 벤처기업을 운영하고, 동네슈퍼들이 소상인 협동조합 결성해 기업형슈퍼마켓(SSM)과 시장에서 경쟁하고, 시민들이 협동조합으로 영종도 앞바다에 풍력발전 세울 수 있음. 우리가 그렇게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협동조합으로 기업할 수 있다는 인식이 없기 때문임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다양한 협동조합 기업들의 위기극복능력에 세계가 주목함. 협동조합이 지속가능한 경기 회복을 추동할 수 있는 자본주의의 효과적인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음
협동조합의 경쟁력은 바로 독특한 조합원의 존재에서 나옴. 조합원이 투자자이고 고객이며, 조합원의 요구와 협동조합 사업의 목적이 일치하는 기업임
네덜란드의 라보뱅크는 국내 예금과 대출의 40% 이상을 점유하고,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은행으로 꼽힘. 협동조합 원칙으로 은행 경영을 성공한 대표적 사례임. 100년 이상 배당 없이 적립한 자기자본이 42조원이나 됨
주식회사에서 협동조합으로 변신한 스위스의 미그로는 720만 국민 중 200만 명이 조합원임. 미그로의 고객(조합원)은 투자 이익을 기대하지 않기 때문에, 좋은 상품을 값싸게 공급하는 지속가능한 경영이 가능함
유럽에서도 부자지역인 이탈리아 북부의 에밀리아로마냐 주는 변변한 대기업 없이 8천개 협동조합과 40만개 중소기업의 협력으로 경제기적을 이뤘음. `에밀리안 모델’에 세계의 경제학자들이 주목함
우리의 경우, 농협의 규모는 크지만 협동조합 정신이 떨어지고 여러 풀뿌리 협동조합들은 세력이 미약함. 젊은이들에게 협동조합으로 기업할 수 있다는 옵션을 알게 하는 교육과, 협동조합기본법 제정이 요구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