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HERI REVIEW] 사회적경제 주간 특집

조회수 8911 2019.07.23 11:05:21

*일부 기사가 잘못 링크되어 재발송합니다.


[HERI REVIEW] 2019. 07. 08
사회적경제주간 특집

사회적경제 주간이었던 지난 한 주 동안 크고 작은 사회적경제 행사가 있었습니다. 새참이 먹고 싶어 '사회적 농업'을 시작한 청년들부터 장애인들이 케일을 키워 만든 비누까지,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이 담아온 사회적경제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문 대통령도 감탄한 '식용유 전등'사회적 경제는 "희망의 열쇠"
누구나 폐식용유 티스푼 하나 분량이면 한시간 동안 불을 켜고, 청각장애인 택시기사도 문자로 손님과 소통할 수 있게 되었다. 사회를 바꾸는 기업들이 모인 '제2회 대한민국 사회적경제 박람회'에 다녀왔다.

농촌 마을에 부는 새로운 바람... '사회적 농업' 활짝 꽃 피울까
귀농한 청년들은 새참이 먹고 싶었다. 그래서 농촌 마을 사람들끼리 다 함께 모여 밥도 먹고 지역 농산물 소비도 하는 협동조합 형태의 식당을 만들었다. 생산과 소비, 유통과 투자 등 경제 전 과정이 협동과 연대, 상생의 가치를 담아내는 '사회적 농업'의 한 면이다. 

사회적경제기업, 장애인의 일터와 친구가 되다.
김정열 서울 사회적경제네트워크 이사장은 "장애인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산자이자 소비자추제가 될 수 있다"며 "사회적 경제 기업의 주 목적은 장애인들을 수혜 대상으로만 보는 게 아니라 사회 구성원으로서 일자리를 통해 자립하는 데 있다"고 말했다. [클릭해서 기사 더 보기]

"도약하라, 아시아 사회적 경제... 사회혁신 파트너십으로"
'아시아, 사회적 경제 임택트를 넓히다'를 주제로 열린 '2019 제10회 사회적 정책포럼'에서는 기업, 재단, 중간지원조직, 사회적경제기업 등 이해관계자들이 협업할 수 있는 사회혁신 플랫폼의 중요성이 강조됐다.
사회정책 REVIEW

지금의 20대는 부모의 20대보다 나아졌을까?
"한국의 청년은 행복한가?" 'N포 세대'로 대표되는 요즘 청년들의 삶을 다양한 방법으로 살펴봤다. 고용, 주거 불안, 빈곤에 고통받는 청년들은 자살위험도 과거의 청년들보다 5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HERI의 눈

산업논리 넘어 지속가능성 고민하는 기술혁신 움튼다
전통적인 틀에서 볼 때 기술의 발전은 '적응하느냐, 도태되느냐'의 생존의 문제로 여겨져왔다. 그러나 디지털기술과 사회혁신이 함께하는 '디지털 사회혁신은' 장애인의 이동권 보장, 맞춤형 고령자 동봄, 시민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구축 등 포용적이고 사회친화적인 진화를 꾀하고 있다. [바로가기]
HERI 칼럼

[유레카] 한국 '사회복지 역사' 소고 / 이창곤 
역사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지만, 사회복지학계에서의 역사는 여전히 중요하게 취급되지 못 하고 있었다. 그래서 윤홍식 인하대 교수의 <한국 복지국가의 기원과 궤적>은 '가뭄의 단비'와 같다. [바로가기]

[한귀영의 프레임 속으로] 다시 '문재인의 시간'이 올까 / 한귀영
지난 6개월동안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는 10%대에 묶여있던 정당 지지도를 20%대까지 복원시켰다. 그러나 잇다른 실수로 황 대표가 주춤하고 있는 지금, 문재인 정부에게 기회가 왔다. [바로가기]
HERI 인물

"홀로 월남해 마음속 울림따라 구십평생 '내 길' 개척해왔다" 
우리나라의 첫 사회복지학 박사이자 국제개발협력 전문가인 박보희 한국사회정보연구원장은 스스로를 '여성'이나 '남성'의 틀 안에 가두지 않았다. 시작부터 지금까지 늘 새로운 삶을 살아온 박보희 원장을 만났다. [바로가기]
HERI 신간 서평

위기는 끝나지 않았다, 다른 얼굴로 찾아올 뿐 
2008년 금융위기가 세계를 휩쓴지 10년이 지났다. 미국에서 시작된 불씨는 유럽을 통해 세계로 번졌다. 미국의 양적완화로 가까스로 잡힌 불길은 유로존 위기를 거쳐 극우정치의 확산으로 다시 우리를 찾아왔다. [바로가기]

50대·20대 모녀가 바라본 앤과 도로시
캔디부터 삐삐까지 '어린 나'의 그녀들을 다시 만나다. 지금은 어른이 된 50대 엄마와 20대 딸이 여성 주인공들을 불러 오늘의 시선으로 다시 해석한다. [바로가기]

HERI REVIEW 구독하기
이 메일은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과 인연이 있는 분들께 발송됩니다. 
HERI REVIEW를 함께 나누고 싶으신 분이 있다면 이 이메일을 전해주세요.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서울 마포구 효창목길6 한겨레미디어 본사 3층 02-710-0070

www.heri.kr
발행인 : 양상우 / 편집인 : 김종구 / 원장 : 이창곤
시민경제센터 / 사회정책센터 / 여론과데이터센터 / 한겨레평화연구소
HERI REVIEW는 한 달에 두 번 발송됩니다.
뉴스레터 수신을 원치 않으시면 '수신거부 Unsubscribe'를 눌러주십시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수
188 [HERI REVIEW] “성장 대신 행복을!”…‘행복의 경제학’ 어떻게 봐야 할까 HERI 2019-04-01 13481
187 [HERI REVIEW] “약탈적 공유경제는 가라”…플랫폼 협동조합이 뜬다 HERI 2019-04-15 10085
186 [HERI REVIEW] “기초생활보장제도 부양의무자 기준, 전면 폐지하겠다 HERI 2019-04-29 15845
185 [HERI REVIEW] 디지털 플랫폼 경제, 화려한 만큼 짙어지는 노동의 그늘 admin 2019-05-13 13501
184 [HERI REVIEW] “기득권층과 실망한 지지자들, 양쪽의 공격 받는 엄중한 상황” admin 2019-05-27 15590
183 [HERI REVIEW] "기다림의 1년, 애태움의 6개월, 분노의 3개월" admin 2019-06-20 9879
182 [HERI REVIEW] "가장 중요한 재정 절감 방식은 국민을 건강하게 만드는 것" HERI 2019-06-25 9129
» [HERI REVIEW] 사회적경제 주간 특집 HERI 2019-07-23 8911
180 [HERI REVIEW] 지역에 ‘다른 돈’이 돈다…1년 사이 6배 몸집 불어난 ‘지역화폐’ HERI 2019-07-23 8833
179 [HERI REVIEW] 페이스북 대 중앙은행의 결투?…‘화폐는 누구 것’ 관점에서 봐야 HERI 2019-08-06 8876
178 [HERI REVIEW] 도시재생은 시민 손으로…‘1유로의 기적’은 어떻게 이뤄졌나 HERI 2019-08-20 9210
177 [HERI REVIEW] 제10회 아시아미래포럼이 찾아옵니다 HERI 2019-11-04 7375
176 [HERI REVIEW] 기초보장 걸림돌 '부양의무자 기준' "2020년까지 폐지가 목표" HERI 2019-11-04 9696
175 [HERI REVIEW] "사회적경제로 남북경협의 새로운 물꼬를...." HERI 2019-11-04 7572
174 [HERI REVIEW] “화폐 민주화가 위기의 교훈”…기본소득에 새로운 지평 열릴까? HERI 2019-11-04 8715
173 [HERI REVIEW] "더 늦기 전에 GDP에서 삶의 질로 패러다임 전환해야" HERI 2019-11-04 9723
172 [HERI REVIEW] 제10회 아시아미래포럼 돌아보기 HERI 2019-11-04 10559
171 [HERI REVIEW] '어떻게' 부자에게 세금을?... '자산세'에 힘 싣는 연구 쏟아진다 HERI 2019-11-12 11009
170 [HERI REVIEW] 밀레니얼 세대가 좋아하는 뉴스의 6가지 비밀 HERI 2019-11-26 8278
169 [HERI REVIEW] 플랫폼의 ‘맷돌’에 사회적 경제의 ‘숨구멍’을 HERI 2019-12-04 10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