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가 좀체 가라앉지 않는다. 환자와 사망자가 속출하고 경제·사회적 피해 또한 막심하다. 초유의 상황이라고들 하나 이미 우리가 겪은 역사적 경험도 적잖다. 1919년 1월 <매일신보>는 스페인 독감으로 무려 742만명의 조선인 환자가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당시 한반도 인구가 1600만명이었으니 절반 가까이 감염된 것이다. 사망자 수도 14만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전염병은 전쟁이나 기근보다 더 많은 사람을 죽였다. 역학자들은 바이러스와 세균이 인간 이상으로 창조적이라고 본다. 이들은 더 강한 독성과 더 강한 내성을 얻으며 진화해, ‘다시 또는 새롭게’ 나타난다. 1951년 이후의 전염병 유행 기록을 보니 거의 한 해 또는 서너 해 걸러 신종 감염병이 등장했다. 5억년 전의 화석에서도 감염 흔적이 있다는 연구도 있다. 이쯤 되면 감염병의 출현은 “자연의 기본 현상”이다. 그래서 <전염병의 문화사> 저자인 아노 칼렌은 “(전염병을 피할) 마법의 도시는 없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