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2020.03.04

오늘 미국 정치권은 2020 미국 대선 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의 최대 승부처인 ‘슈퍼 화요일’로 한껏 달아올랐습니다. 그 중심에 '그린뉴딜'이 있습니다. 그린뉴딜(Green New Deal)은 기후위기 극복에서 출발해 경제•산업 체제의 대전환으로 이어지는 종합적인 개혁정책입니다. 버니 샌더스, 엘리자베스 워런 등 미국 민주당의 주요 대통령 후보들은 발 빠르게 그린뉴딜을 이번 대선의 핵심 공약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은 분위기가 좀 다릅니다. 총선을 앞두고 녹색당과 정의당이 그린뉴딜 경제전략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지만 집권당인 더불어민주당이나 제1야당인 미래통합당은 눈에 띄는 공약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지난달 28일 국토환경연구원과 기후변화행동연구원, 녹색전환연구소 주관으로 ‘우리나라에서 그린뉴딜이 가능한가’라는 주제에 대한 시민정책포럼이 열렸습니다.

“한국형 그린뉴딜 만들어 선제적으로 대응할 때”

“디트로이트를 그린뉴딜의 엔진으로 만들자” 지난해 9월 미국 디트로이트 시내를 인파로 메운 시민단체들이 내건 구호다. 미 미시건주 디트로이트 시는 60~70년대 자동차 산업으로 호황을 누렸던 지역이다. 2016년 대선에선 기후위기를 전면 부인하는 공화당 대통령 후보 도널드 트럼프를 지지했던 대표적 ‘러스트벨트’지역 (제조업 사양화로 불황을 겪는 지역)이기도 하다. 불과 4년 만에 이런 도시의 한복판에 그린뉴딜 정책 입안을 요구하는 함성이 울려 퍼진 이유는 뭘까?

[유레카] 코로나19 대응, “가장 무서운 약점” / 이창곤

코로나19 사태가 좀체 가라앉지 않는다. 환자와 사망자가 속출하고 경제·사회적 피해 또한 막심하다. 초유의 상황이라고들 하나 이미 우리가 겪은 역사적 경험도 적잖다. 1919년 1월 <매일신보>는 스페인 독감으로 무려 742만명의 조선인 환자가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당시 한반도 인구가 1600만명이었으니 절반 가까이 감염된 것이다. 사망자 수도 14만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전염병은 전쟁이나 기근보다 더 많은 사람을 죽였다. 역학자들은 바이러스와 세균이 인간 이상으로 창조적이라고 본다. 이들은 더 강한 독성과 더 강한 내성을 얻으며 진화해, ‘다시 또는 새롭게’ 나타난다. 1951년 이후의 전염병 유행 기록을 보니 거의 한 해 또는 서너 해 걸러 신종 감염병이 등장했다. 5억년 전의 화석에서도 감염 흔적이 있다는 연구도 있다. 이쯤 되면 감염병의 출현은 “자연의 기본 현상”이다. 그래서 <전염병의 문화사> 저자인 아노 칼렌은 “(전염병을 피할) 마법의 도시는 없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말한다.

이 메일은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과 인연이 있는 분들께 발송됩니다. 
HERI REVIEW를 함께 나누고 싶으신 분이 있다면 이 이메일을 전해주세요.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서울 마포구 효창목길6 한겨레미디어 본사 3층 02-710-0070

www.heri.kr
발행인 : 양상우 / 편집인 : 김종구 / 원장 : 이창곤
시민경제센터 / 사회정책센터 / 여론과데이터센터 / 한겨레평화연구소
HERI REVIEW는 한 달에 두 번 발송됩니다.
뉴스레터 수신을 원치 않으시면 '수신거부 Unsubscribe'를 눌러주십시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28 [HERI REVIEW] 아시아미래포럼 돌아보기 (2018년 11월 13일치) HERI 2018-11-13 12441
27 [HERI REVIEW] 좋은 통계의 필요성 (2018년 8월 13일치) HERI 2018-08-16 12564
26 [HERI REVIEW] 광주형 일자리가 새로운 '일의 미래' 열까 [2019.03.12] admin 2019-03-15 12970
25 [HERI REVIEW]시골로 간 도시청년들…지역재생의 중심에 서다 HERI 2022-01-17 13069
24 [HERI REVIEW] “성장 대신 행복을!”…‘행복의 경제학’ 어떻게 봐야 할까 HERI 2019-04-01 13461
23 [HERI REVIEW] 디지털 플랫폼 경제, 화려한 만큼 짙어지는 노동의 그늘 admin 2019-05-13 13486
22 [HERI REVIEW] 마이클 마멋 경이 말하는 건강불평등(2017년 12월 11일자) HERI 2018-05-09 13609
21 [HERI REVIEW] 우파의 '자본주의 구하기'는 성공할까? [2019.01.29] HERI 2019-01-29 13642
20 [HERI REVIEW] 주거복지 특집 (2018년 3월 14일자) HERI 2018-05-09 13673
19 [HERI REVIEW] 정부가 시민의 자발성을 높이는 방법 (2018년 1월 15일자) HERI 2018-05-09 13727
18 [HERI REVIEW] 도전 6·13―여성과 청년, 생활정치를 바꾼다 (2018년 5월 23일자) HERI 2018-05-23 13957
17 [HERI REVIEW] 2017아시아미래포럼을 정리하며 (2017년 11월 21일자) HERI 2018-05-09 14107
16 [HERI REVIEW] 소득주도성장이 직면한 과제 (2018년 7월 2일치) HERI 2018-07-03 14592
15 [HERI REVIEW] 제9회 아시아미래포럼 미리보기 (2018년 10월 29일치) HERI 2018-11-05 14675
14 [HERI REVIEW] 저소득층 소득 감소, 그 원인과 대책은? [2019.02.11] HERI 2019-02-11 14719
13 [HERI REVIEW] 문재인 정부의 포용성장과 포용국가 (2018년 12월 04일치) HERI 2018-12-04 14977
» [HERI REVIEW] “한국형 그린뉴딜 만들어 선제적으로 대응할 때” HERI 2020-03-05 15467
11 [HERI REVIEW] “기득권층과 실망한 지지자들, 양쪽의 공격 받는 엄중한 상황” admin 2019-05-27 15577
10 [HERI REVIEW] “기초생활보장제도 부양의무자 기준, 전면 폐지하겠다 HERI 2019-04-29 15829
9 [HERI REVIEW] 집합적 임팩트: 함께 문제를 해결하는 법 (2018년 6월 19일치) HERI 2018-06-19 16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