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5426_1581037243.png

2021.06.28

5426_1624857545.png

5426_1624865326.jpeg


경기도가 올해 하반기에 시행을 계획하고 있는 농촌기본소득 시범사업은 전국민이 아닌 지역 단위에서 기본소득의 효과를 미리 검증한다는 취지 뿐 아니라, 농촌 주민들에게 지역화폐로 소득을 지원하는 정책이 국토균형발전과 지역순환경제의 마중물이 될 수 있는지를 확인한다는 목적도 갖고 있다. 기본소득의 시범사업으로서의 의미 뿐 아니라, 지역과 농업 분야의 전환적인 정책이란 의미도 있는 셈이다.

5426_1624845242.jpg

“농촌기본소득, 기후위기 시대 농촌 가치 지키는 게 목표”

인터뷰 | 이한주 경기연구원장 한국 사회에서 기본소득은 더이상 낯선 말이 아니다. 모든 국민에게 동일한 금액의 현금을 아무런 조건 없이 지급하자는 제안은 지금 차기 대선주자들이 논쟁을 벌일 만큼 주요 정책 이슈로 떠올랐다. 불과 몇년 전까지 만해도 실현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졌던 것을 감안하면 상전벽해다. 여기엔 경기도의 기여가 컸다.

5426_1624846538.jpg


경기도의 농촌기본소득은 농촌 지역 한 곳을 골라 모든 주민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다른 나라의 기본소득 실험과 다르다. 이러한 정책시도는 기본소득이 농촌지역 주민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기대로 시작되었다. 그렇다면 경기도의 농촌기본소득의 기대 효과는 무엇이고, 이를 어떤 지표로 측정할 수 있을까.

농촌기본소득 시범사업은 전국이 아닌 제한된 농촌 지역에서 도입되는 것이기 때문에 필수불가결하게도 효과 측정이라는 과정이 수반될 것이다. 그리고 그 효과가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에 대해 언론과 정치권과 학계가 각자의 기호와 가치관에 따라 특정 변수들의 결과를 인용하고, 비판하고, 논쟁할 것이다. 

5426_1624847911.jpg


농촌 지역은 식량 공급, 생태계 보전, 지역사회 유지와 같은 근원적인 역할을 수행하는데도, 그 피폐화에 대한 정책적 보상은 미흡했다. 소멸 위기에 처한 지역과 농촌사회를 복원시키는 조건으로서의 ‘대안적인’ 지역경제 모델을 찾는 것이 시급한 과제다. 그런 맥락에서, 최근 주목받기 시작한 것이 바로 ‘지역순환경제’다.

승수효과는 정부가 지출하는 재정 규모 이상으로 투자와 소비를 일으켜 총수요 즉 사회 전체의 소득을 늘리는 효과다. 승수효과는 실업급여나 재난보조금과 같이 단순히 돈을 나눠주는 이전지출보다 건물과 도로 등 생산활동에 정부의 재정을 직접 투입하는 방식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야 고용 창출과 연관산업으로 재정의 온기를 확산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5426_1624854048.jpg


특히 농촌기본소득은 특정 지역 내 전체 주민에게 지급한다는 특징으로 인해 지역 내에서 소비와 생산이 연계되는 경제 순환의 효과가 정책의 주요 목표이고, 이로 인해 지역화폐의 역할도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지역화폐가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란 일각의 비판도 나온다.

최근 10여년 간 급등한 우리나라 ‘부동산 불로소득’의 규모는 얼마나 되는지, 또 불로소득을 환수하겠다는 국회와 정부의 법안 성안 작업은 어느 지점까지 와있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특히 증세에 따른 조세저항과, 불로소득으로 조성된 재원을 전국민에게 지급하는데 대한 사회적 합의를 어떻게 이끌어낼지 등도 궁금한 대목이다.

기본소득의 재원을 마련하는 방안으로는 토지보유세와 탄소세, 데이터세 등 신설세를 만들어 조달하는 것에서부터 기존의 조세제도를 재편하는 방안까지 다양하다. 토지보유세와 함께 가장 논의가 활발한 것은 탄소세다. 탄소세는 온실가스 배출량에 과세하는 것이고 탄소세배당은 그 세수를 기본소득 방식으로 분배하는 것이다. 

5426_1624855160.jpg


정책적 변화를 통해 농촌기본소득이 보편적 기본소득으로 확대될 때 도시와 농촌에서의 삶의 격차가 상당히 줄어들어야 한다. 농촌기본소득의 현실화를 위해 풀어야 할 문제가 많지만 어쨌든 이와 같은 사회적 관점의 전환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정책의 변화도 견인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의 상상력을 제공하는 농촌기본소득에 대한 논쟁과 사회적 합의의 과정을 기대해 본다.

농촌기본소득 시범사업은 정의롭고 공정한 사회를 실천해보려는 중요한 시도라 생각한다. 제주도에서 공유자산을 통한 기본소득의 가능성에 주목하고 사례를 연구한 결과, 특정 어촌마을이나 섬마을에서의 공유자산 분배구조를 기본소득으로 연결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알림

5426_1624857024.jpg

<제16회 사회적경제 정책포럼

□ 주제: 코로나 이후 사회안전망으로서 사회적경제의 역할과 전망 - 사회적기업의 궤적을 중심으로
□ 일시: 2021년 7월 6일(화) 14:00~16:10
□ 공동주관: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한국사회적경제연대회의, 사회적경제활성화전국네트워크, 한국사회적기업중앙협의회
□ 방식: 유튜브 실시간 온라인 중계 https://youtu.be/1nfTizh4yWQ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HERI 유튜브 채널)

 ※ 자료집은 행사 당일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홈페이지(heri.kr) - 아카이브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5426_1624856911.PNG

<제4회 열린SDGs 포럼> 

□ 주제: 코로나19 이후 누구도 배제하지 않는 녹색경제로의 회복을 위하여
□ 일정: 2021.7.1.(목) 14:00~18:00
□ 참가신청: 바로가기 

5426_1624241738.PNG

희망제작소 <지역차별언어 바꾸기 프로젝트- 어디 사람>

□ 모집 기간: 2021년 6월 4일 (금)~6월 30일 (수)
□ 당첨 선물: 문화상품권 5천원권 (추첨 100명)
□ 당첨 안내: 7월 둘째 주 개별 안내 드립니다.
sns_icon_homepage.pngsns_icon_facebook.png

5426_1509621811.JPG

이 메일은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과 인연이 있는 분들께 발송됩니다. 
HERI REVIEW를 함께 나누고 싶으신 분이 있다면 이 이메일을 전해주세요.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서울 마포구 효창목길6 한겨레미디어 본사 별관 3층 

www.heri.kr
발행인: 김현대 / 편집인: 백기철 / 원장: 이봉현 
더나은사회연구센터 / 어젠다센터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뉴스레터 수신을 원치 않으시면 '수신거부Unsubscribe'를 눌러주십시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68 [HERI REVIEW] 한국사회, 왜 기본소득인가?…“분배체계 큰 틀 전환 필요” HERI 2020-06-23 9013
67 [HERI REVIEW] ‘가라앉는 도시’에서 ‘혁신의 상징’으로…라이프치히가 선보인 ‘반전 드라마’ HERI 2020-01-07 9052
66 [HERI REVIEW] “2020년은 사회·경제 구조개혁 골든타임…포퓰리즘 넘어 ‘공론장’ 회복을” HERI 2020-01-23 9064
65 [HERI REVIEW]“정권교체 5년마다 원전 확대-폐기 반복 땐 탄소중립 실패” HERI 2022-05-30 9072
64 [HERI REVIEW] "가장 중요한 재정 절감 방식은 국민을 건강하게 만드는 것" HERI 2019-06-25 9129
63 [HERI REVIEW] 우리 동네 사회문제 함께 해결해볼래요? ‘플랫폼’으로 오세요 HERI 2020-10-06 9133
62 [HERI REVIEW] 도시재생은 시민 손으로…‘1유로의 기적’은 어떻게 이뤄졌나 HERI 2019-08-20 9210
61 [HERI REVIEW] ‘비대면 일상’ 떠받치는 필수 노동자…“걸맞은 대우와 지원을” HERI 2020-09-22 9359
60 [HERI REVIEW] 시대변화의 ‘아픈 손’ 맞잡아줄 청년기본법…기대해도 될까? HERI 2020-02-04 9423
59 [HERI REVIEW] 기초보장 걸림돌 '부양의무자 기준' "2020년까지 폐지가 목표" HERI 2019-11-04 9696
58 [HERI REVIEW] "더 늦기 전에 GDP에서 삶의 질로 패러다임 전환해야" HERI 2019-11-04 9723
57 [HERI REVIEW] "기다림의 1년, 애태움의 6개월, 분노의 3개월" admin 2019-06-20 9879
56 [HERI REVIEW] 미숙한 1세대와 다른 ‘2세대 협동조합’ 부흥에 주목을 HERI 2020-04-16 9904
55 [HERI REVIEW] 코로나19 특별판 HERI 2020-03-17 10014
54 [HERI REVIEW] 분배·평등보다 성장·경쟁 선호 강해진 청년들…왜? HERI 2020-01-02 10054
53 [HERI REVIEW] “약탈적 공유경제는 가라”…플랫폼 협동조합이 뜬다 HERI 2019-04-15 10087
52 [HERI REVIEW] '좋은 일자리'는 '사회적 대화'로 (2018년 3월 6일자) HERI 2018-05-09 10303
51 [HERI REVIEW] 플랫폼의 ‘맷돌’에 사회적 경제의 ‘숨구멍’을 HERI 2019-12-04 10391
50 [HERI REVIEW] 2018년을 마무리하며 (2018년 12월 31일치) HERI 2019-01-07 10434
49 [HERI REVIEW] 장하준 교수가 그리는 한국경제의 미래 (2018년 7월 30일치) HERI 2018-07-30 10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