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누진적 자산세?

5426_1517298835.png

[HERI REVIEW] 2019. 11. 11
대통령 선거를 1년 앞둔 미국에서는 조세제도 개혁을 둘러싼 논의가 달아오르고 있습니다. 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에 뛰어든 두 유력 주자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뉴욕)과 버니 샌더스(버몬트) 두 사람은 누진적 자산세를 내세우고 있습니다.  

5426_1573455865.jpg

'어떻게' 부자에게 세금을?... '자산세'에 힘 싣는 연구 쏟아진다
현재의 불평등 구조 안에서는 부자에게 세금을 물리느냐 마느냐는 더 이상의 쟁점이 되지 않는 분위기다. 논쟁의 무게중심은 이미 '어떻게'로 빠르게 옮겨가는 중이다. 그 과정에서 두 유력 대선후보가 내놓은 누진적 자산세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누진적 자산세가 무엇인지 꼼꼼히 살펴봤다.
HERI 사회정책센터 

5426_1573455875.jpg

"선 넘은 검찰에 촛불 살아있다는 걸 보여주고 싶었다"
3년 전엔 모두가 같은 마음이었다. '이게 나라냐? 박근혜로는 더이상 안된다.' 문재인 정부에 대한 기대감도 비슷했다. 하지만 조국사태는 이들을 갈라 놓았다. '나는 왜 서초동집회에 갔나' '나는 왜 서초동에 가지 않았나' 20~50대 남녀 6명이 꼭꼭 담아둔 생각들을 쏟아냈다.

5426_1573455882.jpg

볼로냐 협동조합 수뇌부들 "민관 수평적 협력관계 구축을"
이탈리아 중북부에 있는 볼로냐는 흔히 '협동조합의 성지'로 불린다. 조 단위 매출을 올리는 소비자협동조합 체인을 비롯해 농민, 낙농, 주택, 유치원, 급식, 택시, 연극, 인쇄 등 수백개 협동조합이 활발하게 활동중이기 때문이다. 이 도시의 협동조합연합회를 이끄는 리타 게디니 회장, 돌봄서비스 사회적 협동조합 '카디아이'(CADIAI) 프랑카 굴리엘메티 회장, 볼로냐시 안젤로 피오리티 정신보건 국장 등이 한국을 찾았다.  
HERI 시민경제센터 

5426_1573455974.png

"협동조합도 조직과 서비스 혁신 지속 추구해야"
이탈리아 볼로냐에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디아이'(CADIAI)는 1974년 만들어진 이후 현재 직원 1617명을 고용하는 대표적인 사회적 협동조합으로 성장했다. '카디아이'의 프랑카 굴리엘메티 회장을 만나 사회적 협동조합이 성공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비결을 물었다. 

5426_1573455896.jpg

내년에 집중할 사회적경제 제도개선 10대 과제는?
사회적경제가 양극화, 고용위기 등 시장경제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풀 수 있는 대안으로 등장한지 10년이 넘었다. 많은 양적, 질적 성장을 이뤄왔지만,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회적경제 기업의 활동을 뒷받침 할 튼튼한 제도적 기반이 부족한 탓이다. 올해 진행한 사회적경제 관련 제도개선 활동을 되돌아보고, 새로 주어진 과제들을 살펴봤다. 

5426_1573455989.png

사회적경제기업 금융 문턱 낮출 평가시스템 '시동 걸었다'
일반적인 생각과 달리 사회적기업이 창업 후 3년간 생존하는 비율은 지난 해 말 기준으로 90.5%에 달했다. 일반 기업의 41.5%에 비하면 상당히 높은 수치다. 그러나 대부분(71%)의 사회적기업의 신용평가등급은 B에서 CCC에서 분포되어 있다. 생존율은 높지만 신용평가등급은 낮은 모순의 원인과 해결책을 찾아봤다.   

5426_1573455909.jpg

경상남도, 사회적경제 활성화 금융 지원 나선다
신용보증기금이 경남 소재 사회적경제기업에 보증비율(100%)과 보증료율(0.5%, 고정보증료율)을 우대 적용하고, 경상남도는 사회적경제기업에 부담하는 대출이자 중 2.5%를 2년간 지원하기로했다. 농협과 경남은행도 사회적경제기업이 부담하는 보증료 중 0.3%를 최대 5년간 지원하고, 추가 금리 혜택을 제공할 예정이다.

5426_1573455917.jpg

이제는 ‘누구와 어떻게 공존해 살아갈지’를 고민할 때다  
'도시의 주인은 시민'이라는 명제는 이제는 의심 없이 통용되곤 한다. 그러나 시민들은 도시의 주인들로서 권리를 보장받고 있는가? 도시를 만들어낸 집단적 노동자들은 도시권을 요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소수의 개인과 법인, 국가가 대부분의 토지를 보유하고 있는 지금의 도시 구조에서는 그런 권리들을 실현해 가기 쉽지 않다. 근본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도시의 소유와 전유의 구조를 사용자와 수요자 중심으로 바꾸어 내는 일이 그 어떤 것보다 선행돼야 한다. 

5426_1573456012.png

커뮤니티의 ‘생명력’은 우리가 만들어가는 ‘과정’에 있다
이른바 '커뮤니티'라고 이름 붙인 상품과 서비스들이 사람들의 필요와 욕구를 만족하며 세력을 확장해 가고 있다. 그러나 '귀찮은 것들은 하지 않아도 되고, 공유를 통한 경제적 이득만을 누릴 수 있다'고 호도하는 것은 커뮤니티를 이용한 비즈니스일 뿐이다. 그렇다면 무엇이 커뮤니티를 커뮤니티답게 만드는가? 
HERI 칼럼

5426_1573459663.jpg

[유레카] ‘개혁과 권력의 시계추’ / 이창곤
"혁명보다 더 어려운 게 개혁"이다. 그리고 문재인 정부는 촛불정부로서 개혁정부다.  집권 반환점(9일)을 계기로 보수언론과 야당의 낙제점에서 "이렇게 달라졌습니다"라는 정부의 자기평가 보고서에 이르기까지 여러 성적표가 쏟아졌다. 분명한 것은 "기대치에 미흡하고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사실과 더불어 "성패를 말하기엔 향후 해야 할 엄중한 과제가 너무나 많다"는 점이다. [바로가기]
sns_icon_homepage.pngsns_icon_facebook.png

5426_1509621811.JPG

이 메일은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과 인연이 있는 분들께 발송됩니다. 
HERI REVIEW를 함께 나누고 싶으신 분이 있다면 이 이메일을 전해주세요.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서울 마포구 효창목길6 한겨레미디어 본사 3층 02-710-0070

www.heri.kr
발행인 : 양상우 / 편집인 : 김종구 / 원장 : 이창곤
시민경제센터 / 사회정책센터 / 여론과데이터센터 / 한겨레평화연구소
HERI REVIEW는 한 달에 두 번 발송됩니다.
뉴스레터 수신을 원치 않으시면 '수신거부Unsubscribe'를 눌러주십시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71 [HERI REVIEW] 사회적경제 주간 특집 HERI 2019-07-23 8949
70 [HERI REVIEW] 세계 주요 언론들, 기후변화 보도에 꽂혔다 HERI 2020-03-03 8985
69 [HERI REVIEW] “분권과 협치가 시대정신…사회적경제 비빌 언덕 되겠다” HERI 2020-05-07 8996
68 [HERI REVIEW] 한국사회, 왜 기본소득인가?…“분배체계 큰 틀 전환 필요” HERI 2020-06-23 9044
67 [HERI REVIEW] ‘가라앉는 도시’에서 ‘혁신의 상징’으로…라이프치히가 선보인 ‘반전 드라마’ HERI 2020-01-07 9077
66 [HERI REVIEW] “2020년은 사회·경제 구조개혁 골든타임…포퓰리즘 넘어 ‘공론장’ 회복을” HERI 2020-01-23 9098
65 [HERI REVIEW]“정권교체 5년마다 원전 확대-폐기 반복 땐 탄소중립 실패” HERI 2022-05-30 9104
64 [HERI REVIEW] 우리 동네 사회문제 함께 해결해볼래요? ‘플랫폼’으로 오세요 HERI 2020-10-06 9157
63 [HERI REVIEW] "가장 중요한 재정 절감 방식은 국민을 건강하게 만드는 것" HERI 2019-06-25 9164
62 [HERI REVIEW] 도시재생은 시민 손으로…‘1유로의 기적’은 어떻게 이뤄졌나 HERI 2019-08-20 9245
61 [HERI REVIEW] ‘비대면 일상’ 떠받치는 필수 노동자…“걸맞은 대우와 지원을” HERI 2020-09-22 9383
60 [HERI REVIEW] 시대변화의 ‘아픈 손’ 맞잡아줄 청년기본법…기대해도 될까? HERI 2020-02-04 9457
59 [HERI REVIEW] 기초보장 걸림돌 '부양의무자 기준' "2020년까지 폐지가 목표" HERI 2019-11-04 9730
58 [HERI REVIEW] "더 늦기 전에 GDP에서 삶의 질로 패러다임 전환해야" HERI 2019-11-04 9756
57 [HERI REVIEW] "기다림의 1년, 애태움의 6개월, 분노의 3개월" admin 2019-06-20 9908
56 [HERI REVIEW] 미숙한 1세대와 다른 ‘2세대 협동조합’ 부흥에 주목을 HERI 2020-04-16 9930
55 [HERI REVIEW] 코로나19 특별판 HERI 2020-03-17 10043
54 [HERI REVIEW] 분배·평등보다 성장·경쟁 선호 강해진 청년들…왜? HERI 2020-01-02 10083
53 [HERI REVIEW] “약탈적 공유경제는 가라”…플랫폼 협동조합이 뜬다 HERI 2019-04-15 10120
52 [HERI REVIEW] '좋은 일자리'는 '사회적 대화'로 (2018년 3월 6일자) HERI 2018-05-09 1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