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HERI REVIEW] 2019. 07. 22
커버 스토리

지역화폐가 '핫' 합니다. 인천, 시흥, 군산 등 여러 지방정부들이 지역화폐를 만들었고, 올해 전국에서 2조 3천억원어치의 지역화폐가 발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역화폐가 무엇인지, 문제가 있지는 않은지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이 알아봤습니다.

지역에 '다른 돈'이 된다... 1년 사이에 6배 몸집 불어난 '지역화폐'
지역화폐를 사용하면 카드 수수료가 없어 자영업자도 좋고, 할인이 되니 소비자도 좋다. 지역화폐가 어떻게 지역사회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는지, 또 우려해야할 부분은 없는지 살펴봤다.
사회정책 REVIEW

지역화폐, 제로페이, 온누리상품권... 같은 점과 다른점
요즘 식당 계산대 앞에 서면 QR코드가 심심치 않게 보인다. 그러나 이게 지역화폐는 아니라고 한다. 종류도 많고 헷갈리는 지역화폐, 제로페이, 온누리상품권. 무엇이 다른지 알아보자. 
시민경제 REVIEW

공공기관이 사회적 가치 퍼트리는 마중물 역할 하려면...
놀랍지만 당연한 사실이 있다. 공공기관은 사회적 가치를 위해 존재한다. 그러나 언제부턴가 '효율경영', '최대이익창출'과 같은 낯선 단어들이 사회적 가치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사회적 가치가 공공기관 경영의 중심에 다시 서도록 공공기관, 시민단체, 그리고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이 머리를 모았다.  [클릭해서 기사 더 보기]
HERI의 눈

혁신의 방향을 묻는 과학기술의 새 흐름... 사회문제에서 길을 찾다
2007년 아이폰이 세상에 나온 이후, 한국은 모든 역량은 '혁신'을 만드는데 쏟았다. 2019년 오늘, 돈을 벌기만을 위한 혁신은 더 이상 혁신이 아니다. 이제는 주어진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혁신이 새로운 목표로 대두되고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한 진화된 혁신정책3.0이 필요하다. 혁신정책을 혁신하기 위한 담대한 정책 혁신가가 등장해야하는 시점이다. [바로가기]
HERI 칼럼

[유레카] '시민연대'로 새 한-일 관계 물꼬를  / 이창곤 
일본의 경제재제는 대법원의 강제징용 손해배상 판결에 대한 보복이다. 일본의 행태는 군국주의 일본으로 돌아가려는 아베 정권의 맥락에서 나왔다. 따라서, 새로운 한-일 관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민주주의와 인권, 평화라는 보편 가치를 바탕으로 한 한-일 시민연대가 필요하다. 
HERI 신간 서평

복지한국, 과거를 모르면 미래로 나갈 수 없다.
사회복지 전문가인 윤홍식 교수는 어느 순간 한국 복지국가의 역사에 대해 아는 바가 없는 것이 부끄러워졌다. 그래서 7년간 연구에 몰두했다. 그리고 정치와 경제, 사회를 통합해 한국 복지국가의 역사를 정리한 첫 번째 책이 탄생했다. [바로가기]

'유럽의 병자' 조롱받던 독일의 화려한 변신
독일은 '고실업-저성장-저고용'의 악순환을 벗고 2000년대 중반을 너머서며 어느새 유럽의 강자로 부상했다. '고용 기적'을 이룬 독일의 발자취를 따라가며 한국사회가 던진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다. [바로가기]

HERI REVIEW 구독하기
이 메일은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과 인연이 있는 분들께 발송됩니다. 
HERI REVIEW를 함께 나누고 싶으신 분이 있다면 이 이메일을 전해주세요.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서울 마포구 효창목길6 한겨레미디어 본사 3층 02-710-0070

www.heri.kr
발행인 : 양상우 / 편집인 : 김종구 / 원장 : 이창곤
시민경제센터 / 사회정책센터 / 여론과데이터센터 / 한겨레평화연구소
HERI REVIEW는 한 달에 두 번 발송됩니다.
뉴스레터 수신을 원치 않으시면 '수신거부 Unsubscribe'를 눌러주십시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86 [HERI REVIEW] 한국사회, 왜 기본소득인가?…“분배체계 큰 틀 전환 필요” HERI 2020-06-23 9839
85 [HERI REVIEW] ‘강소국’ 핀란드 경쟁력의 원천은 혁신과 복지, 배움의 선순환 HERI 2020-06-17 8381
84 [HERI REVIEW] 주인이 100명인 마을펍…‘시민자산화’로 직진 HERI 2020-06-10 9294
83 [HERI REVIEW] 데이터로 살펴본 삶의 만족도…“여러분은 얼마나 행복하신가요?” HERI 2020-06-02 8317
82 [HERI REVIEW] 마을이 실험실 주민은 연구원…사회혁신 ‘리빙랩’이 뜬다 HERI 2020-05-21 9798
81 [HERI REVIEW] “문재인 정부 ‘코로나 대응’…방역 신속했지만 사회·경제 정책은 지체” HERI 2020-05-12 9232
80 [HERI REVIEW] “분권과 협치가 시대정신…사회적경제 비빌 언덕 되겠다” HERI 2020-05-07 9797
79 [HERI REVIEW] “협동조합 가치, 위기 때 더 빛나…코로나 해법도 연대·협력에서 찾자” HERI 2020-04-21 7936
78 [HERI REVIEW] 미숙한 1세대와 다른 ‘2세대 협동조합’ 부흥에 주목을 HERI 2020-04-16 10694
77 [HERI REVIEW] “기존 질서 무너져 내리는 중...공공성 강화로 대전환해야 할 때” HERI 2020-04-10 8300
76 [HERI REVIEW] “20여년 방황 거쳐 찾은 사회정의의 해법은 ‘토론’이죠” HERI 2020-04-03 10097
75 [HERI REVIEW] “‘사회 주역은 청년’ 솔직히 인정해야”…‘청년 정치’ 핀란드가 주는 교훈 HERI 2020-03-31 8659
74 [HERI REVIEW] "재난이 쏘아올린 기본소득 논의?" HERI 2020-03-25 9634
73 [HERI REVIEW] 코로나19 특별판 HERI 2020-03-17 10893
72 [HERI REVIEW] “한국형 그린뉴딜 만들어 선제적으로 대응할 때” HERI 2020-03-05 16503
71 [HERI REVIEW] ‘세원 확충 없는 복지확대’ 언제까지 가능할까? HERI 2020-03-03 8938
70 [HERI REVIEW] 세계 주요 언론들, 기후변화 보도에 꽂혔다 HERI 2020-03-03 9782
69 [HERI REVIEW] ‘세계 협동조합인’ 축제의 서막이 올랐다 HERI 2020-03-03 7888
68 [HERI REVIEW] HERI 추천 2020 놓치지 말아야 할 행사 10가지 HERI 2020-02-10 8798
67 [HERI REVIEW] 시대변화의 ‘아픈 손’ 맞잡아줄 청년기본법…기대해도 될까? HERI 2020-02-04 100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