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2021.06.14 농촌기본소득 ‘백가쟁명’…논쟁 딛고 성공할까 경기도가 하반기 시범 실시를 준비 중인 농촌기본소득의 다양한 쟁점과 과제를 다루는 토론회가 지난 8일 한겨레신문사에서 열렸다. ‘동명다형(同名多形)의 기본소득 시대, 농촌기본소득의 쟁점과 과제’를 주제로 열린 ‘제4회 농촌기본소득 정책포럼’은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과 경기도농수산진흥원,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민간 정책연구소 랩2050, 고려대 정부학연구소, 지역재단, 국회 기본소득 연구포럼, 경기도의회 기본소득 연구포럼 등이 함께 마련했다. 사람과 디지털 연구소 “동의없는 이용자 추적 차단” 인터넷 서비스 대세될까? 이용자 동의없는 ‘맞춤형 광고’는 편리한 기술인가,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을 무시한 침입적 마케팅인가. 애플이 도입한 이용자 정보 추적 방지 기능이 인터넷 서비스 방식과 생태계에 근본적 변화를 가져오는 계기가 될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더 중요한 변화는 이용자들이 ‘앱 추적 투명성’ ‘프라이버시 보고서’ 등의 서비스를 통해 그동안 의식하지 못했던 정보 주체로서의 자기결정권에 눈을 뜨고 있다는 점이다. SNS ‘사진 태그’ ‘위치정보’는 해커의 ‘먹이’ 보안전문가들은 소셜미디어별로 다른 프로필 사진을 사용하라고 권한다. 인스타그램이나 핀터레스트에서 사용자 이름이 달라도 사진이 같으면 인공지능은 순식간에 동일인 계정임을 알아낸다. 또한 사진에는 위치정보나 태그를 지정하지 않는 게 좋다. 사진에 위치태그를 입력해놓으면 대상자가 최근 방문한 장소를 기반으로 정교한 피싱용 정보를 만들어낼 수 있다. 메타버스는 인공지능, 블록체인과 함께 정보기술의 미래로 주목받는다. 엔비디아 창업자 젠슨 황은 최근 “메타버스에서 설계·디자인하는 제품이 유니버스(현실세계)의 제품보다 많아지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말했다. 모든 게 연결되고 디지털화함에 따라 점점 더 가상이 현실을 대체할 것이라는 기대다. 가상기술의 발달, 비대면의 일상화, 엠제트(MZ)세대의 콘텐츠 이용 습관, 증가하는 글로벌 유동성 등이 전망의 배경이다. 알림 가사노동법 제정 및 ILO가사노동자협약 채택 10주년 기념행사 - 일시: 2021년 6월 16일(수) 13:00~15:00 - 장소: 한국노총 6층 대회의실 - 선착순 30명 현장 참석. 나머지 분들께는 유튜브 링크를 보내드립니다. ※ 신청 링크: https://forms.gle/PRoF4jvYmTVYz5v3A 이 메일은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과 인연이 있는 분들께 발송됩니다. HERI REVIEW를 함께 나누고 싶으신 분이 있다면 이 이메일을 전해주세요.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서울 마포구 효창목길6 한겨레미디어 본사 별관 3층 www.heri.kr 발행인: 김현대 / 편집인: 백기철 / 원장: 이봉현 더나은사회연구센터 / 어젠다센터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뉴스레터 수신을 원치 않으시면 '수신거부Unsubscribe'를 눌러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