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2021.05.24 ‘녹색전환’ 성공하려면…“취약계층 포용하는 투명한 파트너십에 달렸다” 기후위기와 저성장 경제 상황을 타파하기 위해 등장한 그린뉴딜, 녹색전환에 세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정책 지원과 시장 참여가 어우러지는 정부, 기업 간 녹색전환 파트너십에 대한 논의가 빠르게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시민사회에선 인류의 생명이 달린 기후위기를 다루는 그린뉴딜이 경제적 가치가 우선하는 시장 주도의 전환이 되어서는 안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HERI 뉴스 “기후변화 배운 적 없는데 어떻게 목소리 내나요?” 지난 14일 서울 동작구 서울여성플라자에서 열린 ‘P4G 시민사회포럼’에서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시민사회의 다양한 활동 사례를 공유하고, 교육·장애 등 분야별로 기후위기 대응 정책을 제안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청소년 대표로 참여한 이아영 서울 대진디자인고 2학년 학생은 “학교는 국·영·수 과목만 강조하지 말고, 우리 삶에서 진정으로 필요한 것들을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재난현장 아이들 보며 ‘렌즈 뒤에 숨지 말자’ 결심했죠” “환경 문제는 저와 상관없는 일이라고 생각했었죠. 그러다 재난 현장을 직접 가서 보면서 마음이 바뀌었죠. 재난은 특정 지역에서 일어나는 특별한 사건이 아니라 조만간 인류가 마주하게 될 모습이라는 걸요. 작년부터 지구촌을 휩쓸고 있는 코로나19가 대표적이죠.”어린 시절 영화 <인디아나 존스>를 보고 고고미술사학자를 꿈꿨다는 강 작가는 과거 미술품의 역사적 의미를 밝히는 일 대신, 문명의 현재와 미래를 기록하는 환경 사진가의 길을 걷고 있다. HERI 칼럼 '사이버 인질극'이 바꿀 인터넷 구조 [유레카] 주요 기관이나 기업의 전산시스템에 침투해 데이터와 운영권한을 탈취한 뒤 몸값을 요구하는 랜섬웨어(Ransomeware) 범죄다. 랜섬웨어는 몸값(Ransome)과 악성코드(malware)를 합성한 단어로, 사이버 인질극을 말한다. 추적이 불가능한 다크웹과 익명화 네트워크 토르를 사용하고 몸값으로는 암호화폐를 요구한다. 알림 <제4회 농촌기본소득 정책포럼> □ 주제: 동명다형(同名多形)의 기본소득 시대, 농촌기본소득의 쟁점과 과제 □ 일시: 2021년 6월 8일(화) 14:00~17:00 □ 공동주관: 경기도농수산진흥원,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사단법인 랩2050, 지역재단,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국회 기본소득 연구포럼, 경기도의회 기본소득 연구포럼,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방식: 유튜브 실시간 온라인 중계 https://youtu.be/r_xBBN5F0hg (한겨레TV 유튜브 채널) *영상 촬영 및 중계(한겨레 TV) / 자막 제공(AUD사회적협동조합) ※ 자료집은 행사 당일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홈페이지(heri.kr) - 아카이브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 메일은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과 인연이 있는 분들께 발송됩니다. HERI REVIEW를 함께 나누고 싶으신 분이 있다면 이 이메일을 전해주세요.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서울 마포구 효창목길6 한겨레미디어 본사 별관 3층 www.heri.kr 발행인: 김현대 / 편집인: 백기철 / 원장: 이봉현 더나은사회연구센터 / 어젠다센터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뉴스레터 수신을 원치 않으시면 '수신거부Unsubscribe'를 눌러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