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이 메일이 잘 안 보이신다면? 브라우저로 보기

2021.02.02
지난달 29일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은 경기도농수산진흥원,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민간 정책연구소 랩2050, 고려대 정부학연구소, 지역재단과 함께 제1회 농촌기본소득 정책포럼 '지역공동체 중심 기본소득 사회실험의 의미와 쟁점'을 열었습니다. 앞으로 두 번의 포럼과 한 번의 학술 공모전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농촌 소멸 문제의 대안을 제시하고 과학적인 제도 마련의 기틀이 될 농촌기본소득 사회실험에 대한 전문가들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해삼 어장이 섬주민 공유자산으로…“농촌 기본소득 실험 재발견”

경기도가 올해 하반기에 실시할 계획인 농촌기본소득 사회실험의 의미와 쟁점을 짚어보는 자리가 마련됐다. ‘지역공동체 중심 기본소득 사회실험의 의미와 쟁점'이란 주제로 지난 29일 개최된 제1회 농촌기본소득 정책포럼에서 인도의 기본소득 실험, 국내 장고도(충남 보령)와 제주도에서의 공유자산 수익 분배 등의 사례가 소개되고 시사점이 논의됐다. 이번 포럼은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이 경기도의 농촌기본소득 사회실험을 주관하는 경기도농수산진흥원,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민간 정책연구소 랩2050, 고려대 정부학연구소, 지역재단과 함께 마련했다. 일부 발제자와 토론자는 온라인으로 참여했다.

‘모두에게 다달이’ vs ‘일정 시기에 목돈으로’ 불평등 사회 해법, 기본소득일까 기본자산일까

불평등이 시대적 과제로 부상하면서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는 의제가 기본소득제와 기본자산제다. 모든 개인에게 아무 조건 없이 정기적으로 현금을 지급하는 기본소득제와 인생의 특정 시점을 맞이한 이들에게 한번에 목돈을 주는 기본자산제는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현실성이 떨어지는 이상적인 제도로 여겨졌지만, 어느덧 제도권 정치의 영역에서 논의되고 있다.

시민·전문가·공기업 의기투합…“폐광지역 문제 해결해요!”

강원랜드가 폐광지역 문제 해결 등 공기업으로서 사회 가치 실현을 위해 혁신전문가들의 지원으로 운영한 2기 시민참여혁신단이 20개 최종 솔루션을 제시하며 활동을 마무리했다. 강원랜드는 지난해 2월부터 1년간 추진한 ‘강원랜드 사회가치혁신 프로젝트 싹’의 결과를 지난 27일 온라인으로 열린 성과공유회를 통해 소개했다.

줄세우기식 선별적 산업정책을 버려야 산업이 산다

세계적으로 산업정책을 성공적으로 실행한 나라로 인정받고 있는 우리나라는 산업정책이라고 하면 으레 경제 및 산업의 전반적인 성장을 추동하고 선도할 수 있는 특정한 산업을 선정하여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러한 인식 때문에 우리나라의 역대 정부는 혁신, 녹색, 창조 등의 이름으로 다르게 불렸지만 특정 산업을 선별하고 해당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는 동일한 방식으로 산업정책을 수행해 온 것이다.

이 메일은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과 인연이 있는 분들께 발송됩니다. 
HERI REVIEW를 함께 나누고 싶으신 분이 있다면 이 이메일을 전해주세요.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서울 마포구 효창목길6 한겨레미디어 본사 3층 02-710-0070

www.heri.kr
발행인 : 김현대 / 편집인 : 백기철 / 원장 : 유강문
시민경제센터 / 사회정책센터 / 한겨레평화연구소
뉴스레터 수신을 원치 않으시면 '수신거부 Unsubscribe'를 눌러주십시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수
117 [HERI REVIEW] “65살 인턴 됐어요” 인생 2막 시작하는 젊은 노인들 HERI 2020-10-20 6307
116 [HERI REVIEW] ‘탄소배출 제로’ 우리가 먼저…성대골의 ‘그린뉴딜’ 실험 HERI 2020-10-28 6913
115 [HERI REVIEW] 일자리부터 기후위기 대응까지…지역 혁신으로 가는 ‘플랫폼’ HERI 2020-11-06 5838
114 [HERI REVIEW] “5년 뒤면 천만 노인시대인데 아직도 죽음 외면하고 준비 안해” HERI 2020-11-17 6258
113 [2020아시아미래포럼 첫째 날 행사 미리보기] 팬데믹 이후의 세계: '연결'에서 '연대'로 HERI 2020-11-30 5115
112 [2020아시아미래포럼 둘째 날 행사 미리보기] 코로나 이전 시스템은 잊어라…이젠 연대의 시대 HERI 2020-12-09 6613
111 [HERI REVIEW] 시민이 이끄는 에너지전환…‘화력발전 도시’ 당진의 담대한 도전” admin 2020-12-14 4227
110 [HERI REVIEW] 경기도 사회적경제 규모화로 제2의 도약 꿈꾼다 HERI 2020-12-22 4420
109 [HERI REVIEW] 수도권-비수도권 불균형 더 깊어져…“국가 대개조 차원의 전환 필요” HERI 2020-12-29 4586
108 [HERI REVIEW] 또 해 넘긴 사회적경제 기본법, 언제까지 미룰 건가요? HERI 2021-01-11 4298
107 [HERI REVIEW] 햇빛발전부터 생태관광까지…그린뉴딜도 사회적 경제가 딱! HERI 2021-01-19 5402
» [HERI REVIEW] 해삼 어장이 섬주민 공유자산으로…“농촌 기본소득 실험 재발견” HERI 2021-02-02 4090
105 [HERI REVIEW] 재난지원금 효과 어땠길래?…‘전국민’ 지원 논쟁 다시 수면 위로 HERI 2021-02-10 6020
104 [HERI REVIEW] 물음표가 느낌표로…지리산에서 들썩이는 ‘작은 변화’ HERI 2021-03-10 4171
103 [HERI REVIEW] "국가가 돌보지 않으면 국민은 포퓰리즘으로 내몰린다" HERI 2021-03-10 6779
102 [HERI REVIEW] 소멸·기후위기에 ‘겹시름’…“농민들에게 안정적인 소득을” HERI 2021-03-10 4565
101 [HERI REVIEW] 기본소득, 불평등 해법일까 저효율 해법일까? HERI 2021-03-22 3471
100 [[HERI REVIEW] “보호받지 못할 노동은 없다”…프리랜서에 협동조합 울타리를! HERI 2021-03-22 5878
99 [HERI REVIEW] “범죄자 자녀라는 낙인, 수용자 자녀들은 죄인이 아닙니다” HERI 2021-04-05 4597
98 [HERI REVIEW] "헌법 1조, 국가는 기후변화와 맞서 싸운다" HERI 2021-04-10 36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