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이 메일이 잘 안 보이신다면? 브라우저로 보기

2020.08.10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은 지난달 20일부터 '사회적 경제 3법 이번에는 꼭!' 시리즈를 연재해왔습니다. 미래 경제의 틀이 될 사회적 경제 3법을 정리했습니다. '사회적 경제 기본법'(사회적 경제 기본법), '공공기관의 사회적 가치 실현에 관한 기본법'(사회적 가치법)에 이어 이번에는 '사회적 경제 기업 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특별법'(판로지원법)을 소개합니다. 

 공공조달은 사회적경제의 숨구멍…“‘우선구매 의무’ 법제화를”

모름지기 기업은 시장에 물건을 내다팔아야 존속할 수 있다. 기업인들이 너나없이 판로 개척에 사활을 거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사회적 경제 기업도 다르지 않다. 정부는 사회적 경제를 ‘구성원 간 협력·자조를 바탕으로 재화와 용역의 생산 및 판매를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민간의 모든 경제적 활동’(2017년 10월, 관계부처 합동 사회적 경제 활성화 방안)이라고 정의한다. 여기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사회적 가치’이다. 취약계층 고용 및 사회서비스 제공, 지역 문제 해결과 같은 사회적 가치 창출은 사회적 경제 기업의 존재 이유지만, 시장에서 다른 영리기업들과 경쟁해야 하는 상황에선 ‘족쇄’로 작용하기도 한다. 경제적 가치(이윤) 달성에 온 힘을 쏟는 일반 기업과 달리, 사회적 경제 기업은 경제적 가치와 함께 사회적 가치도 추구해야 하기 때문이다. 다리에 묵직한 모래주머니를 차고 달리기 시합에 나서는 것이나 다름없다. ‘사회적 가치 추구’라는 본질적 특성으로 인해 시장 경쟁력이 취약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경제적 효율성’에서 ‘공공성’으로…“우리 사회의 핸들을 꺾자”

① “기본법은 사회적 경제의 든든한 밑돌…올해 안 제정돼야”

코로나로부터 누구를 먼저 살릴 것인가?

지난 2월 초 전국 곳곳의 약국에는 마스크를 사려는 사람들로 장사진을 이뤘다. 대형병원들은 격리병동과 중환자실이 부족해 찾아온 환자들을 다시 구급차에 실었다. 의료진은 콧등에 상처가 날 때까지 마스크를 쓰고 쉼 없이 환자들을 돌봤다. 모두 코로나19로 인한 감염병 대유행이 낳은 ‘의료자원 위기’의 단면들이다. 이번 코로나 사태는 ‘마스크 대란’에서부터 병상 배정의 우선순위까지 의료 자원 배분의 공정성 문제를 새삼 부각시켰다. 이 모든 것들이 해결되기도 전에 아직 개발이 끝나지도 않은 백신과 치료제를 둘러싼 각국의 쟁탈전이 예상된다. 지난 23일 사단법인 시민건강연구소는 ‘코로나 19, 누구를 먼저 살릴 것인가’를 주제로 온라인 토론회를 열었다. 코로나19가 던진 의료자원 위기에 관해 의료계와 시민사회의 진단과 해결책을 한 자리에 모았다.

<제13회 사회적경제 공모전 안내> 

우리 주변의 사회적경제기업의 이야기를 유튜브 영상으로 담아내는 '제13회 사회적경제 공모전'을 진행합니다.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참여대상: 만13세~39세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개인, 팀 가능) 
 ○ 접수기간: 2020년 7월 1일 ~ 8월 31일 
 ○ 출품규정: 30초~2분30초 자유 형식의 동영상  
 ※ 문의: 사회적경제공모전 사무국: 02-2181-7919 
 ※ 자세한 내용 확인하기: https://secontest.net/

이 메일은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과 인연이 있는 분들께 발송됩니다. 
HERI REVIEW를 함께 나누고 싶으신 분이 있다면 이 이메일을 전해주세요.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서울 마포구 효창목길6 한겨레미디어 본사 3층 02-710-0070

www.heri.kr
발행인 : 김현대 / 편집인 : 백기철 / 원장 : 유강문
시민경제센터 / 사회정책센터 / 한겨레평화연구소
뉴스레터 수신을 원치 않으시면 '수신거부 Unsubscribe'를 눌러주십시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117 [HERI REVIEW] “정의로운 전환은 시대정신, 사회·경제 대개혁에 다시 시동 걸어야” HERI 2021-04-23 6424
116 [HERI REVIEW]‘글로벌 게임 체인저’ ESG, 윤 당선자-경제계 ‘친기업’ 유착에 위기 HERI 2022-04-04 6433
115 [HERI REVIEW]“재정 안정·보장성 강화는 함께 갈 두 바퀴…공통분모 넓혀야” HERI 2022-03-21 6439
114 [HERI REVIEW]“주주자본주의 앞세운 경총의 노동이사제 반대는 시대착오적” HERI 2022-03-07 6473
113 [HERI REVIEW] ‘코로나 삶’ 암울하지만 공적기구 신뢰 커졌다 HERI 2020-06-30 6480
112 [HERI REVIEW] 정년 연장 논의 왜 필요한가…“부담 나눠 짊어지는 게 미래 이익” HERI 2021-05-31 6609
111 [2020아시아미래포럼 둘째 날 행사 미리보기] 코로나 이전 시스템은 잊어라…이젠 연대의 시대 HERI 2020-12-09 6615
110 [HERI REVIEW] 노년의 삶 파괴하는 가난은 국민연금 사각지대를 노린다 HERI 2020-09-14 6665
109 [HERI REVIEW] 실패도 위험도 공유…사회안전망이 혁신을 춤추게 한다 admin 2020-09-01 6689
108 [HERI REVIEW] “협동조합 가치, 위기 때 더 빛나…코로나 해법도 연대·협력에서 찾자” HERI 2020-04-21 6775
107 [HERI REVIEW] "국가가 돌보지 않으면 국민은 포퓰리즘으로 내몰린다" HERI 2021-03-10 6783
106 [HERI REVIEW] ‘세계 협동조합인’ 축제의 서막이 올랐다 HERI 2020-03-03 6799
105 [HERI REVIEW] HERI 추천 2020 놓치지 말아야 할 행사 10가지 HERI 2020-02-10 6858
104 [HERI REVIEW] ‘탄소배출 제로’ 우리가 먼저…성대골의 ‘그린뉴딜’ 실험 HERI 2020-10-28 6914
103 [HERI REVIEW] 제10회 아시아미래포럼이 찾아옵니다 HERI 2019-11-04 6932
102 [HERI REVIEW] 데이터로 살펴본 삶의 만족도…“여러분은 얼마나 행복하신가요?” HERI 2020-06-02 6977
101 [HERI REVIEW] ‘강소국’ 핀란드 경쟁력의 원천은 혁신과 복지, 배움의 선순환 HERI 2020-06-17 7012
100 [HERI REVIEW] “기존 질서 무너져 내리는 중...공공성 강화로 대전환해야 할 때” HERI 2020-04-10 7016
99 [HERI REVIEW]“짓지도 않고 아파트 파는 나라…이제 물건 보고 고를 때 됐다” HERI 2022-02-21 7089
98 [HERI REVIEW] 국회로 간 ‘행복기본권’…‘국민총행복(GNH) 시대’ 열릴까? HERI 2020-07-17 7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