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이 메일이 잘 안 보이신다면? 브라우저로 보기

2020.06.30
불안과 불확실성의 시대다. 코로나19가 몰고 올 변화의 파고가 얼마나 높을지도 헤아리기 어렵다. 속절없이 확산되는 감염병 앞에서 단단하던 일상에 금이 가고 당연시되던 삶의 양식이 송두리째 흔들리는 광경을 목격하고 있다. 코로나19가 우리의 삶과 사회에 가져온 충격과 변화를 가늠하기 위해 <한겨레>는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글로벌리서치와 함께 전국 성인 1000명을 상대로 지난 6일부터 엿새에 걸쳐 온라인 의식조사를 진행했다. 

‘코로나 삶’ 암울하지만 공적기구 신뢰 커졌다

조사에서 확인된 것은 창궐하는 감염병 앞에서 우리의 근심은 삶의 모든 영역에 걸쳐 깊어졌다는 사실이다. ‘내가 코로나에 걸릴까봐’(85.1%), ‘나로 인해 주변 사람들이 감염될까’(87.3%), ‘코로나로 나와 가족이 고용 위기에 처할까봐’(83.8%), ‘코로나에 감염돼 동선이 공개될까’(64%) 사람들은 걱정하고 있었다.

삶의 질보다 경제적 성취, 분배보다 성장에 방점

코로나19의 확산이 한국인의 삶의 태도를 생태환경과 삶의 질, 공동체적 연대의식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바꿔놓지 않겠느냐는 예상은 빗나갔다. 반년 가까이 이어진 재난적 상황은 과거보다 물질주의적 성향을 강화시킨 것으로 확인됐다.

“소득 감소” 49.5%…고용보험 미가입·임시직은 더 줄었다

재해는 단순한 자연 현상에 그치지 않는다. 바이러스는 인간의 신체에 차별없이 침투하지만, 사회적 신분과 계급에 따라 그에 따른 피해는 불평등하게 전개된다. 존 머터 미국 컬럼버스대 교수(지구물리학)가 저서 <재난불평등>에 적었듯 “재난은 자연적이지만, 재난 이전과 이후의 상황은 순전히 사회적 현상”이기 때문이다.

‘복지 확대’ 원하지만 ‘증세 거부감’은 더 완강해져

코로나19 사태를 거치며 한국 사회는 ‘복지 확대’에 대한 공감대가 커졌지만, 증세에 대한 국민들의 거부감은 여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는 과연 ‘지속가능한 복지국가’를 위한 사회적 합의에 도달할 수 있을까?

정부 신뢰하지만 내 삶 좋아질지엔 ‘물음표’

코로나19의 터널을 거치며 정부에 대한 신뢰도와 기대감은 눈에 띄게 높아졌지만, 정치권에 대한 기대감은 여전히 낮았고, 자신의 삶이 나아질 수 있다는 기대감 역시 미미했다.

코로나19 위기 속 소비의 변화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을까요? 

이번 포럼에서는 익숙했던 소비 방식에서 벗어나 사회적 소비를 통해 경제를 재구성하고, 상생과 협력의 가치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예정입니다. 많은 참여 바랍니다. 

ㅇ 주제 소비자의 시민적 역할: ‘경제’의 재구성 -코로나19 이후 경제·사회·환경적 회복을 위한 소비 전략 ‘Buy Social’ 
ㅇ 일시 2020년 7월 1일(수) 16:00-18:00 
ㅇ 장소 유튜브, 페이스북을 통한 온라인 중계  
- 유튜브나 페이스북에서 '한겨레HERI' 검색 또는 링크 연결

<제13회 사회적경제 공모전 안내> 

우리 주변의 사회적경제기업의 이야기를 유튜브 영상으로 담아내는 '제13회 사회적경제 공모전'을 진행합니다.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참여대상: 만13세~39세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개인, 팀 가능) 
 ○ 접수기간: 2020년 7월 1일 ~ 8월 31일 
 ○ 출품규정: 30초~2분30초 자유 형식의 동영상  
 ※ 문의: 사회적경제공모전 사무국: 02-2181-7919 
 ※ 자세한 내용 확인하기: https://secontest.net/

이 메일은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과 인연이 있는 분들께 발송됩니다. 
HERI REVIEW를 함께 나누고 싶으신 분이 있다면 이 이메일을 전해주세요.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서울 마포구 효창목길6 한겨레미디어 본사 3층 02-710-0070

www.heri.kr
발행인 : 김현대 / 편집인 : 백기철 / 원장 : 유강문
시민경제센터 / 사회정책센터 / 한겨레평화연구소
뉴스레터 수신을 원치 않으시면 '수신거부 Unsubscribe'를 눌러주십시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수
117 [HERI REVIEW] “65살 인턴 됐어요” 인생 2막 시작하는 젊은 노인들 HERI 2020-10-20 6337
116 [HERI REVIEW] ‘탄소배출 제로’ 우리가 먼저…성대골의 ‘그린뉴딜’ 실험 HERI 2020-10-28 6929
115 [HERI REVIEW] 일자리부터 기후위기 대응까지…지역 혁신으로 가는 ‘플랫폼’ HERI 2020-11-06 5850
114 [HERI REVIEW] “5년 뒤면 천만 노인시대인데 아직도 죽음 외면하고 준비 안해” HERI 2020-11-17 6272
113 [2020아시아미래포럼 첫째 날 행사 미리보기] 팬데믹 이후의 세계: '연결'에서 '연대'로 HERI 2020-11-30 5146
112 [2020아시아미래포럼 둘째 날 행사 미리보기] 코로나 이전 시스템은 잊어라…이젠 연대의 시대 HERI 2020-12-09 6638
111 [HERI REVIEW] 시민이 이끄는 에너지전환…‘화력발전 도시’ 당진의 담대한 도전” admin 2020-12-14 4255
110 [HERI REVIEW] 경기도 사회적경제 규모화로 제2의 도약 꿈꾼다 HERI 2020-12-22 4442
109 [HERI REVIEW] 수도권-비수도권 불균형 더 깊어져…“국가 대개조 차원의 전환 필요” HERI 2020-12-29 4615
108 [HERI REVIEW] 또 해 넘긴 사회적경제 기본법, 언제까지 미룰 건가요? HERI 2021-01-11 4323
107 [HERI REVIEW] 햇빛발전부터 생태관광까지…그린뉴딜도 사회적 경제가 딱! HERI 2021-01-19 5433
106 [HERI REVIEW] 해삼 어장이 섬주민 공유자산으로…“농촌 기본소득 실험 재발견” HERI 2021-02-02 4107
105 [HERI REVIEW] 재난지원금 효과 어땠길래?…‘전국민’ 지원 논쟁 다시 수면 위로 HERI 2021-02-10 6038
104 [HERI REVIEW] 물음표가 느낌표로…지리산에서 들썩이는 ‘작은 변화’ HERI 2021-03-10 4195
103 [HERI REVIEW] "국가가 돌보지 않으면 국민은 포퓰리즘으로 내몰린다" HERI 2021-03-10 6816
102 [HERI REVIEW] 소멸·기후위기에 ‘겹시름’…“농민들에게 안정적인 소득을” HERI 2021-03-10 4582
101 [HERI REVIEW] 기본소득, 불평등 해법일까 저효율 해법일까? HERI 2021-03-22 3490
100 [[HERI REVIEW] “보호받지 못할 노동은 없다”…프리랜서에 협동조합 울타리를! HERI 2021-03-22 5897
99 [HERI REVIEW] “범죄자 자녀라는 낙인, 수용자 자녀들은 죄인이 아닙니다” HERI 2021-04-05 4634
98 [HERI REVIEW] "헌법 1조, 국가는 기후변화와 맞서 싸운다" HERI 2021-04-10 3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