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이 메일이 잘 안 보이신다면? 브라우저로 보기

2020.06.09
*메일의 제목이 잘못 입력되어 다시 보냅니다.

전남 목포시 만호동 건해산물 거리에는 특별한 협동조합이 있습니다. '주민이 주인인 마을펍'을 꿈꾸는 협동조합 '건맥 1987' 입니다. '시민자산화'를 통해 
주민들이 소유하고 운영하게 될 '건맥 1987'을 소개합니다. 

주인이 100명인 마을펍…‘시민자산화’로 직진 

영국 런던 남부 서더크 자치구의 넌헤드 지역에는 마을 주민들이 소유하고 운영하는 펍(대중 술집)이 있다. ‘아이비 하우스’라는 이름의 이 유서 깊은 펍은 오랜 기간 마을 사람들에게 ‘사교의 장’으로 자리매김해왔다. 음악 공연, 결혼식, 주민 모임 등 크고 작은 마을 행사가 이곳에서 열린다. 1970년대에는 ‘펍 록’ 공연의 명소였다고 한다. 주민들이 처음부터 펍을 소유했던 것은 아니다. 손님으로 이곳을 드나들던 주민들이 펍의 주인이 되겠다고 팔을 걷어붙인 건 2012년 펍에 위기가 찾아오면서다. 도시 재개발 사업으로 부동산 가치가 상승하면서 건물주가 건물 매각에 나선 것이다.

‘시민건물주’ 쉬워지려면…영국 ‘공동체 우선 입찰권’ 검토해볼만

시민들이 토지나 건물 같은 지역 자산을 인수해 공동으로 소유하고 운영하는 ‘시민자산화’는 기본적으로 공간에서 비롯된 어려움을 해결하려는 과정에서 나온 개념이다. 공간 문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눠 볼 수 있다. 젠트리피케이션(둥지 내몰림)과 인구 감소로 인한 공동화(침체)가 그것이다. 동네가 활성화되면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하고, 반대로 침체되면 빈집이 늘어 동네의 활력이 떨어진다. 

전남 목포의 ‘건맥 1897 협동조합’이 시민자산화를 추진한 동기가 침체된 원도심의 활성화에 있다면, 서울 마포의 ‘해빗투게더 협동조합’은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해법으로 시민자산화를 시도하는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한귀영의 프레임 속으로] 쿠팡은 그나마 낫다니

십수년간 프리랜서 영화감독으로 일한 후배 제이(J)가 인생 2막을 위해 선택한 직업은 쿠팡맨이었다. 입사 직후 그는 자신을 ‘로켓 제이’로 불러달라며 호기를 부렸다. 주문한 다음날 쿠팡맨이 직접 배달해준다는 로켓배송에서 따온 이름이다. 그때 그의 나이 40대 중반이었다. 마음이 매우 아픈 처, 어린 자녀를 건사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2020 통일문화살롱: 평화를 사랑하는 시민들의 품격 있는 살롱 

‘통일문화살롱’은 자유로운 토론을 통해 서로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공간이었던 18세기 프랑스의 ‘살롱’처럼, 북의 문화를 공유하고 강연과 공연 등을 통해 격의없이 평화에 관한 생각을 나누는 ‘시민참여형’ 행사입니다.  

북한 사진전, 북한 음식 맛보기 등 다채로운 행사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특히 강연과 공연에는 평양연극영화대학 출신으로 대한필름 대표이사이자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에서 북한 사회 고증에 참여했던 곽문안 작가와 평화를 노래하는 평화의나무 합창단이 함께 합니다.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방역 데스크를 운영할 예정이며, 일일카페는 준비된 수량을 현장에서 선착순 제공하므로 조기 마감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오후 3시부터 시작하는 강연과 공연은 사전 참가자 신청을 받습니다(선착순 15명). 이름/연락처/북한 사회에 대한 궁금한 질문 하나를 적어 이메일(onekorea90@naver.com)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주최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후원 : 통일교육협의회
 - 협력 : Design e37, Koryo Tours, ASIAJOURNAL
 - 일시 : 2020년 6월12일(금) 13~18시
 - 장소 : 서울숲 신촌살롱(서울 성동구 서울숲2길 29, 서울숲 4번 출구)
 - 프로그램 : 13:00-15:00 북한 사진전 및 체험행사, 일일카페 운영 15:00-18:00 강연(<사랑의 불시착>곽문안 작가)및 공연(평화의나무 합창단) 

<제13회 사회적경제 공모전 안내> 

우리 주변의 사회적경제기업의 이야기를 유튜브 영상으로 담아내는 '제13회 사회적경제 공모전'을 진행합니다.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참여대상: 만13세~39세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개인, 팀 가능) 
 ○ 접수기간: 2020년 7월 1일 ~ 8월 31일 
 ○ 출품규정: 30초~2분30초 자유 형식의 동영상  
 ※ 문의: 사회적경제공모전 사무국: 02-2181-7919 
 ※ 자세한 내용 확인하기: https://secontest.net/

이 메일은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과 인연이 있는 분들께 발송됩니다. 
HERI REVIEW를 함께 나누고 싶으신 분이 있다면 이 이메일을 전해주세요.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서울 마포구 효창목길6 한겨레미디어 본사 3층 02-710-0070

www.heri.kr
발행인 : 김현대 / 편집인 : 백기철 / 원장 : 유강문
시민경제센터 / 사회정책센터 / 한겨레평화연구소
뉴스레터 수신을 원치 않으시면 '수신거부 Unsubscribe'를 눌러주십시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수
117 [HERI REVIEW] “65살 인턴 됐어요” 인생 2막 시작하는 젊은 노인들 HERI 2020-10-20 6303
116 [HERI REVIEW] ‘탄소배출 제로’ 우리가 먼저…성대골의 ‘그린뉴딜’ 실험 HERI 2020-10-28 6910
115 [HERI REVIEW] 일자리부터 기후위기 대응까지…지역 혁신으로 가는 ‘플랫폼’ HERI 2020-11-06 5835
114 [HERI REVIEW] “5년 뒤면 천만 노인시대인데 아직도 죽음 외면하고 준비 안해” HERI 2020-11-17 6256
113 [2020아시아미래포럼 첫째 날 행사 미리보기] 팬데믹 이후의 세계: '연결'에서 '연대'로 HERI 2020-11-30 5111
112 [2020아시아미래포럼 둘째 날 행사 미리보기] 코로나 이전 시스템은 잊어라…이젠 연대의 시대 HERI 2020-12-09 6610
111 [HERI REVIEW] 시민이 이끄는 에너지전환…‘화력발전 도시’ 당진의 담대한 도전” admin 2020-12-14 4223
110 [HERI REVIEW] 경기도 사회적경제 규모화로 제2의 도약 꿈꾼다 HERI 2020-12-22 4416
109 [HERI REVIEW] 수도권-비수도권 불균형 더 깊어져…“국가 대개조 차원의 전환 필요” HERI 2020-12-29 4582
108 [HERI REVIEW] 또 해 넘긴 사회적경제 기본법, 언제까지 미룰 건가요? HERI 2021-01-11 4296
107 [HERI REVIEW] 햇빛발전부터 생태관광까지…그린뉴딜도 사회적 경제가 딱! HERI 2021-01-19 5400
106 [HERI REVIEW] 해삼 어장이 섬주민 공유자산으로…“농촌 기본소득 실험 재발견” HERI 2021-02-02 4090
105 [HERI REVIEW] 재난지원금 효과 어땠길래?…‘전국민’ 지원 논쟁 다시 수면 위로 HERI 2021-02-10 6015
104 [HERI REVIEW] 물음표가 느낌표로…지리산에서 들썩이는 ‘작은 변화’ HERI 2021-03-10 4169
103 [HERI REVIEW] "국가가 돌보지 않으면 국민은 포퓰리즘으로 내몰린다" HERI 2021-03-10 6775
102 [HERI REVIEW] 소멸·기후위기에 ‘겹시름’…“농민들에게 안정적인 소득을” HERI 2021-03-10 4561
101 [HERI REVIEW] 기본소득, 불평등 해법일까 저효율 해법일까? HERI 2021-03-22 3469
100 [[HERI REVIEW] “보호받지 못할 노동은 없다”…프리랜서에 협동조합 울타리를! HERI 2021-03-22 5874
99 [HERI REVIEW] “범죄자 자녀라는 낙인, 수용자 자녀들은 죄인이 아닙니다” HERI 2021-04-05 4594
98 [HERI REVIEW] "헌법 1조, 국가는 기후변화와 맞서 싸운다" HERI 2021-04-10 36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