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2022.11.09
한겨레신문사가 주최하고,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이 주관하는 제13회 아시아미래포럼이 오는 11월 10일(목, 8시 30분 ~)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립니다. 올해는 <분열과 배제의 시대: 새로운 신뢰를 찾아>를 주제로 선정했습니다. 기후위기와 팬데믹, 불평등, 전쟁 등으로 세계는 지금 복합적 위기를 겪고 있습니다. 신뢰에 바탕을 둔 협력과 상생의 지혜가 지금처럼 절실한 때도 없었습니다. 위기의 시기를 헤쳐 나갈 해법을 찾는 대토론의 장에 초대합니다.

분열·배제의 시대, 신뢰를 찾아서…‘2022 아시아미래포럼’

세계는 지금 물가 폭등과 기상이변, 전쟁으로 전례 없는 혼돈을 겪고 있다. 전세계가 지금만큼 상생의 지혜가 필요한 때도 없었을 것이다. 고립과 분열로 각자도생을 꾀할 것인가, 아니면 상호 관용과 협력, 신뢰에 바탕을 둔 성숙한 공동체로 나아갈 것인가? 한겨레신문사가 올해 13번째 맞는 아시아미래포럼의 주제를 ‘분열과 배제의 시대: 새로운 신뢰를 찾아’로 정한 것은 이런 전환기에 우리가 어떤 가치를 재발견해야 하는지,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어떤 선택을 해야하는지 집단지성의 힘을 모으기 위해서다.

분열·고립에 빠진 인류 구할 ‘신뢰의 DNA’ 복원하자

인류의 역사에서 신뢰는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했다. 신뢰가 탄탄하게 쌓이면서 협업과 창조의 범위가 확장되고 새로운 기회가 열렸다. 미지의 대상을 서로 믿게 되는 과정에서 혁신이 생겨났다. 신뢰는 갈등을 완화하고 통합을 강화한다. 신뢰를 바탕으로 사회는 더욱 포용적이고 개방적이 된다. 민주주의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발전해왔다.

대니얼 지블랫 교수 기조강연: 공적 신뢰 어떻게 회복할까

대니얼 지블랫 하버드대 정치학과 교수는 정당이 ‘상호관용’과 ‘이해’, 그리고 ‘자제’라는 성문화되지 않은 규범을 지켜야 신뢰를 회복하고 민주주의를 지킬 수 있다고 강조한다. 정당이 상대방을 정당한 경쟁상대로 인정하지 않고 위협적인 적으로 간주하면 민주주의는 위기에 빠진다는 것이다. 지블랫 교수는 현대 서구 민주주의에 대한 연구의 권위자다.

“외로우니 ‘우리’ 속삭이는 극단주의 경도”…‘고립’ 정치 의제돼야

<고립의 시대> 저자인 노리나 허츠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세계번영연구소 명예교수는 “(팬데믹 기간 동안) 사회적 결핍이 심해지면서 점차 ‘면 대 면’으로 만나고 싶어하는 욕구가 늘어났다. 최근 사람들이 여러 음악 페스티벌, 대면 모임 등에 몰리는 것이 그 방증”이라고 말했다. 그는 ‘고립’의 문제를 개인적 우울의 차원을 넘어 사회적 위험의 관점에서 다뤄야 한다고 주장하는 학자다.

불평등·양극화, ‘나에서 우리’ 공동체 복원으로 넘어서야

사회경제적 불평등 , 정치적 양극화 , 고립과 혐오는 우리시대 잿빛 자화상이다. 제도로서의 민주주의는 정착되었지만 사회적 유대와 신뢰 , 상호관용 등 규범은 취약하다. 제13회 아시아미래포럼 기조강연을 맡은 로버트 퍼트넘 하버드대학교 교수는 사회적 자본 개념을 통해 현대 미국사회의 위기를 분석한 세계적 석학이다.

[세션 1: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지방정부와 시민사회 신뢰기반 구축: 민-관 협력과 사회적 경제] 
[세션 2: 신뢰받는 저널리즘의 조건] 
[세션 3: 어떻게 신뢰의 다리를 놓을 것인가] 
[세션 4: 탄소중립 위한 사용후핵연료 해법] 
HERI 뉴스
HERI 칼럼
이 메일은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과 인연이 있는 분들께 발송됩니다. 
HERI REVIEW를 함께 나누고 싶으신 분이 있다면 이 이메일을 전해주세요.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서울 마포구 효창목길6 한겨레미디어 본사 별관 3층 

www.heri.kr
발행인: 김현대 / 편집인: 백기철 / 원장: 이봉현 
더나은사회연구센터 / 어젠다센터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뉴스레터 수신을 원치 않으시면 '수신거부Unsubscribe'를 눌러주십시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엮인글 :
http://heri.kr/index.php?document_srl=978108&act=trackback&key=496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217 [HERI REVIEW] “기후재난·불평등 심화…독점·배제 아닌 포용적 금융 고민을” HERI 2023-05-22 60
216 [HERI REVIEW] 협동조합 ‘공제’ 후진국 한국…보험 틈새 메꾸도록 숨통 터줘야 HERI 2023-05-30 83
215 [HERI REVIEW] 노인이 불행한 선진국…적은 복지 지출, 노인 부문 더 적은 나라는? HERI 2023-05-08 144
214 [HERI REVIEW] 챗GPT, 업무 도와줄 만능비서일까? 직업작가 위협할 괴물일까? HERI 2023-05-15 159
213 [HERI REVIEW] 국민연금, 투자기업 가치 높일 주주대표소송 ‘0건’…고갈 타령만 HERI 2023-05-02 179
212 [HERI REVIEW] 중앙사회서비스원 1주년…복지 안전망의 빈틈 채울까 HERI 2023-03-27 423
211 [HERI REVIEW] 연료비 폭등으로 더 커진 불평등…에너지복지 사각지대 없애야 HERI 2023-03-13 486
210 [HERI REVIEW] 한국 소득 불평등, OECD 2번째로 빠르다 HERI 2023-04-10 521
209 [HERI REVIEW] “재생에너지 확대 위해 경매제 도입·정부주도 입지 개발 시급” HERI 2023-04-03 591
208 [HERI REVIEW] 800만 회원 사회적경제연대회의 ‘연대강화 공동행동’ 결의 admin 2023-02-27 594
207 [HERI REVIEW] ‘시장경제 파수꾼’ 공정위, 법무부 ‘세종시 출장소’ 전락하나? admin 2023-02-07 623
206 [HERI REVIEW] “국토균형발전·지방분권 고려한 선거구제 논의 필요” HERI 2023-02-13 643
205 [HERI REVIEW] 택시협동조합, 택시산업 위기의 돌파구 될까? HERI 2023-01-30 733
204 [HERI REVIEW] “AI 개발 6개월간 멈추자”…안전장치 요구 목소리 커져 admin 2023-04-17 766
203 [HERI REVIEW] 국내 첫 ‘맞춤형’ 진로체험교육, 그늘진 청소년에 꿈을 찾아주다 HERI 2022-12-19 869
202 [HERI REVIEW] “윤석열 정부, 시민사회 전방위 탄압 군사독재정권 이후 최악” HERI 2023-01-16 1034
201 [HERI REVIEW] ‘브레인 칩’ 실험하다 1500마리 숨져…머스크, 동물학대 논란 HERI 2022-12-12 1045
200 [HERI REVIEW] 조선업 미래, ‘하청노동·지역소멸·탄소중립’에 달렸다 HERI 2022-10-17 1083
199 [HERI REVIEW] 카타르월드컵을 움직이는 숨은 손은? HERI 2022-11-28 1085
198 [HERI REVIEW] “신뢰·협력으로 지역 산업·일자리 상생 해법 찾아야” admin 2022-12-09 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