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뉴스

[5분경영학] 실수를 계속해야 성공한다

HERI 2011. 06. 27
조회수 8211
제임스 버크 존슨앤드존슨 전 회장의 샐러리맨 신화를 만든 한마디, 두려움 없는 도전정신

누구나 실수를 한다. 회사에서는 더 그렇다. 집에서는 자신 있게 잘하던 일도 직장 상사 앞에만 가면 괜히 망쳐놓고 만다. 그런데 혹시 이런 직장 상사 만난 일 있는가? 엄청난 실수로 회사에 손해를 끼칠 직원 앞에서 이런 이야기를 하는 상사 말이다.

“실수를 계속하세요. 그래야 성공합니다.”
오너에 대한 도전, 최고의 제약회사로


이건 바로 미국 샐러리맨의 신화, 존슨앤드존슨의 제임스 버크 전 회장이 초년 직장인 시절 존슨앤드존슨 창업자로부터 들은 이야기다. 이때 자신감을 얻은 버크는 회사 생활 내내 ‘도전’을 쉬지 않았고, 그 결과 세계적인 제약 및 생활건강 기업의 말단 사원에서 시작해 최고경영자(CEO) 자리에까지 오를 수 있었다.


△ 존슨앤드존슨의 경영 신조인 ‘크레도’. 제임스 버크 전 회장은 전세계 각지의 임원들을 만나 ‘끝장토론’을 벌인 끝에 수십 년 묵었던 신조의 내용을 바꿨다. (사진/ 존슨앤드존슨코리아 제공)

제임스 버크가 P&G에서 3년 반 동안 일하다 존슨앤드존슨에 자리잡은 때가 1952년이다. 1976년 재직 21년 만에 오른 회장 자리에서 1989년 은퇴할 때까지 37년을 이 회사에서 보냈다. 그 기간 동안, 버크를 성장시키고 아울러 존슨앤드존슨을 성장시킨 것은 바로 그의 도전정신이었다.

버크가 존슨앤드존슨에서 가장 먼저 맡았던 일 가운데 하나는 ‘액체 아스피린’ 사업이었다. 신사업 담당자이던 때, 그는 아무도 생각하지 못했던 ‘마시는 아스피린’을 내놓자는 아이디어를 내고, 직접 실행에 옮겼다. 버크는 당시 신상품 출시 경험이 없었지만, 아이디어를 냈고 냅다 출시를 책임지겠다고 나섰다. 그리고 두 개의 반짝이는 아이디어를 더 내고, 모두 세 개의 제품을 시장에 당당하게 내놓았다.

그런데 결과는 대실패였다. 당시 회장이던 존슨앤드존슨 창업자 로버트 우드 존슨은 버크를 자기 방으로 불렀다. 버크는 생각했다. “이제 회사에서 쫓겨나는구나.” 그런데 그 자리에서 버크는 예상치 않았던 이야기를 듣는다. 로버트 우드 존슨이 이렇게 이야기한 것이다. “비즈니스는 의사 결정입니다. 의사 결정은 실수 없이는 이뤄지지 않지요. 지금과 똑같은 실수를 앞으로 절대 하지 마세요. 하지만 다른 종류의 실수를 계속하시기 바랍니다.”

제임스 버크의 가장 대표적 도전은 오너 경영자에 대한 도전이었다. 버크가 승승장구해 부사장에 올랐을 때, 그는 제약 부문을 분사해 경영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안을 내고 실행에 옮긴다.


그런데 2년쯤 뒤, 창업자로부터 경영권을 이어받은 2세 바비 존슨 회장이 제약 부문을 다시 합병하는 게 좋겠다는 의견을 비친다. 아직 보여줄 게 많다는 생각에 흥분한 버크는 두 달 동안 치열한 준비를 거쳐 회장단 앞에서 제약 부문의 독자적 발전 방안에 대해 대대적 프레젠테이션을 벌인다. 오너 경영자의 의견에 당당하게 도전장을 던진 것이다.

결과는 전화위복이었다. 제약 부문은 독립 경영 체제를 유지하는 것으로 설득시키는 데 성공했고, 이때 했던 프레젠테이션이 바로 제약 부문의 미래 발전 청사진이 됐다. 당시만 해도 미약하던 제약사업은 날로 성장해서, 존슨앤드존슨은 현재 세계 4대 제약회사 중 하나가 됐다.

버크의 가장 인상적인 도전은 뭐니뭐니 해도 존슨앤드존슨의 경영 신조인 ‘크레도’(credo)에 대한 도전이었다.

버크가 회장 후계자로 지명된 상태이던 1975년의 일이었다. 버크는 창업자가 만든 경영 신조에 도전하기로 마음을 먹는다. 전세계 각지의 존슨앤드존슨 임원들을 만나 창업자가 만든 신조에 대한 ‘끝장토론’을 벌인다.

그리고 수십 년 묵은 신조는 가장 현대적인 신조로 변모한다. 그때 새로 만들어진 신조는 고객, 종업원, 지역사회, 주주의 순서로 회사의 책임을 나열하고 있는데, 지금까지도 세계 각지 존슨앤드존슨 사무실마다 걸려 있으며 모든 의사 결정의 토론 근거로 사용된다. 존슨앤드존슨이 회사 비전 및 신조와 일상적 의사 결정을 세계에서 가장 잘 통합시킨 기업으로 평가받는 이유가 그 도전에 있었다. 이는 물론 미국에서 가장 평판이 좋은 기업 이미지를 유지하고 있는 비결이기도 하다.

고객을 먼저 생각하는 회사 신조

실제 이 신조로 다져진 존슨앤드존슨의 철학과 조직은 유명한 ‘타이레놀 독극물 사건’으로 빛을 발했다. 1982년 존슨앤드존슨의 두통약 타이레놀을 독극물이 들어 있는 상태로 복용한 7명의 미국인이 사망한 사건이다.

이때 경찰은 존슨앤드존슨 쪽 과실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지만, 당시 제임스 버크 회장은 자발적으로 전국의 타이레놀 전체를 회수하며 1억달러(930억여원)의 비용을 지출한다. 이유는 단 하나, ‘우리 잘잘못과는 관계없이 고객이 피해를 입을 수 있다면 우리 돈으로라도 회수하는 게 마땅하다’는 철학이었다. 당장의 손익보다 긴 안목의 평판 관리가 더 중요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존슨앤드존슨의 성장사와 제임스 버크의 성공기를 들여다보면, 그 배경에는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는 도전정신이 숨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가 경영자로 성장하도록 만든 결정적 트리거는 “실수를 반복하라”는 로버트 우드 존슨 회장의 한마디였다.

직장에서 큰 실수를 해본 적이 있으신지. 없으시다면 성공하는 직장인이 아니라는 점을 명심하시길. 지금이라도 어떤 실수를 할 수 있을지 고민해보시길.

한겨레21 2007/09/06 676호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세계 경제권력 시민사회로 이동중”

2009-04-01 영국서 열린 ‘스콜세계포럼’을 가다 이원재 기자 <script></script> » 스콜세계포럼에서는 세계 각국의 유명인사들이 모여 경제위기 이후의 권력 이동 전망을 논의했다. 맨 왼쪽부터 레이 수아레즈 미국 기자, 캘라시 ...

  • HERI
  • 2011.06.27
  • 조회수 9426

[삶과 경제] 새해 경제 열쇳말 '착한경제'

2008-12-31 이번 송년 모임의 화제는 모두 암울하기만 했다. 도대체 이 경제의 향방이 가늠되지 않아서, 뭘 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이야기가 주류였다. 불황의 끝이 지금은 보이지 않지만, 그러나 경제는 결국 다시 기지개를 켤 ...

  • HERI
  • 2011.06.27
  • 조회수 7950

[삶과 경제] 글로벌 금융위기와 금융참사

2009-02-04 철거민 시위대가 진을 치고 있는 용산의 한 옥상에 진입작전을 지시한 지휘관은 그 순간 무엇을 생각하고 있었을까? 법을 지켜야겠다는 사명감과 직업의식 이외에, 혹시라도 대형 참사가 날 위험이 있다는 생각을 했을까...

  • HERI
  • 2011.06.27
  • 조회수 7324

청년실업과 88만원 세대

2009-02-24 “신자유주의 자식들”↔“보이지않는 저항” [한겨레 시민포럼] 청년실업과 88만원 세대 김경락 기자 <script></script> » ‘2009 희망 만들기 한겨레 시민 포럼’이 열린 서울 태평로 한국언론회관에서 <88만원 세대>의 저...

  • HERI
  • 2011.06.27
  • 조회수 9158

'황제 경영'은 정말 바뀔 것인가

2008-07-24 [한겨레21] ‘황제 경영’은 정말 바뀔 것인가 전문 경영인 체제 확립·개별 기업 독자성 실현해야…이재용 전무 복귀에 관심 집중 ▣ 정혁준 기자 june@hani.co.kr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의 퇴진과 전략기회실 ...

  • HERI
  • 2011.06.27
  • 조회수 7811

좋은 일 하고 돈도 버는 창업 없을까

2007-12-02 ‘노리단'은 서울시립청소년직업체험센터의 문화예술분야 창업팀 중 하나인 뮤직퍼포먼스그룹이다. 2004년 6월에 만들어진 이 팀은 생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산업폐자재, 생활용품 등을 이용해 스스로 만든 악기를 ...

  • HERI
  • 2011.06.27
  • 조회수 7171

사람냄새 나는 돈이 세상을 바꾼다

2007-05-14 요즘 대학가에 ‘착한 돈 바람’이 불고 있다. ‘정치 구호’가 사그라든 대학가에 경제 쪽 관심은 날로 새롭다. 이들이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다. 이들은 전사회적으로 몰아치는 신자유주의적...

  • HERI
  • 2011.06.27
  • 조회수 8112

[나라살림가족살림] 사회적 기업과 경영능력

2008-04-30 7년 전, 이철종 대표이사의 꿈은 그리 복잡하지 않았다. 그저 취업을 하고 싶은데 일자리를 도저히 찾을 수 없는 사람도 제대로 된 직장에서 일할 수 있는 세상이 왔으면 했다. 그래서 직접 나서서 일자리를 만들기로...

  • HERI
  • 2011.06.27
  • 조회수 8025

‘사회적 기업가’ 양성학교 문 두드리세요

2008-08-20 사회적 기업가를 양성하는 교육 아카데미가 전국에 문을 연다. 실업극복국민재단은 노동부가 주관하고 에스케이(SK)가 후원하는 사회적 기업가 아카데미 교육 운영기관으로 한겨레경제연구소 등 18곳을 최종 선정해 20일...

  • HERI
  • 2011.06.27
  • 조회수 7966

(나라살림가족살림) “착한 경제”의 코드

2008-01-30 부산의 엔지오 활동가들을 만났다. 사회생활의 대부분을 ‘좋은 일’을 하는 데 헌신적으로 보낸 그들의 주요 관심사는 이제 ‘돈벌이’였다. 자신이 이끄는 조직이 하고 있는 좋은 일을 지속시키려면 경제적 자립이 필요...

  • HERI
  • 2011.06.27
  • 조회수 7267

[5분경영학] 가게 땅값 올랐다고 웃지 마세요

2006-03-30 건물주가 가게 주인인 경우 자산은 늘어났지만 이익은 줄어든 셈… 늘어난 임대료를 챙긴다면? 눈에 보이지 않는 기회비용을 계산하라 ▣ 이원재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timelast@seri.org 이주의 용어 회계적 ...

  • HERI
  • 2011.06.27
  • 조회수 7947

[5분경영학] 피터 드러커의 시간관리법

2007-07-12 지식노동자의 가장 중요한 자원, 시간을 기록하고 관리하고 통합하라 ▣ 이원재 한겨레경제연구소 소장 timelast@hani.co.kr 미국 경영학의 대가 피터 드러커는 시간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가장 강력하게 주장했던 경영...

  • HERI
  • 2011.06.27
  • 조회수 8566

[5분경영학] 프로구단은 왜 신인을 지명할까

2006-06-09 선수가 의무적으로 한 구단에 노동력을 팔아야 하는 드래프트제의 경제학… 수요독점으로 가격 낮추는 전략, 공급업체를 독점한 월마트나 GM을 보라 ▣ 이원재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timelast@seri.org 이주의 ...

  • HERI
  • 2011.06.27
  • 조회수 8310

[5분경영학] 컴퓨터 가격은 왜 자꾸 떨어질까

2006-04-26 다른 사람들이 많이 갖고 있을수록 수요가 높아지는 네트워크 외부효과… 허영심 때문이 아니라 기술의 발전으로 주변과 보조를 맞추기 위해 구매 ▣ 이원재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timelast@seri.org 이주의 용어...

  • HERI
  • 2011.06.27
  • 조회수 11853

[5분경영학] 차별 있는 곳에 이익 있다

2007-07-12 최대 지불 의사’에 따라 각각 다른 값에 파는 가격 차별 전략 기업의 음모라 봐야 할까 모두의 ‘꿩먹고 알먹기’로 봐야 할까 ▣ 이원재/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timelast@seri.org “영화값도 얼마 안 내...

  • HERI
  • 2011.06.27
  • 조회수 8140

[5분경영학] 주위를 둘러보고 “깎아주세요”

2006-02-15 물건값 흥정에 숨어 있는 경영학, 탐색비용을 둘러싼 게임 독과점이라면 정가 판매를, 경쟁이 치열하면 흥정을 권한다 ▣ 이원재/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timelast@seri.org 선물을 사러 서울 인사동에 들렀다. 여...

  • HERI
  • 2011.06.27
  • 조회수 8298

[5분경영학] 죄수의 딜레마, 기저귀의 딜레마

2006-07-06 가만 있는게 더 이익인 기저귀 회사들은 왜 연구개발에 거액을 투자할까 … 게임이론이 두 업체의 경쟁 설명, 죄수의 딜레마가 소비자를 승리자로 ▣ 이원재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timelast@seri.org 이주의 용...

  • HERI
  • 2011.06.27
  • 조회수 11651

[5분경영학] 제품의 성분을 널리 알려라

2006-08-10 인텔 인사이드·누트라스위트·돌비·고어텍스의 성공 비결… 최종소비재가 아닌 성분을 광고하는 ‘성분 브랜딩’ 전략 ▣ 이원재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timelast@seri.org 이주의 용어 성분 브랜딩(ingredient b...

  • HERI
  • 2011.06.27
  • 조회수 8359

[5분경영학] 전직을 성공으로 이끄는 전략

2007-01-19 회사를 옮길 때 예상되는 변화는 기능적·위계적·문화적 축으로 분석 가능…의미 창출을 단단히 하고 위험을 예상하고 실망을 운명으로 받아들여라 ▣ 이원재 한겨레경제연구소 연구위원 이주의 용어 전직(career tran...

  • HERI
  • 2011.06.27
  • 조회수 8162

[5분경영학] 재포지셔닝으로 운명을 바꿔라

2007-10-25 타이레놀·하얀 바나나 우유처럼 소비자의 마음에 틈새를 만들어 파고드는 전략 ▣ 이원재 한겨레경제연구소 소장 timelast@hani.co.kr “아스피린을 복용해서는 안 되는 수백만 명을 위해서….” 광고는 이렇게 시작했...

  • HERI
  • 2011.06.27
  • 조회수 81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