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의 삶 파괴하는 가난은 국민연금 사각지대를 노린다
[초고령 대한민국 : 신중년 시대] 1부 ② 소득·건강 불평등의 늪 아프고 외롭다해서 늘그막에 달라붙는 가난이 반갑겠는가 OECD 회원국 본인빈곤율 비교.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조사한 우리나라 65살 이상 노인들의 연평균 소...
|
“마을은 ‘사회적 분열 위기’ 풀 수 있는 기본 현장이죠”
[짬] ‘마을에 해답이 있다’ 공저 임현진·공석기 교수 임현진 서울대 명예교수(좌) 공석기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우). 양은영 선임연구원 임현진 서울대 명예교수(사회학)와 공석기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가 최근 <마...
|
코로나로부터 누구를 먼저 살릴 것인가?
시민건강연구소 주최 ‘의료자원 위기’ 토론회 감염병으로 대두된 의료자원 배분의 문제 한정된 자원에서 부딪히는 효율성과 정의 시장경제 원리에 치우친 백신 지급엔 ‘경계’ 지난 6월4일 오후 음압병실로 리모델링한 인천광역시...
|
[현장 기고] 새로운 개념 아파트 ‘위스테이’, 왜 짓느냐고요?
페이 사회혁신기업 ‘더함’이 시도한 새 주택사업 협동조합형 임대주택 ‘별내단지’ 입주 시작 장애 당사자 의견 반영한 ‘배리어프리’ 설계 변기 위치 높이고 안전바 설치·방문은 미닫이로 합리적 비용·안정적 거주로 사회적...
|
“내 손으로 사회 바꿀 수 있다는 경험 매일 하고 있어요”
【짬】 협동조합 무의 홍윤희 이사장 홍윤희(오른쪽) 이사장과 함께 협동조합 무의를 설립한 김건호(왼쪽)씨는 현재 세계 각국에서 만든 장애인을 위한 코로나19 대응 지침을 모은 웹사이트(accesscovid19.com)를 운영하고 있다. 사진...
|
초연결생존 사회, 사회안전망 강화는 피할 수 없는 시대적 요구
‘포스트 코로나시대’ 인식조사 3회 팬데믹 이후 국가설계 놓고 정책논쟁 뜨거워져 사회안전망 강화 요구 높으나 증세에 대해선 부정적 문제는 정치…낮은 정치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관건 코로나19 이후 한국사회는 거대한 질문에...
|
플랫폼·프리랜서 노동자협동조합 협의회 출범
정부 관련 정책 논의기구에 주체로서 참여의지 밝혀 관련 기본법 제정, 고용산재보험, 안전·직업훈련 제공 촉구 노동자협동조합 활성화와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안에 플랫폼·프리랜서 위원회 설립도 필요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
|
“세상을 바꾸는 작은 실천, ‘바이 소셜’ 하세요”
제13회 사회적경제 정책포럼 가치를 구매하는 ‘활동하는 소비자’의 등장 사회 변화 이끄는 소비전략 ‘바이소셜 캠페인’ 진행 소비자의 의미가 재구성되고 있다. 소비자의 역할이 ‘소비하는 사람’이라는 수동적 행위자를 넘어서...
|
한국사회, 각자도생의 욕망과 공동체적 연대의 갈림길에 서다
‘포스트 코로나시대’ 인식조사 2회 도처에 만연한 불안…연대와 희망도 엿보여 공적제도에 대한 신뢰는 높아졌으나 ‘정파적으로 형성된 신뢰’라는 한계 뚜렷 재난이 열어제친 정치의 공간 어떤 사회로 갈지 사회적 합의 필요 ...
|
“사회적경제와 제도정치의 다리를 잇겠습니다”
생협평론이 만난 사람 | 김보라 안성시장 협동조합 경험에서 자연스럽게 습득한 가치와 철학 자본보다 노동의 가치, 경쟁보다 협력과 연대의 힘 사람이 변화를 위해 자율적으로 일하는 가치와 철학 배워 정책적 접근 없이 현장...
|
‘코로나 삶’ 암울하지만 공적기구 신뢰 커졌다
‘포스트 코로나시대’ 인식조사 ‘나·가족 일자리 걱정’ 84%, 삶은 더 궁핍 ‘나은 사회 될 것’ 68%가 공감 연대·협력보다 경쟁·자율 선호 한겨레 자료사진. 불안과 불확실성의 시대다. 코로나19가 몰고 올 변화의 파고...
|
불안정노동의 늪에 빠진 영국…리키는 행복해질 수 있을까
‘혁신과 포용’ 현장을 가다 ‘혁신과 포용’ 현장을 가다 ③ 영국의 고민 디지털 자본주의화 진행으로 ‘0시간 계약’ 등 플랫폼노동 늘어 저임금 불안정노동도 확대일로 ‘좋은 일자리 계획’ 등 대책 논의 “근본 해법 되기...
|
“코로나 환자·완치자 연결해 용기와 위로 건네고 있죠”
[짬] ‘서바이버코어’ 창립자 버렌트 서바이버코어 창립자인 다이애나 버렌트가 혈장 기부를 위해 헌혈하고 있다. 그는 지금껏 여섯 차례나 혈장을 기부했다. 버렌트 제공 “평소에 세상은 스스로 잘 작동하죠. 하지만 감염병...
|
‘21대 국회에선 꼭’…사회적경제기본법 제정 신발끈 조인다
사회적경제 3법 제정 전략 워크샵, 27일 열려 법 제정하려면 상시적 의정활동 평가·감시 체계 필요 지역 현장의 기본법 공감대 넓혀 촘촘한 협력체계 만들어야
지난 27일 서울 중구 커뮤니티하우스 마실에서는 ‘21대 총...
|
“아파트 주민·경비·지자체 3자 협의체로 공동체성 회복을”
【짬】 노년유니온 고현종 사무처장
고현종 노년유니온 사무처장. 사진 양은영 선임연구원 최근 서울 강북구 한 아파트단지에서 이른바 ‘임계장’(임시계약직 노인장) 경비원이 세상을 등졌다. 저간의 사정을 알아갈수록 비정규직 ...
|
마을이 실험실 주민은 연구원…사회혁신 ‘리빙랩’이 뜬다
시민 주도 ‘참여형 연구개발 모델’ 삶의 질 개선부터 시스템 전환까지 사회문제 해결 플랫폼 역할 ‘톡톡’ 시니어리빙랩·에너지전환리빙랩… 고령화·기후위기 등 협업으로 접근 리빙랩이란? 리빙랩은 살아 있는(living) 실험실(...
|
“‘코로나 한파’ 사회적경제 기업에 금융 지원 온기를”
제12회 사회적경제 정책포럼 “취약계층 고용 비율 높은 기업에 추가 고용유지지원금 대출 필요” 사회적경제 기업 29%, 매출 80%↓ 14일 오후 서울 마포구 한국와이엠시에이(YMCA)전국연맹에서 ‘코로나 위기, 사회적 경제의 접...
|
"'코로나19 연대’ 고마워요”…사회적경제 단체들 ‘함께살림 감사행사’
13일 오후 서울 중구 커뮤니티하우스 마실에서는 사회적경제 코로나19 대응본부가 주관한 ‘함께살림 감사행사’가 열렸다. 대응본부는 지난 3월말부터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사회적경제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해 ‘고용조정 제로’ ...
|
‘2020 세계협동조합대회’ 내년 3월 서울서 열린다
올해말에서 내년 3월 1~3일로 연기 코로나19로 개최일 변경 불가피 2월 26~27일엔 국제학술대회 열려 지난 2월 서울 영등포구 아이쿱지원센터에서 열린 ‘2020 세계협동조합대회 서울 개최 선포식’에 참여한 국내외 협동조합 관계...
|
“트럼프 ‘중국 바이러스’ 고집해 아시아계 혐오차별 부추겼죠”
[짬] 아시안아메리칸연맹 조앤 유 사무총장
한국계로 미국 뉴욕에서 활동중인 아시안아메리칸연맹 조앤 유 사무총장. 사진 AAF
“코로나19로 인해 미국 이민자 사회 안에서도 소수인 아시아인에 대한 혐오와 차별이 특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