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뉴스
경제교육단체협의회 회장에 박재완 전 기재부 장관 취임
“민간 경제교육기관 및 정부·지역 등 유기적 협업 다짐”
21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19층 매화홀에서 열린 경제교육단체협의회 ‘2023년 1차 정기총회 및 우수사례 공유의 장’에서 서울 동대문구에 위치한 종암초등학교 학생들이 2022년도 1년 동안 경제금융교육 프로젝트 수업을 받은 경험과 소감을 발표하고 있다.
21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19층 매화홀에서 열린 경제교육단체협의회 ‘2023년 1차 정기총회 및 우수사례 공유의 장’에서 서울 동대문구에 위치한 종암초등학교 학생들이 2022년도 1년 동안 경제금융교육 프로젝트 수업을 받은 경험과 소감을 발표하고 있다.

경제교육은 자본주의 사회를 살아가는 민주시민에게 필요한 기본지식과 소양을 기르는 중요한 일이다. 생활 전반에 내재된 경제활동을 인지하는 일부터 경제를 바라보는 관점과 핵심개념, 실천방법을 배우고 익히는 활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범주를 포괄한다.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를 배우는 일로 직결되는 만큼 중요성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경제'라는 개념이 이론적으로 어려운 용어와 내용이 많아 교육의 주변적인 소재로 밀려나기 일쑤다.

2017년 경제교육 활성화를 목표로 경제교육기관들의 연대와 협력을 도모하는 경제교육단체협의회(이하 경교협)가 출범한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경교협은 경제교육기관들 간의 네트워크와 상호학습 촉진, 생애주기별 경제교육 협력, 경제교육 사각지대 해소, 경제교육 실태조사 및 학술회의 개최 등 ‘경제교육 활성화 기반’을 조성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17년 18개 회원기관으로 시작해 2023년 현재 경제 단체를 비롯해 금융기관, 시민단체, 언론·방송 등 45개 기관이 참여 중이다.

경제교육단체협의회 신임회장으로 선임된 박재완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이 취임사를 발표하고 있다.
경제교육단체협의회 신임회장으로 선임된 박재완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이 취임사를 발표하고 있다.

21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19층 매화홀에서 경교협 2기 출범을 위한 정기총회가 열렸다. 2기 경교협을 3년간 이끌어 갈 신임회장은 박재완 전 기획재정부 장관이 선임됐다. 박재완 신임회장은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과 성균관대학 이사장을 겸임하고 있으며, 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 국정기획수석비서관, 고용노동부 장관 등을 역임했다. 박 회장은 취임사에서 “회원사들을 중심으로 대국민 생애주기별 맞춤형 경제교육 지원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라며, “회원사들간의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정부 및 관련 학회, 지역경제교육센터와의 협력 및 공동사업으로 민간 경제교육의 구심점으로 도약할 것”을 다짐했다.

축사로 나선 최상대 기획재정부 2차관은 △학교 경제교육 내실화 △핵심 경제역량을 중심으로 한 생애주기별 맞춤형 교육 실시 △취약계층 등 경제교육 사각지대 해소 △디지털 경제교육 인프라 확충 등을 경제교육 정책방향으로 제시하며, “민간·정부·지역의 유기적 협력을 토대로 경제교육자원이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공급하고, 우수사례를 발굴·확산·선순환시키는 경교협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21일 한국프레스센터 19층 매화홀에서 열린 경제교육단체협의회 ‘2023년 1차 정기총회 및 우수사례 공유의 장’에서 서울 종암초등학교 학생들이 지난해 경제금융교육 프로젝트 수업을 받은 경험과 소감을 발표하고 있다.
21일 한국프레스센터 19층 매화홀에서 열린 경제교육단체협의회 ‘2023년 1차 정기총회 및 우수사례 공유의 장’에서 서울 종암초등학교 학생들이 지난해 경제금융교육 프로젝트 수업을 받은 경험과 소감을 발표하고 있다.

정기총회에 이어진 우수사례 공유의 장엔 서울 동대문구에 위치한 종암초등학교 네 명의 학생들과 박민수 교사가 함께 무대에 올랐다. 2022년도 1년 동안 경제금융교육 프로젝트 수업을 영상으로 갈무리해 발표한 뒤 소감을 소개하는 자리였다. 학생들이 함께 의논해 ‘달바라기’라는 가명의 나라를 세우고, 치열한 경쟁을 통해 직업을 정하고, 투표로 화폐 단위를 정하고, 통장과 가게부도 직접 작성했다. 학급 은행을 세워 예금·대출·신용에 대한 용어도 배우고, 아이디어를 모아 제품을 만들어 창업도 하고, 공공기관이 어떻게 운영되는지도 배웠다.

학생들은 “직접 체험하면서 생활 속에서 경제활동이 무엇인지 깨닫게 됐고, 세상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된 자신이 뿌듯했다”고 입을 모았다. 경제금융교육 프로젝트 수업을 주관한 박민수 교사는 “‘경제금융교육연구회’에서 2천500여명의 교사들이 체험형 경제금융교실을 함께 연구하고 있다”며, 공교육에서도 경제교육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경교협이 역할해줄 것을 제안했다.

글·사진 조현경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수석연구원 gobogi@hani.co.kr


한겨레에서 보기 :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080608.html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지속가능한 사회? 사회연대경제에서 길을 찾다

아시아 최초 씨리엑 사회연대경제 국제학술대회 4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제9회 씨리엑(CIRIEC) 국제학술대회에 참석한 연사와 참가자들이 함께 사진을 찍고 있다. 이 행사는 ‘더나은 미래건설: 평화롭고 공정한 세상...

  • HERI
  • 2023.07.06
  • 조회수 334

협동조합과 지자체, 지역사회 문제 해결 위해 뭉쳤다

제5회 사회적경제 박람회서 ‘세계 협동조합의 날 기념 공동포럼’ 열려 지방정부와 협동조합 간 협력 사례 발표 지난 1일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제5회 대한민국 사회적경제 박람회’ 부대행사인 ‘101번째 세계 협동조합의 ...

  • HERI
  • 2023.07.04
  • 조회수 363

부산서 사회적경제 대축제…“배움과 성장으로 이어지길”

제5회 대한민국 사회적경제 박람회 2일 폐막 6월30일에서 7월2일까지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BEXCO) 제1전시장에서 사흘간 진행된 ‘제5회 대한민국 사회적경제 박람회’는 ‘부산 사회적경제라서 좋다(Busan 사회적경제 is good)’는 ...

  • HERI
  • 2023.07.04
  • 조회수 401

드센 물질로 길어올린 해녀의 삶에 가치를 더하다

제5회 사회적경제 박람회서 ‘해녀의 사회적가치 포럼’ 열려 제주·포항·경주 해녀들이 직접 들려주는 삶과 노동, 문화 “해녀 공동체가 창출하는 가치, 사회적경제 정신과 맞닿아” 지난 6월30일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제5회...

  • HERI
  • 2023.07.03
  • 조회수 463

협동조합의 가치와 성과도 측정·관리한다

‘제5회 사회적경제 박람회’ 부산 벡스코에서 개막 부대행사로 ‘협동조합 통계 국제컨퍼런스’ 열려 ‘조합 통계 가이드라인’ 5개국 시범사업 결과 발표 “국제적으로 일관되고 신뢰할 수 있는 기준 필요” 지난 6월30일 부산 ...

  • HERI
  • 2023.07.03
  • 조회수 298

“사회연대경제, 국제 위상에 맞춰 역할 확장해야”

제20회 사회적경제 정책포럼 유엔 결의안 채택으로 사회적경제 중요성 부각 지속가능발전 위한 사회적경제 역할·과제 논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위한 사회적경제의 의미와 역할’을 주제로 한 제20회 사회적경제 정책포럼...

  • HERI
  • 2023.06.30
  • 조회수 345

사는 곳도 생각도 다른 지구촌 3084명, 세계를 말한다

25일 세계 최초 ‘더 월드 톡스’ 시도 생각이 다른 지구촌 3084명의 대화 6년 전 시작 ‘독일이 말한다’ 확대판 한겨레 아시아미래포럼에서도 실험 25일(현지 시각) 러시아인 베타(왼쪽)와 팔레스타인인 아나스가 ‘더 월트 톡스...

  • HERI
  • 2023.06.27
  • 조회수 359

“AI, 아직 개 지능에도 못 미쳐…종말론 터무니없다”

제2회 사람과디지털포럼 지난 16일 오전 서울 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제2회 한겨레 사람과디지털포럼에서 프랭크 패스콸리 미국 브루클린대 로스쿨 교수가 ‘챗지피티시대: 알고리즘의 잠재적 혜택과 위험’을 주제로 기조연...

  • HERI
  • 2023.06.26
  • 조회수 336

“식품 안전 위해 ‘GMO 완전표시제’ 도입해야”…‘GMO 특별법’ 제정 촉구

국회서 생협단체 등 기자회견 소비자기후행동, 아이쿱생협연합회, 한살림생협연합회 등 7개 단체와 더불어민주당 양이원영·신정훈 의원과 정의당 강은미 의원 주관·주최로 21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국회 소통관에서 ‘지엠오...

  • HERI
  • 2023.06.21
  • 조회수 311

CEO와 게임 히어로는 남성? 윤송이는 AI 너머 세상 편견과 싸운다

[인터뷰] 윤송이 엔씨소프트 사장 인터뷰 ☞한겨레S 뉴스레터를 구독해주세요. 검색창에 ‘에스레터’를 쳐보세요. 윤송이 사장이 지난 15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매거진 라이브러리에서 카메라 앞에서 웃는 모습. 이정용 ...

  • HERI
  • 2023.06.19
  • 조회수 401

“온라인의 욕설·비속어 문제 해결해요”

제8회 휴먼테크놀로지어워드 대상에 KISO의 ‘이용자 보호 시스템’ ‘마을호텔’로 꾸민 정선 고한읍과 ‘제가버치’ ‘캐시노트’는 최우수상 ‘제8회 휴먼테크놀로지 어워드’가 지난 16일 오후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 HERI
  • 2023.06.19
  • 조회수 312

AI 작곡가, 노래 한곡 뚝딱…인간 공존의 조건

제2회 한겨레 사람과디지털포럼 인공지능 예술의 현재와 미래 안창욱 광주과학기술원 인공지능대학원 교수가 16일 서울 중구 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2회 사람과 디지털포럼 오후 세션에서 ‘생성형 AI가 구현한 예술의 세계’ 주제...

  • HERI
  • 2023.06.19
  • 조회수 370

“예상 뛰어넘는 인공지능 기술…부작용 논의 시급”

챗GPT 시대, 인간과 AI 공존의 조건 “인간 대체 아닌 기능 강화에 쓰여야” 제2회 한겨레 사람과 디지털 포럼 제2회 사람과 디지털포럼 ‘챗지피티 시대, 인간과 에이아이(AI) 공존의 조건’이 16일 오전 서울 상공회의소 국...

  • HERI
  • 2023.06.19
  • 조회수 342

“챗지피티시대, ‘인간-AI 공존’ 지혜 모아야”

제2회 한겨레 ‘사람과디지털포럼’ 각계 축사 허은아 의원 “AI에 대한 기대-우려 직시해야” 조승래 의원 “인류문명과 충돌 위험 극복할 것” 이종호 장관 “전문가들 고견, 정책에 적극 반영” 고진 위원장 “유능한 정부 위...

  • HERI
  • 2023.06.19
  • 조회수 352

디지털 기술 활용, 합리적 비용의 비대면 심리 상담

HTA2023 이용자부문 우수상 마인드카페 우리나라 국민 중 일생동안 정신질환을 앓는 비율은 25.4%로, 4명 중 1명 꼴이다. 경기침체, 불평등 심화 등과 같은 사회경제적 변화에 코로나 전염병까지 겹치면서 우울감, 상실감을 호소...

  • HERI
  • 2023.06.15
  • 조회수 380

청각장애인 기사가 운전하는 차량 공유 서비스

HTA2023 특별부문 우수상 고요한 M 고요한 모빌리티라는 뜻의 ‘고요한 엠(M)’은 청각장애인 기사가 운행하는 호출형 차량 공유 서비스다. 서비스 차량 안에는 승객들과 청각장애인 운전자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태블릿이 ...

  • HERI
  • 2023.06.15
  • 조회수 231

말못하는 동물 치료위해 AI기반 X선 영상판독

HTA2023 특별부문 우수상 SK텔레콤 엑스칼리버 ‘엑스칼리버(X Caliber)’는 에스케이텔레콤이 개발한 국내 최초의 ‘인공지능 기반 수의영상진단 보조 서비스’다. 엑스레이 영상 판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일선 임상수의사에게 ...

  • HERI
  • 2023.06.15
  • 조회수 213

’금지단어 묶음’ 제공 게임내 욕설·성차별 막아

HTA2023 특별부문 우수상 한국게임정책자율기구 말뭉치DB 한국게임정책자율기구(GSOK)의 ‘말뭉치 데이터베이스’는 게임이나 채팅 공간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욕설·혐오표현 등과 같은 ‘금지단어 묶음’이다. 이용자들의 건강한 게...

  • HERI
  • 2023.06.15
  • 조회수 275

일상속 쓰레기줍기 앱 기록…선행 공유하고 환경 기여

HTA2023 사회공공부문 우수상 이타시티 ‘이타시티’는 공유가능한 선행을 지향하는 비영리 기부 스타트업이다. 자원봉사가 개인의 ‘선한 활동’을 넘어 사회문제 해결에 이를 수 있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이타시티의...

  • HERI
  • 2023.06.15
  • 조회수 233

부모-시터 매칭해 아이돌봄과 경력단절 여성 일자리 기여

HTA2023 이용자부문 우수상 맘시터 2022년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0.78명으로 전세계에서 가장 낮다. 저출생·고령화 문제가 깊어지면서 출산과 양육을 위한 돌봄노동의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맘시터’는 아이 돌봄이 필요한...

  • HERI
  • 2023.06.15
  • 조회수 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