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뉴스
인공지능 챗GPT 영향 어디까지

미 의원, 챗GPT로 AI규제법안 작성
메시지 작성등 로비스트 대체 가능성

약자의 입법도구 되면 민주주의 활력
권력기관 활용하면 로비가 투표 압도
제21대 국회의원선거가 치러졌던 2020년 4월15일 한 유권자가 투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21대 국회의원선거가 치러졌던 2020년 4월15일 한 유권자가 투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 챗지피티(ChatGPT) 돌풍이 거세다. 예술, 교육, 심지어 정치까지 챗지피티의 활용사례가 알려지며 태풍으로 번지고 있다. 챗지피티는 시나 에세이, 수학문제 풀이 수준을 넘어 법안 초안도 만든다. 머잖아 정치과정에서 인간이 수행해온 로비 역할까지 대체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인공지능은 이미 민주주의 과정 전반을 흔들고 있다.

지난달 25일 미국 <워싱턴포스트>는 매사추세츠주 상원의원 배리 파인골드가 챗지피티를 활용해 개인정보 보호 관련 법안 초안을 만들었다고 보도했다. 개인정보 보호와 지적재산권 보호를 위해 인공지능 기업이 알고리즘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고 정기적으로 위험성을 점검하는 등의 조처를 시행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챗지피티는 어떻게 법안 초안을 만들 수 있었을까? 법안 작성은 챗지피티가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라는 특성을 고려해 사용자가 법안과 관련해 특정 질문을 던지면 이에 대해 챗지피티가 답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매사추세츠주 법 스타일로 법안 초안을 작성하라”라고 요청했을 때 처음에는 챗지피티가 “법안 초안을 작성할 수 없다”며 거절했지만, 여러 차례 시행착오 끝에 ‘70퍼센트’ 수준의 초안을 만들었다고 파인골드 의원은 말했다. 사용자가 풍부한 아이디어를 가지고 이를 구현할 수 있게 구체적으로 요청할 때 결과도 유용했다. “챗지피티는 비식별화 문제, 데이터 보안과 같은 일부 주제에 대해서는 합리적 아이디어도 제시하는 등 독창적 기여도 했다”고 파인골드 의원은 평가했다.

민주주의에서 법안 작성은 고도의 정치적 행위다. 법은 갈등하고 충돌하는 여러 이해관계가 경합하는 장이며 이를 조정해 구속력있는 문서로 만드는 과정이다. 이처럼 인간 사회를 규율하는 제도, 법 제정 등 인간에게 고유한 고도의 정치과정에 인공지능이 개입하면서 민주주의 근간이 흔들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입법과정에서 요구되는 문서 요약, 자료 및 법안의 비교 등을 위해 챗지피티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인간의 감독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즉, “법안 작성 등과 같은 정치과정에서 챗지피티가 인간을 대체할 수 없으며 노동력을 절약하는 장치로써만 활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챗지피티는 여론 형성과 정책 개입 등 로비 과정에도 활용될 수 있다. 지난달 15일 미국 <뉴욕타임스>에 실린 데이터 과학자 네이선 샌더스와 보안 전문가 브루스 슈나이더의 공동 기고문 ‘챗지피티는 어떻게 민주주의를 탈취하는가’에 따르면, 챗지피티는 특정 정책에 대한 의견 작성, 지역신문에 기고할 편지 작성, 소셜 미디어 게시물 작성, 뉴스 기사에 대량의 댓글 달기 등의 방식으로 여론에 개입할 수 있다.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정치인, 또는 여론주도층을 선별해 이들에게 정확한 메시지를 작성·전달하는 것이 유능한 로비스트의 역할이다. 챗지피티는 아직 핵심 정치인을 찾아내는 데는 이르지는 못하지만 빠르고 정확한 메시지 작성에서는 놀라운 능력을 보인다. 머잖아 챗지피티의 자동 메시지 작성 기능과 정치 네트워크를 이해해 핵심 정치인을 타겟팅할 수 있는 시스템이 결합한다면 파괴력은 상당할 것이다. 챗지피티가 기업의 법인세, 국방예산 등과 같은 특정 정책 영역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의원을 스스로 찾아내어 이들에게 정확한 메시지를 직접 작성·전달하는 ‘원스탑 로비’도 가능해질 수 있다는 의미다.

민주주의에서 여론은 목소리를 낼 수 없던 보통의 시민들이 정치에 참여하고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핵심 무기다. 여론 조작은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중대한 범죄로 간주한다. 러시아가 2016년, 2020년 트럼프의 당선을 돕기 위해 소셜 미디어에 유령 계정들을 자동 생성하는 ‘봇(bots)’ 프로그램을 심거나 사이버 댓글부대를 운영하는 방식으로 여론조작을 시도한 것이 대표적 사례다. 2017년 한국 대선에서도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해 포털사이트 기사 댓글의 공감·비공감 클릭 수를 조작하는 방식으로 여론조작을 시도해 문제가 됐다.

민주주의는 부유하건 가난하건 누구나 한 표씩만 행사할 수 있는 평등한 체제다. 민주주의의 대가로 불리는 정치학자 로버트 달은 민주주의인가 아닌가를 구분하는 것은 “공적 논의와 결정의 과정에 평등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절차적 조건”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서는 시민 모두가 의견을 가지고 표출할 수 있는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 챗지피티를 이용해 댓글과 같은 정치 메시지를 대거 생산해 유포하는 것은 참여와 의견을 조작해 민주주의를 위협한다.

한편 챗지피티는 누구나 접근가능하기에 힘없는 약자들도 정책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로비를 시도할 수 있어 민주주의에 활력을 부여할 것이라는 기대감도 있다. 하지만 강력한 힘을 지닌 기관일수록 ‘인간 로비스트’는 물론 ‘인공지능 로비스트’도 적극 활용할 가능성이 크다. 누구나 챗지피티를 이용할 수 있다지만 결국 아이디어와 경험이 많은 전문가, 그리고 자금력이 뒷받침될 때 로비의 효과도 극대화된다. 이들이 챗지피티를 이용해 조직적 로비를 펼칠 때 보통의 시민이 정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권한인 ‘투표’는 무력해질 수 있다.

한귀영 사람과디지털연구소 연구위원 hgy4215@hani.co.kr


한겨레에서 보기 : https://www.hani.co.kr/arti/science/future/1078416.html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협동조합의 가치와 성과도 측정·관리한다

‘제5회 사회적경제 박람회’ 부산 벡스코에서 개막 부대행사로 ‘협동조합 통계 국제컨퍼런스’ 열려 ‘조합 통계 가이드라인’ 5개국 시범사업 결과 발표 “국제적으로 일관되고 신뢰할 수 있는 기준 필요” 지난 6월30일 부산 ...

  • HERI
  • 2023.07.03
  • 조회수 290

“사회연대경제, 국제 위상에 맞춰 역할 확장해야”

제20회 사회적경제 정책포럼 유엔 결의안 채택으로 사회적경제 중요성 부각 지속가능발전 위한 사회적경제 역할·과제 논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위한 사회적경제의 의미와 역할’을 주제로 한 제20회 사회적경제 정책포럼...

  • HERI
  • 2023.06.30
  • 조회수 334

사는 곳도 생각도 다른 지구촌 3084명, 세계를 말한다

25일 세계 최초 ‘더 월드 톡스’ 시도 생각이 다른 지구촌 3084명의 대화 6년 전 시작 ‘독일이 말한다’ 확대판 한겨레 아시아미래포럼에서도 실험 25일(현지 시각) 러시아인 베타(왼쪽)와 팔레스타인인 아나스가 ‘더 월트 톡스...

  • HERI
  • 2023.06.27
  • 조회수 347

“AI, 아직 개 지능에도 못 미쳐…종말론 터무니없다”

제2회 사람과디지털포럼 지난 16일 오전 서울 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제2회 한겨레 사람과디지털포럼에서 프랭크 패스콸리 미국 브루클린대 로스쿨 교수가 ‘챗지피티시대: 알고리즘의 잠재적 혜택과 위험’을 주제로 기조연...

  • HERI
  • 2023.06.26
  • 조회수 322

“식품 안전 위해 ‘GMO 완전표시제’ 도입해야”…‘GMO 특별법’ 제정 촉구

국회서 생협단체 등 기자회견 소비자기후행동, 아이쿱생협연합회, 한살림생협연합회 등 7개 단체와 더불어민주당 양이원영·신정훈 의원과 정의당 강은미 의원 주관·주최로 21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국회 소통관에서 ‘지엠오...

  • HERI
  • 2023.06.21
  • 조회수 301

CEO와 게임 히어로는 남성? 윤송이는 AI 너머 세상 편견과 싸운다

[인터뷰] 윤송이 엔씨소프트 사장 인터뷰 ☞한겨레S 뉴스레터를 구독해주세요. 검색창에 ‘에스레터’를 쳐보세요. 윤송이 사장이 지난 15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매거진 라이브러리에서 카메라 앞에서 웃는 모습. 이정용 ...

  • HERI
  • 2023.06.19
  • 조회수 394

“온라인의 욕설·비속어 문제 해결해요”

제8회 휴먼테크놀로지어워드 대상에 KISO의 ‘이용자 보호 시스템’ ‘마을호텔’로 꾸민 정선 고한읍과 ‘제가버치’ ‘캐시노트’는 최우수상 ‘제8회 휴먼테크놀로지 어워드’가 지난 16일 오후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 HERI
  • 2023.06.19
  • 조회수 303

AI 작곡가, 노래 한곡 뚝딱…인간 공존의 조건

제2회 한겨레 사람과디지털포럼 인공지능 예술의 현재와 미래 안창욱 광주과학기술원 인공지능대학원 교수가 16일 서울 중구 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2회 사람과 디지털포럼 오후 세션에서 ‘생성형 AI가 구현한 예술의 세계’ 주제...

  • HERI
  • 2023.06.19
  • 조회수 359

“예상 뛰어넘는 인공지능 기술…부작용 논의 시급”

챗GPT 시대, 인간과 AI 공존의 조건 “인간 대체 아닌 기능 강화에 쓰여야” 제2회 한겨레 사람과 디지털 포럼 제2회 사람과 디지털포럼 ‘챗지피티 시대, 인간과 에이아이(AI) 공존의 조건’이 16일 오전 서울 상공회의소 국...

  • HERI
  • 2023.06.19
  • 조회수 334

“챗지피티시대, ‘인간-AI 공존’ 지혜 모아야”

제2회 한겨레 ‘사람과디지털포럼’ 각계 축사 허은아 의원 “AI에 대한 기대-우려 직시해야” 조승래 의원 “인류문명과 충돌 위험 극복할 것” 이종호 장관 “전문가들 고견, 정책에 적극 반영” 고진 위원장 “유능한 정부 위...

  • HERI
  • 2023.06.19
  • 조회수 342

디지털 기술 활용, 합리적 비용의 비대면 심리 상담

HTA2023 이용자부문 우수상 마인드카페 우리나라 국민 중 일생동안 정신질환을 앓는 비율은 25.4%로, 4명 중 1명 꼴이다. 경기침체, 불평등 심화 등과 같은 사회경제적 변화에 코로나 전염병까지 겹치면서 우울감, 상실감을 호소...

  • HERI
  • 2023.06.15
  • 조회수 370

청각장애인 기사가 운전하는 차량 공유 서비스

HTA2023 특별부문 우수상 고요한 M 고요한 모빌리티라는 뜻의 ‘고요한 엠(M)’은 청각장애인 기사가 운행하는 호출형 차량 공유 서비스다. 서비스 차량 안에는 승객들과 청각장애인 운전자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태블릿이 ...

  • HERI
  • 2023.06.15
  • 조회수 226

말못하는 동물 치료위해 AI기반 X선 영상판독

HTA2023 특별부문 우수상 SK텔레콤 엑스칼리버 ‘엑스칼리버(X Caliber)’는 에스케이텔레콤이 개발한 국내 최초의 ‘인공지능 기반 수의영상진단 보조 서비스’다. 엑스레이 영상 판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일선 임상수의사에게 ...

  • HERI
  • 2023.06.15
  • 조회수 203

’금지단어 묶음’ 제공 게임내 욕설·성차별 막아

HTA2023 특별부문 우수상 한국게임정책자율기구 말뭉치DB 한국게임정책자율기구(GSOK)의 ‘말뭉치 데이터베이스’는 게임이나 채팅 공간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욕설·혐오표현 등과 같은 ‘금지단어 묶음’이다. 이용자들의 건강한 게...

  • HERI
  • 2023.06.15
  • 조회수 266

일상속 쓰레기줍기 앱 기록…선행 공유하고 환경 기여

HTA2023 사회공공부문 우수상 이타시티 ‘이타시티’는 공유가능한 선행을 지향하는 비영리 기부 스타트업이다. 자원봉사가 개인의 ‘선한 활동’을 넘어 사회문제 해결에 이를 수 있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이타시티의...

  • HERI
  • 2023.06.15
  • 조회수 226

부모-시터 매칭해 아이돌봄과 경력단절 여성 일자리 기여

HTA2023 이용자부문 우수상 맘시터 2022년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0.78명으로 전세계에서 가장 낮다. 저출생·고령화 문제가 깊어지면서 출산과 양육을 위한 돌봄노동의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맘시터’는 아이 돌봄이 필요한...

  • HERI
  • 2023.06.15
  • 조회수 219

60만개 욕설DB로 혐오 차단…이용자 인권 보호

HTA2023 대상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 이용자보호 시스템 네이버·카카오가 ‘금지어DB’ 제공 인터넷자율정책기구가 통합 완료 변형된 욕설도 걸러낼 수 있어 중∙소규모 기업도 활용하게 무상 공유 제8회 휴먼테크놀로지 어워...

  • HERI
  • 2023.06.15
  • 조회수 225

빈집 수리해 ‘마을호텔’로…소멸 위기 폐광지역 활기

HTA2023 특별부문 최우수상 마을호텔 18번가 “마을호텔 18번가는 야생화로 유명한 정선의 작은 산골 마을인 고한18리 주민들이 골목상점들을 하나로 모아 마치 호텔처럼 운영하는 재미난 곳입니다. 민박집은 호텔 객실이 되고, ...

  • HERI
  • 2023.06.15
  • 조회수 183

생산자-소비자 직접연결 농산물 ‘제값어치’ 찾아줘

HTA2023 특별부문 최우수상 카카오 메이커스 특별부문 최우수상으로 선정된 ‘카카오 메이커스’는 인간·기술·가치의 연결을 통해 카카오식 소셜임팩트를 추구하는 프로젝트다. 국내 제조업에 실질적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이들의 가...

  • HERI
  • 2023.06.15
  • 조회수 161

자영업자의 현금 흐름 한 눈에 볼 수 있는 ‘국민 사장님 앱’

HTA2023 이용자부문 최우수상 캐시노트 캐시노트는 ‘국민 사장님 앱’으로 불린다. 자영업자를 위한 ‘현금출납 서비스’로 매출과 지출만 입력하면 하루 소득, 즉 자신의 노동이 얼마에 해당하는지 알려준다. 식당을 운영하는 자...

  • HERI
  • 2023.06.15
  • 조회수 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