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뉴스
‘2020 아시아미래포럼’ 기조강연
팬데믹과 기후위기 시대의 젠더

반다나 시바 세계화국제포럼 상임이사

약탈적 자본이 가져온 폐해
코로나 틈타 생물 다양성 위협
여성에게 피해 집중 ‘젠더위기’
지구 민주주의 확장해야 할 때

코로나19로 회사와 학교의 문이 닫혔고, 여성들은 고용 불안과 돌봄을 오롯이 떠안게 되었다. 사진은 지난 5월18일 한국여성노동자회와 전국여성조합이 주관한 제4회 ‘임금차별타파의 날’ 행사 모습. 서울여성노동자회 제공
코로나19로 회사와 학교의 문이 닫혔고, 여성들은 고용 불안과 돌봄을 오롯이 떠안게 되었다. 사진은 지난 5월18일 한국여성노동자회와 전국여성조합이 주관한 제4회 ‘임금차별타파의 날’ 행사 모습. 서울여성노동자회 제공

반다나 시바 ‘세계화국제포럼’ 상임이사는 자본주의의 폐해와 남성중심주의 사회에서 환경과 여성의 해방을 위해 오래도록 목소리를 높여 온 세계적인 사상가이자 활동가이다. 그는 12월2일 아시아미래포럼 첫 날 기조강연 세션에서 ‘팬데믹과 기후위기 시대의 젠더’를 주제로 강연할 예정이다. 어쩌면 지금 인류에게 닥친 팬데믹 상황은 그가 가장 걱정하고 지적하던 약탈적 자본주의와 남성 중심의 사회가 초래한 결과일지 모른다. 지난 10월 말 전자우편을 통해 팬데믹과 환경, 여성에 대한 그의 생각을 물었다.

코로나19가 몰고 온 팬데믹은 인간 또한 ‘위험에 빠진 종(種)’이라는 것을 일깨웠다. 그만큼 글로벌 자본의 난개발은 심각한 생태계 파괴를 불러일으켰기 때문이다. 그 어느 때보다도 자본주의에 대한 경각과 반성의 목소리도 높다. 하지만 반다나 시바는 ’다른 가능성’도 예의 주시하고 있다. 오히려 거대 자본가들은 “생태위기를 해결한다는 미명 하에” 유전자 변형 농산물을 확산시키고 하나의 작물이나 품종만을 기르는 단일 농업체제를 심화시키고 있다. 반다나 시바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농부 없는 농장”에서 유전자 변형 식품과 특허종자가 만들어지는 이러한 상황을 식량 독재주의라고 비판하고 있다.

코로나19 위기는 젠더 위기로 불릴 만큼 여성의 부담과 고통을 증가시켰다. 가사와 돌봄 노동의 급증, 가정폭력 증가, 보건 종사자 여성들의 감염 위험 노출, 취약한 일자리에 집중된 저소득층 여성의 해고와 강제 휴직 등의 사례가 전 세계에서 발생했다. 더욱이 여성들은 재난을 ‘피할 수 없는’ 상황으로 받아들이며, 전통적 성 역할이나 성 불평등을 감내하는 혹은 감내하라는 사회적 압박까지 받는다. 반다나 시바는 “여성은 재앙의 희생자이지만 동시에 가장 창의적인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존재”임을 강조하며, “코로나 위기의 심각성은 가부장적 자본주의의 근본적인 성 불평등을 드러내며 여성에 대한 폭력을 증가시킨다. 여성에 대한 지속적인 폭력을 막지 않으면, 사회와 경제는 붕괴할 것”이라고 말한다.


반다나 시바는 인도 여성들이 해 왔던 생태 중심의 자립 농업이 코로나 위기 시 빛을 발하고 있는 사례를 들려줬다. 반다나 시바가 1991년에 세운 농민 조직인 ‘나브다냐’(9개의 씨앗이란 의미)의 여성 회원들은 땅을 회복하고 종자를 보존하는 토착적 농사를 통해 생물 다양성을 보장하는 순환경제모델을 구축해왔다. 인터뷰 중이던 지난 10월 코로나 방역으로 인한 인도의 봉쇄 수준이 꽤 높았지만, 나브다냐 회원들은 원격 시장의 공급망이 무너져도, 지역순환경제를 통해 경제적 · 생태적 회복력을 유지할 수 있었다고 한다.


에코페미니즘과 식량주권을 다루는 세계적 사상가이자 활동가인 반다나 시바. 반다나 시바 제공
에코페미니즘과 식량주권을 다루는 세계적 사상가이자 활동가인 반다나 시바. 반다나 시바 제공

생태주의적 관점과 젠더 정의를 결합한 포스트-코로나의 사회는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 반다나 시바는 무엇보다 “인간을 다른 종보다 우월하게 취급하는 인간 중심주의의 위계, 자연과 여성의 착취에 기초한 가부장적 자본주의 위계”를 타파할 것을 주장했다. 특히 코로나19 위기를 이용해 국가와 거대 자본가들이 유엔 기후와 생물 다양성에 관한 협약을 붕괴시키고, 교묘하게 언택트와 디지털 기술을 통해 새로운 약탈과 침략을 강화해가는 상황에 대해 경계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는 간디의 말을 인용해 “바닥을 부수면서 피라미드의 꼭대기에서 살 수 없다. 전 세계가 다양성, 자기 결정권, 주권, 자유와 평등이라는 거대한 순환체제를 포용할 때까지 지속해서 지구 민주주의를 확장해야 한다”며 인터뷰를 마쳤다.


세션에서 반다나 시바는 온라인으로 참여하고, 김양희 에코페미니즘 연구센터 소장과 백영경 제주대 교수(사회학)가 토론자로 참석한다. 김 소장은 팬데믹 위기에서 여성과 환경에 대한 글로벌과 지역 단위의 운동과 활동을 비교하며 토론을 이어갈 예정이다. 백 교수는 탈 자본주의, 탈 성장주의 관점에서 코로나 이후의 사회 기획에 관해 토론할 예정이다.


김현미 연세대 교수(문화인류학) hmkim2@yonsei.ac.kr

20201125504002.jpg


한겨레에서 보기: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971489.html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우리 모두의 회복력은 취약계층의 회복력에 달려있다”

[아시아미래포럼] 기조강연 가이 스탠딩 런던대 교수 2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11회 아시아미래포럼에서 가이 스탠딩 영국 런던대학교 교수와 화상통화를 연결해 `코로나, 기본소득, 그리고 이후'를 주제...

  • HERI
  • 2020.12.02
  • 조회수 2694

“금융위기 때보다 고용 충격 더 크고 오래갈 것”

[아시아미래포럼] 기조강연 이정우 한국장학재단 이사장 2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제11회 아시아미래포럼'에서 이정우 한국장학재단 이사장이 `팬데믹과 불평등'을 주제로 기조강연을 하고 있다. ...

  • HERI
  • 2020.12.02
  • 조회수 2626

‘빈곤퇴치를 위한 사회실험’이 진보 이끈다

[아시아미래포럼] 기조강연 마이클 크레이머 시카고대 교수 마이클 크레이머 시카고대 교수 불행이 유독 가난한 이들을 더 괴롭히지 않도록 할 방법은 없을까? 지난해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마이클 크레이머 미국 시카고대...

  • HERI
  • 2020.12.02
  • 조회수 2632

마추카토 교수 “국가, 문제 해결사 넘어 공공가치 창조할 수 있다”

[아시아미래포럼] 기조강연 마리아나 마추카토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교수 MARIANA MAZZUCCATO “국가는 문제 해결사가 아니라 가치 창조자가 돼야 합니다.” 2일 열린 ‘2020 아시아미래포럼’ 첫날 기조강연자로 나...

  • HERI
  • 2020.12.02
  • 조회수 2914

정부, 기업 혁신의 보조 아닌 ‘가치 창조자’로 역할을

기조강연 | 마리아나 마추카토 공공의 역할과 혁신에 관한 통찰 공공자원·기술 수혜 입은 기업들 과도한 이익 챙기고 세금은 회피 ‘가치 창조’ 가면 쓰고 ‘가치 착취’ 혁신 성과도 공유 가능한 정책을 마리아나 마추카토 ...

  • admin
  • 2020.11.30
  • 조회수 2665

‘전시 공산주의’처럼 경제의 부분적 사회화를

기조강연 | 슬라보이 지제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뉴노멀 새롭고 불길한 자연의 등장 초래 세상 보존하려면 급진 변화 필요 ‘모르고자 하는 의지’가 방역 방해 잘못된 개인주의 대가 치르는 중 슬라보이 지제크. <한겨레>...

  • HERI
  • 2020.11.30
  • 조회수 2297

코로나가 불러온 기본소득 논쟁, 경기도 ‘농촌실험’ 결과는

세션 1 농촌 기본소득 사회실험 소멸 위기 농촌에 지역화폐 제공 모든 주민에게 정기 지급 계획 구상 빈곤층 등 특정한 해외 사례와 달리 각 구성원 상호 작용 등 분석 가능 사례·이론 통한 실험 효과 예측 균형 발전·공동...

  • HERI
  • 2020.11.30
  • 조회수 2901

“청년이 도시의 미래, 함께 논의해야”

박수현 유엔해비타트 한국위원회 회장 “주거비·생활환경 등 도시 문제 미래 세대 청년들에게 큰 영향 일자리·복지정책만으로 풀 수 없어 도시라는 주거공간 차원에서 봐야 각국의 축적된 사례·경험 토대로 청년들을 위한 도시공간...

  • HERI
  • 2020.11.30
  • 조회수 2819

경제도 교육도 양극화 심화…약자들에 더욱 가혹한 재난

2020 아시아미래포럼 이정우 한국장학재단 이사장 ‘팬데믹과 불평등’ 기조강연 성장률 하락 고통 취약층 집중 여성·청년 일자리 더 많이 줄어 원격수업 뒤 학력 격차 커지고 식당·상점은 재택 근무도 못해 ’팬데믹과 불평등’...

  • HERI
  • 2020.11.30
  • 조회수 2988

코로나 이전 시스템은 잊어라…이젠 연대의 시대

2020 아시아미래포럼 팬데믹 이후의 세계: 연결에서 연대로 OECD “더 나은 재건” 성장·효율 우선 경제, 큰 비용 초래 삶의 질 높이는 ‘사람 중심 회복’을 WEF “거대한 재설정” 공정한 시장과 평등 증진 투자를 공익...

  • HERI
  • 2020.11.30
  • 조회수 2774

“포용·혁신성 갖춘 도시 만들기 위한 협치 플랫폼 구축”

제1회 ‘대한민국도시포럼’ 유엔해비타트·한겨레 공동개최 ‘위기의 시대, 도시의 미래’ 주제로 지속가능 도시·공동체 발전 모색 KDI·서울연구원 등 전문가 참여 ‘포용’ ‘혁신’ 열쇳말로 비전 제시 “복잡·다양 도시문제는 집...

  • HERI
  • 2020.11.30
  • 조회수 3052

“팬데믹, 사회 갈등 기폭제…‘재발명된 공산주의’로 극복을”

[2020 아시아미래포럼] 미리 만나보는 주요 연사 (5) 슬라보이 지제크 국가의 산업 개입·최소한의 생존 보장 위기 시절엔 우리 모두 사회주의자 현재는 새 관습 구축 시작 단계 우리가 처한 상황 명확히 인식해야 ‘퍼펙트 스...

  • HERI
  • 2020.11.30
  • 조회수 2891

“건강한 사회보다, 아파도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사회”

‘불안사회, 국가는 어디에 있는가’ 2020 사회정책연합 학술대회 ‘쉬어도 괜찮습니다’ 토론회 건강 중심사회 대안으로 ‘질병권’ 제시 아파도 잘 살 수 있는 사회 아픈 몸도 일할 수 있는 일터 지난 10월 과로사 택배 노동...

  • HERI
  • 2020.11.27
  • 조회수 2788

“함께 성장하는 사회적 경제의 온기, 영상으로 느껴보세요”

제13회 사회적 경제 공모전 시상 사회적 기업 ‘코끼리 공장’ 소개한 ‘마중물’ 최고상 받아 기후위기, 교육 불평등에 맞서는 기업 유튜브로 소개 89개 영상 접수, 10개 팀 수상 사회적 기업 ‘코끼리 공장’ 홍보 영상을 ...

  • HERI
  • 2020.11.27
  • 조회수 2660

“세계화 계속…자본에 기울어진 시장의 균형 잡아야”

2020 아시아미래포럼 미리 만나보는 주요 연사 ④토머스 프리드먼 “코로나에 공급망 영향 받겠지만 필요·기술발전으로 세계화 안 끝나 외려 신기술·아이디어 기업들 출현 팬데믹 뚫고 창조적 파괴 시기 올것 세계화·기술로 인한 ...

  • admin
  • 2020.11.27
  • 조회수 2463

‘기울어진 일자리’ ‘노동의 양극화’ 미래는 어떻게 풀까

‘2020 아시아미래포럼’ 세션 5 비대면 시대의 노동 재택근무 현황·특징 살펴보고 데이터 기반 미래 노동환경 예측 고용노동정책이 변화할 방향 제시 ‘비대면 노동’, ‘재택근무’, ‘줌 회의’… 코로나19로 낯선 단어들이 우...

  • admin
  • 2020.11.27
  • 조회수 3070

자연·여성 착취하는 ‘가부장적 자본주의’ 타파해야

‘2020 아시아미래포럼’ 기조강연 팬데믹과 기후위기 시대의 젠더 반다나 시바 세계화국제포럼 상임이사 약탈적 자본이 가져온 폐해 코로나 틈타 생물 다양성 위협 여성에게 피해 집중 ‘젠더위기’ 지구 민주주의 확장해야 할 때...

  • admin
  • 2020.11.27
  • 조회수 3569

소득 보장, 고용 보장 …팬데믹 시대의 복지 체제 재정비

아시아미래포럼 세션 2 팬데믹 시대의 사회보장 코로나 이후 불평등·빈곤 심화 단기적 정책·장기적 안전망 재편 기본소득 등 다양한 대안 제시 지난 3월 통계청이 발표한 고용동향에서 ‘일시 휴직자’는 160만7천명으로, 전년 같...

  • admin
  • 2020.11.27
  • 조회수 2881

전세계 대도시 흥망 가른 전염병…미래 도시가 해야할 일

‘2020 아시아미래포럼’ 세션 6 팬데믹 시대: 도시의 미래 도시 혁신 가능케한 역병의 역사 ‘작은 도시’ 지향한 계획 필요성 국가별 다차원적 대응전략 소개 세계 곳곳에서 코로나19의 3차 대유행 확산세가 이어지고 있다. 미...

  • admin
  • 2020.11.27
  • 조회수 2854

“전세계 안전 위해 국가협력·다자주의 회복해야”

반기문 국가기후환경회의 위원장 아시아미래포럼 기조·특별강연 지구적 위기, 지구적 협력 미국이 모든 가치에서 탈퇴하고 코로나 겹쳐 기후·보건·경제 위기 파리협약에 기반한 공동 행동을 가난·식량부족 취약계층 지원도 사진 반기...

  • admin
  • 2020.11.27
  • 조회수 2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