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뉴스
인도네시아 사회적 기업의 힘, 오지 68곳에 전깃불

아시아의 지속가능 발전 위한
사회적 기업가 정신 분과토론

이베카·주민 지분 나눠 소규모 수력발전 건설
“개발자본 아닌 주민이 지역 자원 활용케해야”
150명 참석해 한국 유기농 가능성 등 사례 나눠


인도네시아는 1만7500개 이상의 섬들로 이뤄진 나라다. 전력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탓에 전체 인구 2억4300만명 가운데 전기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인구가 9000만명을 넘는다. 이런 상황에서 인도네시아의 사회적기업 이베카(IBEKA)의 트리 뭄푸니 대표가 빈곤과 에너지 문제 해결의 실마리로 찾은 게 바로 ‘지역 자원’이다. 뭄푸니 대표는 인도네시아 시골마을의 빈곤 퇴치와 에너지 자립에 기여한 공로로 올해 막사이사이상을 받은 바 있다.

» 2011 아시아미래포럼 둘째 날인 16일 오후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아시아의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사회적 기업가 정신’을 주제로 분과3 토론이 열리고 있다. 왼쪽부터 서형수 ‘사회적 기업가 학교’ 교장, 트리 뭄푸니 이베카 대표, 이태근 흙살림 대표, 리판 글로벌링크스이니셔티브 상임이사, 나카무라 도시히로 코페르니크 대표, 에바시 다카시 호세이대 교수, 김대규 에너지팜 대표.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16일 ‘아시아의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사회적 기업가 정신’이라는 주제를 내걸고 열린 분과토론은 빈곤, 에너지, 환경 등 아시아 지역사회가 당면한 문제와 맞서 싸우고 있는 각국 사회적 기업가들의 생생한 경험들을 서로 나누는 자리였다.


뭄푸니 대표는 외부의 개발자본이 아니라 지역 주민의 손으로 지역의 천연자원을 개발·활용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친타메카르라는 지역을 비롯해 인도네시아 68개 지역에서 정부, 지역 민간기업, 이베카가 공동으로 소규모 수력발전(소수력발전) 설비를 세운 게 대표적 사례다. 이베카가 인도네시아 작은 섬들에 소규모 수력발전 설비를 세우면서 만든 사업모델은 민간기업과 마을공동체가 지분을 공동으로 소유하는 구조다. 생산된 전기를 주민들이 우선 사용하고, 남는 전기는 정부에 팔아 그 수익을 민간기업과 마을공동체가 반씩 나누는 식이다. 뭄푸니 대표는 “이런 사업을 통해 얻은 이익으로 가난한 지역에 학교나 병원을 세울 수 있었고, 인도네시아 정부도 이를 통해 전기를 확보해 일부 농촌지역의 전력 문제도 해결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몸푸니 대표가 수력발전을 지렛대 삼아 빈곤과 에너지 문제 해결에 나섰다면, 국내 사회적기업인 ‘흙살림’은 농촌지역의 유기농업에서 가능성을 찾은 경우다. 이태근 흙살림 대표는 “무너지는 농촌과 경쟁력을 잃어가는 농업을 살리기 위해서는 고투입-다수확 농업이 아닌, 저투입-저수확 유기농업이 해법”이라고 주장했다. 유기농업은 흙을 살려 지속가능한 농업을 가능하게 만들고 농민과 소비자의 건강은 물론 자연생태계를 지켜낼 수 있다는 게 이 대표의 설명이다. 이 대표는 또 사회적기업이 농민과 소비자 사이를 연결해줌으로써 농촌과 저소득층 도시민들이 더불어 살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는 논리를 한결같이 펴 참가자들의 호응을 얻었다.


서형수 사회적기업가학교 교장(전 한겨레신문사 대표)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토론에는 사회적기업 관계자, 시민단체 활동가, 학생 등 150여명이 자리를 가득 메웠다. 방청객으로 참가한 이광택 함께일하는재단 상임이사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사회적기업 못지않게 정부의 노력이 중요하다”며 “정부는 내년까지 사회적기업 1000개를 인증하겠다고 하는데, 단순히 인증기업만 양적으로 늘릴 것이 아니라 질적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경욱 기자 dash@hani.co.kr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제5회 아시아미래포럼] 핀란드 ‘무민 마마’…국민 80%에 박수 받고 내려온 대통령

등록 : 2014.09.04 10:12 툴바메뉴 스크랩 오류신고 프린트 기사공유하기facebook0 twitter0 보내기 핀란드의 ‘국민 엄마’로 불리는 타르야 할로넨 전 대통령은 12년 재임 기간 동안 복지와 고용 중심의 정책으로 핀란드를 살...

  • admin
  • 2014.09.04
  • 조회수 9811

[싱크탱크 광장] 지역참여형 크라우드펀딩이 영근다

등록 : 2014.09.02 19:20 툴바메뉴 스크랩 오류신고 프린트 기사공유하기facebook9 twitter3 보내기 지난 7월18일 서울시 중구 환경재단 레이첼카슨홀에서 열린 ‘사회적금융 아이디어 발표회’에서 동북4구팀이 지역참여형 크라우드...

  • admin
  • 2014.09.03
  • 조회수 8874

[HERI의 눈] 일본판 ‘스튜어드십 코드’의 의미

등록 : 2014.09.02 19:48 툴바메뉴 스크랩 오류신고 프린트 기사공유하기facebook0 twitter1 보내기 HERI의 눈지난 2월 일본 금융청은 ‘일본판 스튜어드십(청지기) 코드’인 ‘책임 있는 기관투자자의 원칙’을 발표했다. 스튜어드...

  • admin
  • 2014.09.03
  • 조회수 10748

[싱크탱크 광장] 시민의 아이디어로 정책 만든다

등록 : 2014.09.02 19:44 툴바메뉴 스크랩 오류신고 프린트 기사공유하기facebook0 twitter3 보내기 희망서울 정책박람회 희망서울 정책박람회 18일부터 서울판 알메달렌 ‘희망서울 정책박람회’(seoulideaexpo2014.org)가 오는 18~20...

  • admin
  • 2014.09.03
  • 조회수 7703

[유레카] 투기와 거품

로버트 실러 예일대 교수는 주식·부동산 등 자산시장 지표(케이스-실러 지수)를 만들어 지난해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했다. 그가 개발한 분석 지표에 따르면, 현재 미국 증시의 주가수익률은 25로 1년 전보다 2포인트 높아졌다. 이 ...

  • admin
  • 2014.09.02
  • 조회수 8223

[유레카] CEO 프란치스코

‘파파 프란치스코’가 100시간여 한국 체류를 마치고 출국했다. 가는 곳마다 구름 인파가 몰렸고 잔잔한 열광이 일었다. 한바탕 ‘메시아 신드롬’이 태풍처럼 헤집고 간 느낌이다. 한국을 아시아의 첫 방문지로 정한 교황청의 선...

  • admin
  • 2014.08.21
  • 조회수 8319

[싱크탱크 광장] “한국적 ‘경쟁’ DNA 극복해야 협동조합 성공”

지난달 30일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에서 열린 ‘2회 협동조합 경영 오픈포럼’에서 후안호 마르틴 몬드라곤대 교수가 강연하고 있다.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제공 [싱크탱크 광장] 몬드라곤이 본 한국 협동조합 현실‘몬드라곤’...

  • admin
  • 2014.08.19
  • 조회수 8966

[HERI의 눈] 청소년에게 사회적 경제 체험을

사진 마을닷살림 제공 HERI의 눈 지난달 24일 영국과 한국의 사회적 경제 지원기관 활동가들이 만났을 때(<한겨레> 7월30일치 29면) 양국의 차이를 하나 확인할 수 있었다. 영국 언리미티드(UnLtd) 클리프 프라이어 대표가 소개...

  • admin
  • 2014.08.19
  • 조회수 9296

[싱크탱크 시각] 진정한 황제주가 되려면

지난 수요일 국내 1위 화장품 업체인 아모레퍼시픽이 주식시장에서 황제주로 등극했다. 아모레퍼시픽의 주가는 롯데제과와 롯데칠성에 이어 세번째로 200만원대를 돌파했다. 이현숙 한겨레경제연구소장 2분기 실적 호전이 200만원 돌...

  • admin
  • 2014.08.18
  • 조회수 8597

[사회적 경제] 나이 많아도 장애 있어도 노동의 즐거움에 흠뻑

도우누리 사회적 협동조합은 노동의 참된 가치가 소득뿐만 아니라 개인의 자존감과 정체성 확립까지 포함한다는 점을 조합원 대상 교육을 통해 전하고 있다. 도우누리 사회적 협동조합 제공 [사회적 경제] “사람과 노동” 교...

  • admin
  • 2014.08.13
  • 조회수 8511

[사회적 경제] 정치권 법안 발의 준비…민간선 대책위 닻올려

사회적경제 기본법 어디까지 왔나그간 지지부진했던 ‘사회적 경제 기본법’ 제정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연초 여야는 당내에 사회적 경제 조직을 꾸리고 기본법 제정을 추진했다. 새누리당 사회적경제특별위원회는 지난 4월30일 ...

  • admin
  • 2014.08.13
  • 조회수 7853

[이봉현의 소통과 불통] 묘수보다 기본

이봉현 경제·국제 에디터 진리는 단순, 질박할 때가 많다. “묘수 세 번이면 그 바둑 진다”는 바둑 격언이 있는데 기본을 갖춘 단순한 것들이 복잡하고 현란한 것보다 힘이 세다는 뜻이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이번주 한국을...

  • admin
  • 2014.08.13
  • 조회수 8107

[유레카] 상속예찬

부자는 왜 자식에게 재산을 물려주려 할까? 그레고리 맨큐 하버드대 교수가 얼마 전 이와 관련한 주장을 <뉴욕 타임스>에 기고했다. 그의 논리를 따라가 보자. 부자의 상속은 자신이 지금 쓸 돈을 절약해 미래 후손에 투자하...

  • admin
  • 2014.08.13
  • 조회수 7422

[유레카] 생존을 위한 연극

영국의 기숙형 사립학교(보딩스쿨)는 고위 관료와 정치인의 필수 코스다. 데이비드 캐머런 현 총리를 포함해 영국 내각의 절반 이상이 보딩스쿨 출신이다. 명문 보딩스쿨을 나와 옥스브리지(옥스퍼드-케임브리지)를 거쳐 고위직에 진...

  • admin
  • 2014.08.13
  • 조회수 7188

[유레카] 불평등

프랑스의 젊은 경제학자 토마 피케티의 <21세기 자본론>을 둘러싸고 내로라하는 학자들 사이에서 유력 언론을 통한 오피니언 공방이 거세다. 근대성의 주요 가치인 평등의 문제가 탈근대 시대에 새삼 뜨거운 논쟁거리가 되고 있...

  • admin
  • 2014.08.13
  • 조회수 7207

[사회적 경제] “다양한 주체 함께해야 건강한 생태계 구축 가능”

지난 24일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에서 언리미티드(UnLtd) 클리프 프라이어 대표(윗줄 오른쪽에서 넷째)와 신나는조합, 씨즈 등 한국의 사회적 경제 지원기관 담당자들이 간담회를 마친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서울시사회적경제지...

  • admin
  • 2014.07.30
  • 조회수 11063

[사회적 경제] 마음만 먹으면 모두 ‘공유지’ 될 수 있다

윤형근 한살림성남용인생협 상무 윤형근의 모심과 살림용인에 가면 동네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특별한 곳이 있다. 동천동 874-6번지를 폼나게 바꿔 부르는 ‘마을공유지 파지사유(破之思惟, 破之私有, 破之事由…)’. “익숙한...

  • admin
  • 2014.07.30
  • 조회수 11918

[싱크탱크 시각] 청소년 일터 권리, 사회의 거울이다.

툴바메사공유하기 이현숙 한겨레경제연구소장 “영국 노동법상 16살 이하의 연기자는 오전 9시30분에 출근해 오후 7시에 퇴근한다. 이 가운데 3시간은 학교 커리큘럼에 맞춘 공부를 해야 하고 1시간은 식사시간이다. 제작자는 교재...

  • admin
  • 2014.07.28
  • 조회수 12781

[사회적 경제] 실패에서 더 많은 것을 얻은 10인의 ‘힐링캠프’

1세대 사회적기업가와 지원조직 관계자들이 지난 4~7일 제주에서 열린 ‘성장기 사회적기업가 워크숍’에 참석해 토론을 하고 있다. [한겨레] [사회적 경제] 성장기 사회적기업가 워크숍 시민참여형 싱크탱크 희망제작소가 주최한...

  • admin
  • 2014.07.16
  • 조회수 14807

[사회적 경제] 19개국서 ‘사회적 경제’ 논문 70편 발표

지난 4~6일 연세대 원주캠퍼스에서 열린 ‘제3회 아시아 사회적기업 국제학술대회’ 마지막날 주요 참가자들이 원탁토론을 벌이고 있다. 연세대 제공 [한겨레] ‘아시아 사회적기업 학술대회’ 리뷰 지난 4~6일 연세대 원주캠퍼스...

  • admin
  • 2014.07.16
  • 조회수 12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