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뉴스
“이주민 보도는 통합보다 공존 관점서”
[한겨레] 최현준 기자 기자블로그 기자메일

분과토론-아시아 상생 위한 언론역할


132144028068_20111117.JPG
아시아의 상생을 위해 언론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할까? 이날 한·중·일·미 4개국 6명의 언론전문가들은 신경민 전 <문화방송> 앵커의 사회로 이주 문제와 한류 등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배기형 <한국방송> 프로듀서는 “언론이 이주민들을 흡수와 통합이 아닌 다양성과 공존의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배 프로듀서는 “국내 언론의 경우 이주민에 대해 사회 통합을 강조하는데 이것은 오만한 자세일 수 있다”며 “빠르게 동화시키는 게 능사가 아니고 저마다의 가치를 지킬 수 있는 마당을 열어주는 것이 미디어의 역할”이라고 말했다.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 아시아판 전 편집장인 패트릭 스미스는 “아시아 국가들이 여러 문화적 다양성을 수용할 자세가 돼 있는지 모르겠다”며 “일단 언론사부터 편집인에서 기자들까지 스스로를교육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류나 일류 등 문화적 교류에 대한 논의도 진행됐다. 부옌팡 중국 쩐메이대 미디어경영학 교수는 “아시아는 특히 인터넷의 발달로 상대 국가의 문화 소비가 편리해졌다”며 “이런 문화적 교류가 국가들 간의 상호 이해와 인식을 증진시켜 동아시아 통합을 촉진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강명구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국내 언론은 한류에 대해 ‘어떻게 하면 더 확대하고 돈을 벌 수 있을까’ 하는 식으로만 접근하는 경향이 있다”며 “이제 편견을 버리고 있는 그대로 접근하는 훈련을 할 때가 됐다”고 말했다. 이봉현 한겨레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은 “한·중·일 3국이 공동의 방송사를 세우는 방안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최현준 기자haojune@hani.co.kr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제5회 아시아미래포럼] “복지는 물론 동반성장 위해서도 증세 필요해”

“동반성장은 한국경제의 위기를 해결할 가장 상식적인 방법이다.” 등록 : 2014.09.15 20:12수정 : 2014.09.16 17:45 툴바메뉴 스크랩 오류신고 프린트 기사공유하기facebook1 twitter4 보내기 동반성장연구소장인 정운찬 서울대 명...

  • admin
  • 2014.09.16
  • 조회수 11090

[제5회 아시아미래포럼] “‘사람 얼굴의 자본주의’ 실천한 독일 발전 주목해야”

등록 : 2014.09.11 20:47수정 : 2014.09.11 22:27 툴바메뉴 스크랩 오류신고 프린트 기사공유하기facebook248 twitter32 보내기 문국현 한솔섬유 대표가 11일 오후 서울 송파구 가락동 한솔섬유빌딩 15층에서 <한겨레>와 인터뷰를 ...

  • admin
  • 2014.09.12
  • 조회수 8763

[제5회 아시아미래포럼]“사람을 소외시킨 경제가 오히려 성장을 막고 있다”

등록 : 2014.09.10 21:55수정 : 2014.09.11 00:14 툴바메뉴 스크랩 오류신고 프린트 기사공유하기facebook44 twitter32 보내기 조순 서울대 명예교수가 지난달 25일 오전 서울 관악구 행운동 자택에서 ‘사람 중심 경제’를 주제...

  • admin
  • 2014.09.11
  • 조회수 8857

[제5회 아시아미래포럼] “시장논리 벗어나 ‘인간이 목적’ 인식의 대전환 이뤄야”

등록 : 2014.09.09 21:26수정 : 2014.09.09 22:40 툴바메뉴 스크랩 오류신고 프린트 기사공유하기facebook0 twitter2 보내기 진노 나오히코 도쿄대 명예교수 기획 인터뷰 ① 진노 나오히코 교수 “인간은 이기심과 공감, 정의라는...

  • admin
  • 2014.09.10
  • 조회수 9026

[제5회 아시아미래포럼] 핀란드 ‘무민 마마’…국민 80%에 박수 받고 내려온 대통령

등록 : 2014.09.04 10:12 툴바메뉴 스크랩 오류신고 프린트 기사공유하기facebook0 twitter0 보내기 핀란드의 ‘국민 엄마’로 불리는 타르야 할로넨 전 대통령은 12년 재임 기간 동안 복지와 고용 중심의 정책으로 핀란드를 살...

  • admin
  • 2014.09.04
  • 조회수 9811

[싱크탱크 광장] 지역참여형 크라우드펀딩이 영근다

등록 : 2014.09.02 19:20 툴바메뉴 스크랩 오류신고 프린트 기사공유하기facebook9 twitter3 보내기 지난 7월18일 서울시 중구 환경재단 레이첼카슨홀에서 열린 ‘사회적금융 아이디어 발표회’에서 동북4구팀이 지역참여형 크라우드...

  • admin
  • 2014.09.03
  • 조회수 8875

[HERI의 눈] 일본판 ‘스튜어드십 코드’의 의미

등록 : 2014.09.02 19:48 툴바메뉴 스크랩 오류신고 프린트 기사공유하기facebook0 twitter1 보내기 HERI의 눈지난 2월 일본 금융청은 ‘일본판 스튜어드십(청지기) 코드’인 ‘책임 있는 기관투자자의 원칙’을 발표했다. 스튜어드...

  • admin
  • 2014.09.03
  • 조회수 10748

[싱크탱크 광장] 시민의 아이디어로 정책 만든다

등록 : 2014.09.02 19:44 툴바메뉴 스크랩 오류신고 프린트 기사공유하기facebook0 twitter3 보내기 희망서울 정책박람회 희망서울 정책박람회 18일부터 서울판 알메달렌 ‘희망서울 정책박람회’(seoulideaexpo2014.org)가 오는 18~20...

  • admin
  • 2014.09.03
  • 조회수 7703

[유레카] 투기와 거품

로버트 실러 예일대 교수는 주식·부동산 등 자산시장 지표(케이스-실러 지수)를 만들어 지난해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했다. 그가 개발한 분석 지표에 따르면, 현재 미국 증시의 주가수익률은 25로 1년 전보다 2포인트 높아졌다. 이 ...

  • admin
  • 2014.09.02
  • 조회수 8223

[유레카] CEO 프란치스코

‘파파 프란치스코’가 100시간여 한국 체류를 마치고 출국했다. 가는 곳마다 구름 인파가 몰렸고 잔잔한 열광이 일었다. 한바탕 ‘메시아 신드롬’이 태풍처럼 헤집고 간 느낌이다. 한국을 아시아의 첫 방문지로 정한 교황청의 선...

  • admin
  • 2014.08.21
  • 조회수 8319

[싱크탱크 광장] “한국적 ‘경쟁’ DNA 극복해야 협동조합 성공”

지난달 30일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에서 열린 ‘2회 협동조합 경영 오픈포럼’에서 후안호 마르틴 몬드라곤대 교수가 강연하고 있다.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제공 [싱크탱크 광장] 몬드라곤이 본 한국 협동조합 현실‘몬드라곤’...

  • admin
  • 2014.08.19
  • 조회수 8966

[HERI의 눈] 청소년에게 사회적 경제 체험을

사진 마을닷살림 제공 HERI의 눈 지난달 24일 영국과 한국의 사회적 경제 지원기관 활동가들이 만났을 때(<한겨레> 7월30일치 29면) 양국의 차이를 하나 확인할 수 있었다. 영국 언리미티드(UnLtd) 클리프 프라이어 대표가 소개...

  • admin
  • 2014.08.19
  • 조회수 9296

[싱크탱크 시각] 진정한 황제주가 되려면

지난 수요일 국내 1위 화장품 업체인 아모레퍼시픽이 주식시장에서 황제주로 등극했다. 아모레퍼시픽의 주가는 롯데제과와 롯데칠성에 이어 세번째로 200만원대를 돌파했다. 이현숙 한겨레경제연구소장 2분기 실적 호전이 200만원 돌...

  • admin
  • 2014.08.18
  • 조회수 8599

[사회적 경제] 나이 많아도 장애 있어도 노동의 즐거움에 흠뻑

도우누리 사회적 협동조합은 노동의 참된 가치가 소득뿐만 아니라 개인의 자존감과 정체성 확립까지 포함한다는 점을 조합원 대상 교육을 통해 전하고 있다. 도우누리 사회적 협동조합 제공 [사회적 경제] “사람과 노동” 교...

  • admin
  • 2014.08.13
  • 조회수 8511

[사회적 경제] 정치권 법안 발의 준비…민간선 대책위 닻올려

사회적경제 기본법 어디까지 왔나그간 지지부진했던 ‘사회적 경제 기본법’ 제정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연초 여야는 당내에 사회적 경제 조직을 꾸리고 기본법 제정을 추진했다. 새누리당 사회적경제특별위원회는 지난 4월30일 ...

  • admin
  • 2014.08.13
  • 조회수 7854

[이봉현의 소통과 불통] 묘수보다 기본

이봉현 경제·국제 에디터 진리는 단순, 질박할 때가 많다. “묘수 세 번이면 그 바둑 진다”는 바둑 격언이 있는데 기본을 갖춘 단순한 것들이 복잡하고 현란한 것보다 힘이 세다는 뜻이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이번주 한국을...

  • admin
  • 2014.08.13
  • 조회수 8107

[유레카] 상속예찬

부자는 왜 자식에게 재산을 물려주려 할까? 그레고리 맨큐 하버드대 교수가 얼마 전 이와 관련한 주장을 <뉴욕 타임스>에 기고했다. 그의 논리를 따라가 보자. 부자의 상속은 자신이 지금 쓸 돈을 절약해 미래 후손에 투자하...

  • admin
  • 2014.08.13
  • 조회수 7422

[유레카] 생존을 위한 연극

영국의 기숙형 사립학교(보딩스쿨)는 고위 관료와 정치인의 필수 코스다. 데이비드 캐머런 현 총리를 포함해 영국 내각의 절반 이상이 보딩스쿨 출신이다. 명문 보딩스쿨을 나와 옥스브리지(옥스퍼드-케임브리지)를 거쳐 고위직에 진...

  • admin
  • 2014.08.13
  • 조회수 7188

[유레카] 불평등

프랑스의 젊은 경제학자 토마 피케티의 <21세기 자본론>을 둘러싸고 내로라하는 학자들 사이에서 유력 언론을 통한 오피니언 공방이 거세다. 근대성의 주요 가치인 평등의 문제가 탈근대 시대에 새삼 뜨거운 논쟁거리가 되고 있...

  • admin
  • 2014.08.13
  • 조회수 7207

[사회적 경제] “다양한 주체 함께해야 건강한 생태계 구축 가능”

지난 24일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에서 언리미티드(UnLtd) 클리프 프라이어 대표(윗줄 오른쪽에서 넷째)와 신나는조합, 씨즈 등 한국의 사회적 경제 지원기관 담당자들이 간담회를 마친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서울시사회적경제지...

  • admin
  • 2014.07.30
  • 조회수 11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