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뉴스
2020 아시아미래포럼 세션4
로컬의 진화: 코로나 시대 ‘지방정부와 시민사회’

대출이자 상환 유예·기금 모금…
세계 각국 협동조합 ‘사회연대’ 활동

지자체, 방역과정 신속 조처 큰 역할
긴밀 협력·연대로 위기 극복 제안도

크리스 도브잔스키 캐나다 ‘커뮤니티 포워드 재단’ 이사장이 3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11회 아시아미래포럼에서 ‘사람 중심 금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김혜윤 기자
크리스 도브잔스키 캐나다 ‘커뮤니티 포워드 재단’ 이사장이 3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11회 아시아미래포럼에서 ‘사람 중심 금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김혜윤 기자

제11회 아시아미래포럼 이틀째인 3일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이 전국 사회연대경제 지방정부협의회와 함께 진행한 ‘로컬의 진화: 코로나 시대 지방정부와 시민사회’ 세션에서는 지역과 시민이 중심이 되는 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협력 방안이 논의됐다.


‘위기의 순간에 빛나는 협동과 연대’라는 주제로 발표한 브루노 롤랑 국제협동조합연맹(ICA) 사무총장은 벨기에 브뤼셀에서 실시간 화상 연결을 통해 포럼에 참여했다. 롤랑 사무총장은 감염병 대유행기에 인도와 이탈리아, 영국 등 세계 각국에서의 협동조합 활동상을 전했다. 인도에선 협동조합들이 바이러스에 대항하기 위해 3천만달러를 모금했고 네덜란드 협동조합은행 ‘라브뱅크’는 팬데믹이 발생하자 소상공인들에게 대출이자 상환을 유예했다. 롤랑 사무총장은 “협동조합은 사회연대경제의 주축 중 하나로 위기 상황에서 강한 회복력과 연대가 최대의 강점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크리스 도브잔스키 캐나다 ‘커뮤니티 포워드 재단’ 이사장(전 캐나다 밴시티 신협 수석 이코노미스트)은 ‘사람 중심 금융’ 주제의 발표에서 캐나다의 사회적 금융 실천 사례들을 소개했다. 캐나다 지역사회와 사회적 금융을 연결하는 주축은 캐나다협동투자기금(CCIF)으로, 캐나다 전역에서 대안금융으로서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그는 “시민사회가 금융기관들을 움직이는데 굉장히 큰 역할을 한다”며 “수익을 쫓기보다 어떻게 하면 커뮤니티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살피는 비영리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시민사회와 거버넌스’를 주제로 발표한 윤태범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국정과제지원단장(한국방송통신대 행정학 교수)은 사회혁신의 촉진자로서 시민사회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코로나19 방역 과정에서 시민사회와 지역, 지자체의 신속한 조처가 큰 역할을 했다”며 “시민사회가 제역할을 하는 시민 중심의 민주주의를 회복하는 것이 코로나 시대를 극복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화상 토론에 참여한 김승수 전북 전주시장은 ‘해고 없는 도시 선언’을 이끌어낸 과정과 의미, 임대료 인하 사례를 소개했고, 문석진 서울 서대문구청장은 비대면 시대에 취약 계층에게 스마트 기기를 보급하는 등 위기 정책들을 들려줬다. 이밖에 김수영 서울 양천구청장, 곽상욱 경기 오산시장, 김미경 서울 은평구청장, 이재현 인천 서구청장 등도 코로나19 확산 이후 지역에서 실행한 사회연대 정책 사례를 하나하나 소개했다. 민형배 더불어민주당 사회적경제위원장은 “코로나 사태는 자본주의 논리에 따른 이윤 창출 중심의 의료 시스템만으로는 위기를 이겨내기 어렵다는 사실을 깨닫게 하고 있다”고 강조했고, 정원오 전국 사회연대경제 지방정부협의회장(서울 성동구청장)은 “코로나 위기가 초래한 전례없는 위기를 협력과 연대, 사회적 경제로 극복하자”고 제안했다. 유강문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장은 “아시아미래포럼이 사회연대경제를 꿈꾸는 지방정부협의회와 함께 고민하고 문제를 풀어가겠다”고 말했다.


홍대선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연구위원 hongds@hani.co.kr

한겨레에서 보기: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인간에겐 공존·협력하려는 본성이 있다”

<2021 아시아미래포럼> 특별강연 뤼트허르 브레흐만 네덜란드 언론인 ‘이기적·탐욕적 본성’ 통념에 반박 낯선 이가 곤경 처하면 90% 도와 뤼트허르 브레흐만 유럽 대안 언론 <코레스폰던트> 창립멤버가 ‘위기, 인류에 내재된 ‘...

  • HERI
  • 2021.10.21
  • 조회수 1768

“‘정의로운 친환경 전환’ 핵심은 실직 구제와 정규직 확대”

<2021 아시아미래포럼> 특별세션 섀런 버로 국제노조연합 사무총장 그라파코스 녹색성장기구 수석 “저소득국 화석연료 탈피 보상 필요” 산디프 파이 전략국제문제연 책임자 “단기에 전환 안돼…장기적 계획 중요” 김현우 에너지기...

  • HERI
  • 2021.10.21
  • 조회수 1333

마이클 샌델 “백신·교육에서 ‘능력주의 함정’ 작동”

<2021 아시아미래포럼> 기조세션2 마이클 샌델 미 하버드대 교수 연구개발비 충당 가능한 선진국이 백신의 과실 독식하면 공동선 붕괴 마이클 샌델 미국 하버드대 교수(왼쪽)가 김선욱 숭실대 학사부총장(가운데), 김은미 이화여대 ...

  • HERI
  • 2021.10.21
  • 조회수 1627

“기존 청년담론, 일부 집단 과잉대표…약자층 포함해야”

<2021 아시아미래포럼> 청년포럼 천주희 문화연구자, 논의 한계 지적 변재원 장애인권 활동가 경험 발표 “변화, 과거부정보다 현실에서 시작” 제12회 아시아미래포럼 첫째 날 행사로 ‘청년들이 만드는 균열, 연결 그리고 상상력...

  • HERI
  • 2021.10.21
  • 조회수 1679

<정의란 무엇인가> 저자 “백신 불평등…특허권 당장 멈추자”

2021 아시아미래포럼 개막 첫날 마이클 샌델 하버드대 교수 기조강연 조지프 스티글리츠 “녹색경제 전환, 일자리 창출” 20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2021 아시아미래포럼’에서 주요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

  • HERI
  • 2021.10.21
  • 조회수 1352

[포토] 코로나 시대, 함께 살 수 있는 미래는?

제12회 아시아미래포럼 ‘공존을 위한 대전환 : 함께 만드는 미래’ 조지프 스티글리츠, 마이클 샌델 등 온라인으로 ‘공존의 해법’ 논의 20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공존을 위한 대전환 : 함께 만드는 미래’를...

  • admin
  • 2021.10.20
  • 조회수 1333

[사설] 불평등·기후변화 ‘대전환’ 길 찾는 아시아미래포럼

제12회 아시아미래포럼이 ‘공존을 위한 대전환’을 주제로 20~21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다. 사진은 지난해 12월2일 열린 제11회 아시아미래포럼 모습. 백소아 기자 thanks@hani.co.kr 한겨레신문사가 주최하는 ‘202...

  • HERI
  • 2021.10.20
  • 조회수 1330

“탄소 감축은 기업이 꼭 넘어야 할 장애물 경기와 같다”

이형희 SK수펙스추구협 SV위원장 SK ESG전략 총괄하며 최태원 회장 보좌 “기업 부담 증가 우려는 엄살 아닌 현실 그러나 무섭다고 머뭇거리면 우리만 낙오” 전기료 인상 따른 경쟁력 유지 대책 절실 “원전 정치논쟁 변질…...

  • HERI
  • 2021.10.18
  • 조회수 1402

“극단주의 조장” 사악한 SNS 알고리즘 고칠 수 있을까

“시민안전 충돌때 어김없이 이윤추구” 전 제품관리자 하우건 내부자료 폭로 내부고발·비판불구 성장세 변함없어 거대플랫폼 특성상 다양한 측면 불가피 비밀주의와 취약층 공격 알고리즘 문제 시민사회·입법통한 규제 찬반 엇갈려...

  • HERI
  • 2021.10.18
  • 조회수 1724

“유용하고 오래 쓰는 제품을 만드는 것, 그것이 지구 살리는 길”

<2021 아시아미래포럼> 미리 만나보는 주요 연사 ⑤ 빈센트 스탠리 2016년 가을 한국을 찾은 빈센트 스탠리가 서울 강남구 파타고니아코리아 사무실에서 화분을 들고 경영 철학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파타고니아 제공 “우리는...

  • HERI
  • 2021.10.18
  • 조회수 1391

섀런 버로 “노동자 낙오 없는 탈탄소 경제를 설계하자”

<2021 아시아미래포럼> 미리 만나보는 주요 연사 ④ 섀런 버로 국제노동조합연합(ITUC) 사무총장 “기후변화 따른 산업 전환의 길 발전·화학 등 업종엔 일자리 위기 지구와 사람을 함께 중심에 둔 ‘정의로운 전환’ 유일한 대안...

  • HERI
  • 2021.10.18
  • 조회수 1129

스마트도시 넘어 포용도시는 어떻게 가능할까

<2021 아시아미래포럼> 세션3: 산업환경과 구조변화, 전환과 재편 사이 기술혁신 내달려온 산업구조 코로나 이후 일터·삶터 대전환 양극화 줄이고 삶의 질 높여줄 도시의 역할과 산업 재편 논의 2년 가까이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

  • HERI
  • 2021.10.13
  • 조회수 2247

우리는 지구를 되살리려 사업을 한다

<2021 아시아미래포럼> 특별강연: 빈센트 스탠리 파타고니아 철학담당 유기농 목화 사용·‘지구세’ 기부 등 이윤 추구보다 사회적 가치 중점 관행 탈피 행보에 고객 충성도 상승 빈센트 스탠리. 파타고니아 제공 미국 아웃도어 ...

  • HERI
  • 2021.10.13
  • 조회수 1553

ESG경영의 진화 ‘사람 중심 ESG’를 소개합니다

<2021 아시아미래포럼> 세션4: 사람 중심 ESG, HESG는 가능한가 투자자들의 기업평가 지표에서 ‘사회책임경영’ 기업가치로 발전 한겨레·시민사회 함께 연구해 온 ‘HESG’ 새로운 개념 소개하고 주주 중심 자본주의에서 이해관...

  • HERI
  • 2021.10.13
  • 조회수 1810

탈탄소로의 전환, 같이 가야 할 ‘일자리의 전환’

2021 아시아미래포럼 세션5: 탈산소시대와 노동 탄소감축 더 늦출 수 없지만 탄소집약 산업 타격 불가피 노동·환경 제로섬게임 아닌 서로 ‘윈윈’할 새 정책구도 점검 인천평화복지연대가 전환사회시민행동,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

  • HERI
  • 2021.10.13
  • 조회수 1564

시민·정책이 함께 쌓아올린 사회적 경제 ‘10년 공든탑’

<2021 아시아미래포럼> 세션1: ‘시민과 함께하는 사회적 경제’ 공공·민간 협력 거버넌스가 사회적 경제 생태계 동력으로 캐나다 퀘벡주 사례부터 서울 마을공동체 사업까지 다양한 정책 경험 공유하고 앞으로 10년 성장방안 모색...

  • HERI
  • 2021.10.13
  • 조회수 1464

기후위기 시대, 자연의 눈으로 복지를 재설계하라

<2021 아시아미래포럼> 세션2: 왜 녹색복지국가인가 기후변화로 경제 발목잡히고 생태 파괴와 전염병 위기 도래 경제성장→분배→복지 지속 못해 인간·자연 공존하는 방향 찾아야 코로나 팬데믹은 세계 곳곳에서 일상화되고 있는 폭...

  • HERI
  • 2021.10.13
  • 조회수 1611

화력발전 멈추는 날 노동자들은?…‘정의로운 녹색전환’ 모색

2021 아시아미래포럼 특별세션: 소외·차별 없는 대전환을 위하여 노동·환경에 통합적 접근 나서고 약자 낙오 없는 새 전환모델만이 불평등·기후위기 동시해결 가능 ‘모두를 위한 전환’ 보편화시켜야 중국 안후이성 하이난에 있는...

  • HERI
  • 2021.10.13
  • 조회수 1641

주류 권력 중심의 ‘청년담론’ 그 바깥의 생생한 목소리들

<2021 아시아미래포럼> 청년포럼/ 청년들이 만드는 균열, 연결, 그리고 상상력 기성세대의 담론에 균열 내며 플랫폼 독립·소수자 문제 등 열정과 문제의식으로 삶 개척 남성·대학생·수도권만이 아닌 각양각색 ‘청년들’ 담아낼 예정...

  • HERI
  • 2021.10.13
  • 조회수 1529

인간의 선함 믿는다면, 코로나는 혁명적 전환점 될 것

<2021 아시아미래포럼> 인류에 내재된 ‘협력의 스위치’를 켜라 특별강연: 뤼트허르 브레흐만 홉스의 성악설, 인류 역사와 달라 대부분이 자발적 공존·공감 택해 ‘문명’ 이후 권력자·언론의 선전 탓 왜곡돼온 인간 본성 ‘분출’...

  • HERI
  • 2021.10.13
  • 조회수 1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