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칼럼


00501703_20181118.JPG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근년 한국 사회를 달군 가장 뜨거운 열쇳말 중 하나는 공정성이다. 정유라의 이대 부정입학에 대한 분노가 나비효과를 일으켜 문재인 정부 출범을 이끈 동력 중 하나가 되었다. 역설적이게도 공정성 실현의 기대를 받고 출범한 이 정부의 노력이 ‘불공정’하다는 비판을 받으며 주춤하고 있다.


12년 전 해고된 케이티엑스(KTX) 승무원들의 복직 기사에는 ‘떼를 쓰면 복직이 된다’는 불만이 폭주한다. 기간제 교사, 공공부문 비정규직 등의 정규직화 추진에 대해서도 정규직은 물론 청년들까지 ‘역차별’이라며 거세게 반발한다. 정규직이 되려는 자, 시험을 거치라는 반발이다. 현대 한국 사회에서 공정성 여부를 판가름하는 핵심 기제는 시험이다.

오해하지 말자. 한국인이 비정규직 차별을 정당화하고 있지는 않다. 한국리서치가 지난 3월 발표한 ‘한국 사회 공정성 인식 조사 보고서’를 보면 ‘정규직과 비정규직은 실력 차이 아니다’라는 문항에 62%가 공감했다. ‘부동산 가격 상승이 정당한 노력의 결과가 아니다’에 대한 공감 55%보다 높다. 즉 한국인 다수는 비정규직이 실력이 떨어진다고 보지는 않는다. 다만 실력은 시험에 의해 ‘검증’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얼마 전 한 방송에서 최후통첩 게임을 변형한 흥미로운 실험이 소개되었다. 먼저 시험을 치르게 하고 고득점자가 제안자가 되게 했다. 원래의 최후통첩 게임에서는 대부분 제안자와 응답자가 5 대 5로 돈을 나눠 갖는다. 제시액은 제안자 마음대로지만, 응답자가 제시액을 거절하면 둘 다 한 푼도 못 받기 때문이다. 통상 인간의 선택에서 자기 이익보다 공정성이 더 중요함을 보여주는 실험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시험이라는 새로운 규칙을 추가하자 제안자는 더 많은 액수를 가졌고 응답자도 순순히 따랐다. 시험 하나로 제안자와 응답자 모두 더 불평등한 상황을 받아들인 것이다.

<시험국민의 탄생>의 저자 이경숙은 시험이 능력주의 이데올로기와 결탁한 서열화 장치라고 말한다. “각고의 노력으로 시험의 난관을 돌파한 승자들은 어렵게 얻은 서열에 대해 강한 집착을 보이고, 시험은 능력주의에 따른 차별과 불평등을 당연한 것으로 만든다”는 것이다. 아니나 다를까, 앞의 한국리서치 보고서를 보면 ‘능력과 노력에 따른 보수의 차이는 클수록 좋다’는 문항에 무려 66%가 공감을 표했다.

요컨대 시험과 같이 객관적인 차별 규칙이 확보된다면 보상의 차별은 클수록 좋다는 것이 지금 한국인 다수의 생각이라고 할 수 있다. 숙명여고 쌍둥이 답안지 유출 사건에 대한 분노도, “학종 폐지, 수능 100%”, “로스쿨 폐지, 사법시험 부활”을 외치는 목소리도 같은 맥락이다. ‘서연고서성한’ 등 대학 이름 앞 글자를 따서 서열을 만들고, 그 순서를 두고 싸운 지가 오래다. 서열화된 대학 시스템 자체의 불공정성을 따지는 목소리는 묻혀가고 있다.

서열을 짓고 차별하는 건 인간의 본능이라는 주장도 있다. 본능인 이상 받아들이고 공정한 차별 규칙을 정하자는 말인 듯하다. 시험 말고 더 공정한 대안이 있느냐는 힐난도 있다. 불신으로 가득 찬 한국 사회에서 현실적인 지적이다. 그래도 대안을 찾으려는 노력까지 부정해서는 안 된다. 사실 대중이 분노하는 세습받은 재벌 자식, 음서를 이용하는 자들은 이 능력 검증의 거센 요구에서 별 타격을 받지 않는다. 이런 요구가 거세질수록 힘든 쪽은 비빌 언덕 없는 을들이다. 공정성이 논란이 되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공정성 자체에 대한 논란이 필요하다.



한겨레에서 보기: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한귀영의 프레임 속으로] 촛불을 들지 못한 20대들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소위 ‘조국 사태’ 이후 20대 청년세대의 박탈감과 분노가 우리 사회의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일부 명문대생들은 공정과 정의를 내세우며 촛불을 들었다. 보수언론은 기다렸다는 듯이...

  • HERI
  • 2019.09.27
  • 조회수 4355

[유레카] ‘조국 논란’의 종착점 / 이창곤

‘조국 논란’의 끝은 어디인가? 언론 보도는 연일 차고 넘친다. 하지만 공론(公論)은 없다. 검찰 수사는 마침내 ‘자택 압수수색’으로 이어졌다. 그런데도 장관과 직접 연계된 객관적 실체는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지지와 ...

  • HERI
  • 2019.09.25
  • 조회수 4327

[유레카] 절실한 정책결정의 ‘관제탑’/ 이창곤

대부분의 공항에는 컨트롤타워, 즉 관제탑이 있다. 관제탑의 허가 없이는 어떤 비행기도 뜨고 내릴 수가 없다. 관제탑은 항공기의 위치와 고도를 확인해 필요사항을 지시한다. 비행 전에는 조종사가 제출한 비행계획을 점검하고 ...

  • HERI
  • 2019.09.03
  • 조회수 4423

[한귀영의 프레임 속으로] ‘조국 정국’ 독해법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조국 정국’이 심상치 않다.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의혹이 태풍으로 번지는 양상이다. 촛불혁명과 문재인 정부 출범 과정에서 조 후보자가 지니는 상징성이 큰 탓에 핵심...

  • HERI
  • 2019.08.23
  • 조회수 4186

[유레카] 유라시아 ‘철의 실크로드’ 시대/이창곤

실크로드, 즉 비단길은 독일의 한 지리학자가 고대 중국과 그리스·로마 문화권 사이의 교역이 주로 비단을 통해 이뤄졌다는 데 착안해 명명했다. 김호동 서울대 교수(동양사)는 이 용어는 ‘비단길들’로 복수형으로 써야 더 역...

  • HERI
  • 2019.08.19
  • 조회수 3783

[한귀영의 프레임 속으로] 노회찬 없는 진보정치의 미래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2004년 4월15일은 한국 진보정치사에서, 아니 한국 정치사에서 역사적인 날이다. 이날 한 시대가 가고 한 시대가 시작됐다. 민주노동당이 총선에서 지역구 2석, 비례대표 8석을 얻어 ...

  • HERI
  • 2019.07.26
  • 조회수 3506

[유레카] ‘시민연대’로 새 한-일 관계 물꼬를/ 이창곤

일본의 경제보복은 지금 우리 사회의 모든 이슈를 빨아들이는 블랙홀이다. 언론엔 연일 분석과 논평이 쏟아지지만 여전히 의문투성이다. 아베 신조 총리의 진짜 속내는 무엇이며, 그는 어디까지 밀어붙이려 하는가? 정부는 왜 ...

  • HERI
  • 2019.07.18
  • 조회수 3593

[한귀영의 프레임 속으로] 다시 '문재인의 시간'이 올까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지난 6개월은 ‘황교안의 시간’이었다. 2017년 탄핵사태 이후 줄곧 10%대에 묶여 있던 자유한국당 지지도가 1월 20%대로 급등한 데에는 황 대표의 역할이 컸다. 그가 등장하자 문재...

  • HERI
  • 2019.06.28
  • 조회수 3460

[유레카] 한국 ‘사회복지 역사’ 소고 / 이창곤

“정신이 없는 역사는 정신이 없는 민족을 낳을 것이며, 정신이 없는 나라를 만들 것이니 어찌 두렵지 않겠는가?”, “써놓고 나면 찢어버리고 싶어 못 견디는 이 역사 … 이것이 나라냐? 그렇다. 네 나라며, 네 역사며 내...

  • HERI
  • 2019.06.26
  • 조회수 8139

[유레카] ‘소리 없는 아우성’ / 이창곤

사회관계에서 어떤 문제에 부닥치면 사람들이 대응하는 방식은? 또는 어떤 조직이나 회사가 내리막길로 추락할 때 조직원들의 선택은? <떠날 것인가, 남을 것인가>의 저자인 앨버트 허시먼의 개념을 원용하면 셋으로 나눌 수 있...

  • HERI
  • 2019.06.04
  • 조회수 4250

[한귀영의 프레임 속으로] 청년을 퇴사로 밀어내는 사회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청년 퇴사는 시대적 변화를 드러내는 사회 현상이다. 무엇보다 청년층의 첫 직장 평균 근속기간이 1년 5.9개월에 불과하고, 대졸 신입사원의 1년 내 퇴사율도 27.7%에 이른다는 수치...

  • HERI
  • 2019.05.31
  • 조회수 4349

[유레카] 위기의 ‘사회적 대화’ 살리기

대통령 직속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를 두고 말들이 많다. “입법보조기구냐” 또는 “고충처리기구 아니냐”는 비아냥은 차라리 충고에 가깝다. 사회적 대화 위기론을 넘어 무용론까지 등장하는 마당이다. 민주노총의 불참에 ...

  • HERI
  • 2019.05.13
  • 조회수 4238

[한귀영의 프레임 속으로] 길 잃은 문재인 정부, 내년 총선은 어디로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여기 두개의 지표가 있다. 83%에서 44%, 12%에서 24%. 앞의 것은 1년 사이에 반토막 난 문재인 대통령 지지율이고, 뒤의 것은 같은 기간 곱절로 뛴 자유한국당 지지율이다. 갤럽의...

  • admin
  • 2019.05.03
  • 조회수 4006

[유레카] ‘부양의무제’ 폐지의 가치론 / 이창곤

1537년 로마 교황 바오로 3세는 한 칙령을 내린다. “인도인이나 흑인, 아메리카 대륙의 토착민들도 인간이다.” 이 칙령이 시사하는 바는 당시까지, 아니 그 이후에도 한동안 유럽인들에게 ‘그들’은 인간이 아니었다는 뜻이다...

  • admin
  • 2019.04.18
  • 조회수 4066

[한귀영의 프레임 속으로] 보궐선거에서 표출된 엄중한 민심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4·3 국회의원 보궐선거가 범여권과 자유한국당의 무승부로 끝났다. 민주당은 2017년 대선 이후의 압도적 우위 체제가 끝났고, 자유한국당은 쇄신 없는 반사이익만으로는 지지층 확장에 ...

  • HERI
  • 2019.04.05
  • 조회수 3816

[유레카] ‘가짜 보수’의 몽니/ 이창곤

시사평론가 김용민은 한때 한국의 보수를 네가지로 유형화했다. 모태보수, 기회주의 보수, 무지몽매 보수 그리고 자본가 보수다. 모태 보수는 “돈과 기득권을 갖춘 집안에서 자라온 사람들”이고, 기회주의 보수는 “어떤 계기에...

  • HERI
  • 2019.03.28
  • 조회수 4310

[유레카] 금강산관광, 새 북-미 대화의 ‘킹핀’ / 이창곤

 금강산은 우리에게 이제 선녀와 나무꾼의 전설이 깃들어 있는 기암괴석의 천하명승만을 뜻하지 않는다. 금강산은 남북관계에서 “민족 화해, 협력의 체험장”이었다. 남북의 노동자, 농민, 청년학생, 여성 등 각계각층이 이곳에서...

  • HERI
  • 2019.03.12
  • 조회수 3888

[한겨레 프리즘] 청년 이슈에 대한 태도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20대 남성의 보수화’를 둘러싼 논란이 갈수록 뜨겁다. 이 현상의 핵심에 20대 남성의 ‘역차별 인식’이 있다. 최근 20~30대 청년 1000명을 대상으로 한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

  • HERI
  • 2019.02.25
  • 조회수 4369

[유레카] 핀란드 ‘기본소득 실험’ 반응 톺아보기

지난 주말 기본소득이 반짝 회자되었다. 핀란드가 이태 동안 벌인 기본소득 실험의 ‘예비결과’(1차 결과)를 발표했기 때문이다. 압축하면 이렇다. “기본소득은 2017년 자료만 볼 때 수령자들의 고용을 불러일으키는 데는 의미있...

  • HERI
  • 2019.02.13
  • 조회수 4614

[한겨레 프리즘] 핵심 지지층이 떠나고 있다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손혜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목포 원도심 차명 투기 의혹, 같은 당 서영교 의원의 재판청탁 의혹을 놓고 논란이 뜨겁다. 두 사안이 다르고, 손 의원의 경우는 논쟁적 요소가 꽤 있...

  • HERI
  • 2019.01.23
  • 조회수 4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