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칼럼

사회투자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역할

HERI 2021. 12. 02
조회수 1672
사회적 금융 원금 회수 원칙으로
사회가치 창출이라는 기금 취지 훼손

손실 문제 해결은 정책의 영역
사회혁신 조직에 돈이 흐르도록
정부는 사회투자 촉매자 역할해야

언스플래쉬
언스플래쉬

“ 빌려준 돈은 반드시 회수해야 한다. ”

대금업자 사무실에 걸려있을 법한 이 표어는 정부의 각종 기금에도 적용된다 . 정책금융기관과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사회투자 성격의 지원기금도 예외가 아니다 . 정부의 사회적 금융 활성화 방안 (2018 년 ) 에 힘입어 많은 정책금융기관과 여러 지자체에서 사회적 경제를 지원하기 위한 기금을 운용하고 있다 .

그리고 이 기금들 대부분이 ‘ 융자성 기금 ’ 이다 . 무이자나 낮은 금리로 사회적 경제 기업들에 돈을 빌려준다 . 지원하는 대상에 따라 보조금이나 투자 등을 섞어 맞춤형으로 설계하는 방식은 쓰지 않는다 . 따라서 이 기금에는 필요한 곳에 빌려주되 원금은 반드시 돌려받아야 한다는 꼬리표가 붙어 있다 . 원금을 회수하지 못하면 누군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뜻이다 .

이 업무를 맡은 공무원은 기금 정책이나 관련 규정에 손실을 어떻게 처리한다는 근거가 없으면 단돈 1 원이라도 손해가 나지 않도록 행동할 것이다 . 다른 여지가 없다 . 결과적으로 기금 운용은 화석처럼 딱딱하게 굳어지게 된다 . 이는 기금 운용과 관리를 민간에 위탁해도 마찬가지다 . 위탁한 기관에 손실 책임을 묻는 방식으로 위험이 이전될 뿐이다 .

기금도 시민의 세금으로 조성된 것이므로 기금 운용을 허투루 해서는 안 된다는 건 당연하다 . 문제는 사회투자 성격의 지원기금이 다른 기금들과 다르게 손실 발생 위험을 태생적으로 안고 있다는 점이다 . 따라서 이 기금을 융자 목적으로 사용코자 한다면 손실 문제를 해결할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 . 그렇지 않으면 기금을 만든 취지와 목적이 훼손될 것이기 때문이다 .

하지만 손실 문제에 대한 대책을 수립한 곳은 보이지 않는다 . 빌려준 돈은 모두 ‘ 차입 ’ 이기 때문에 반드시 갚아야 하고 , 그렇지 못하면 변상 책임을 지라는 으름장만 놓고 있다 . 이런 방식으로는 사회변화를 촉진할 수 있는 모험 투자는 꿈꿀 수 없다 . 결국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잠재력을 지닌 기업과 조직 상당수는 배제될 것이 자명하다 .

기금은 조성 목적에 따라 운용하는 방식이 다르고 또 달라야 한다 . 돈을 갚을 수 있다고 판단되는 기업 , 수익 창출 가능성이 큰 사업에만 돈을 빌려주는 건 은행이 하는 일이지 사회변화를 촉진하기 위해 만든 기금의 역할이 아니다 . 금전적인 잣대만 가지고 기금을 운용해선 안 된다 . 기금이 창출하는 사회적 가치를 해석할 수 있는 눈이 필요하다 .

이 대목에서 풀어야 할 숙제 두 개가 생긴다 . 하나는 ‘ 왜 이 기금만 손실을 인정해야 하는가 ?’ 이고 , 다른 하나는 ‘ 어떻게 손실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 ?’ 이다 . 전자는 정책의 영역이다 . 시장도 정부도 풀지 못하는 사회문제를 사회적 경제와 사회혁신을 통해 해결하는 과업에 의미를 부여하고 시민적 공감대를 끌어내야 한다 . 법률과 조례 제정이 필요하다 . 후자는 다양한 접근법이 있다 . 정부와 지자체에 손실기금을 만들어도 되고 , 공적 보증제도를 활용해도 된다 . 핵심은 손실 위험을 이전 하는 것이다 . ‘ 손실 측정을 어떻게 할 것인가 ?’ 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 모든 손실을 다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가치를 창출한 부분에 대해서만 손실을 인정해 상계 ( 相計 ) 하는 방식을 적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

사회투자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역할 개요도
사회투자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역할 개요도

정부의 역할은 사회투자의 촉매자 가 되는 것이다 . 시장금융이 받으려 하지 않는 위험을 인수 또는 이전함으로써 이 영역에 돈이 흐를 수 있도록 촉진 하는 기능을 담당해야 한다 . 단언컨대 지금의 운영방식으로는 사회투자 영역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지 못할 것이다 . 붕어빵의 틀이 바뀌지 않으면 붕어빵의 모양은 언제나 같을 수밖에 없다 .

현실의 금융 시스템은 비가 오면 우산을 빼앗고 비가 그치면 우산을 주는 방식으로 움직인다 . 신용점수가 낮은 사람에게는 인색하고 신용점수가 높은 사람에게는 너그럽 다 . 자본주의 시장에서 금융 공백 은 피할 수 없는 현상이다 . 하지만 이 공백이 방치되면 사람들이 위험에 처하고 , 사회를 바꾸려는 시도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 공백을 메우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다.

문진수 사회적금융연구원장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유레카] 인터넷 익스플로러와 한국 웹환경 / 구본권

웹브라우저의 대명사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출시 27년 만에 사라졌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예고해온 대로 지난 15일 익스플로러에 대한 지원을 공식 종료했다. 이날 이후 익스플로러를 실행하면 엠에스의 새 브라우저인 ‘에지...

  • HERI
  • 2022.06.20
  • 조회수 1580

[아침햇발] ‘신기업가정신’ 선언이 쇼가 아니라면 / 곽정수

곽정수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선임기자 “주주에 대한 봉사와 이윤 극대화라는 가치를 넘어 종업원과 고객, 납품업체 등 모든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사회적 책무를 강화하겠다.” 2019년 8월19일 미국 200대 대기업 협의체인 비즈니...

  • HERI
  • 2022.05.31
  • 조회수 1652

[아침햇발] ‘한국이 말한다’를 시작할 때

2017년부터 해마다 열리는 ‘독일이 말한다’에서 생각이 크게 다른 두 사람이 짝을 이뤄 대화를 하고 있다. <디 차이트> 온라인 이봉현 | 경제사회연구원장 겸 논설위원 소셜미디어를 넘겨보다 몇번 불편하면 ‘친구 끊기’를 ...

  • HERI
  • 2022.05.20
  • 조회수 1712

[유레카] ‘반지성주의’와 ‘투명성’ / 구본권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0일 취임사에서 ‘반지성주의’를 화두로 밝혔다. 윤 대통령은 “각자가 보고 듣고 싶은 사실만을 선택하거나 다수의 힘으로 상대의 의견을 억압하는 반지성주의”를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가장 큰 원인으로...

  • HERI
  • 2022.05.16
  • 조회수 1929

[유레카] ‘고발당한’ 노사협의회 / 곽정수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지난 3일 윤석열 정부의 110대 국정과제를 발표했다. 노동의 가치가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겠다면서 51번째 과제로 노사협력을 제시했다. 또 이를 위해 노사협의회 근로자위원의 대표성·독립성 강화를 통해 참...

  • HERI
  • 2022.05.08
  • 조회수 1974

[유레카] 넷플릭스 신화의 추락과 뉴노멀 / 구본권

코로나19로 인한 일부 현상은 팬데믹이 지나가도 일상으로 자리잡을 ‘새로운 표준’(뉴노멀)이 될 것이라고 예측됐다. 비대면 회의와 배달 문화, 영화관 대신 온라인 동영상 감상 등이 대표적 사례인데 팬데믹 탈출 시기에 검증...

  • HERI
  • 2022.04.26
  • 조회수 1732

[유레카] 박용만, 윤석열과 정치 /곽정수

박용만 전 대한상의 회장이 최근 윤석열 정부의 첫 총리 후보설 , 민주당의 서울시장 후보설에 대해 “정치할 생각이 없다”며 확실히 선을 그었다. 1년 전 박 전 회장이 상의 회장을 그만두기 직전에 인터뷰한 적이 있다. ...

  • HERI
  • 2022.04.25
  • 조회수 1734

[아침햇발] 로비스트가 총리·장관 하면 안된다 / 이봉현

새 정부 초대 총리 후보로 지명된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3일 서울 통의동 인수위 기자회견장에서 발언을 하기 위해 마스크를 벗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이봉현 | 경제사회연구원장 겸 논설위원 흔하게 보지만 계속 없는 척하기...

  • HERI
  • 2022.04.15
  • 조회수 1524

[유레카] 삼성 수사와 윤석열의 ‘친기업’ / 곽정수

검찰이 최근 삼성전자와 웰스토리를 압수수색했다. 공정위가 지난해 6월 삼성전자 등이 웰스토리에 사내 급식 물량 몰아주기를 했다면서 2349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고, 고발한 지 9개월 만이다. 그동안 뒷짐 지고 있던 검찰이 ...

  • HERI
  • 2022.04.11
  • 조회수 2141

[유레카] 아마존 노조와 빅테크 힘의 균형 / 구본권

지난 1일 세계 최대 온라인상거래 업체 아마존에서 노조 설립안이 통과했다. 미국 뉴욕의 스태튼아일랜드 아마존물류센터 직원들의 투표 결과, 55%가 찬성했다. 1994년 온라인 서점으로 출발해 디지털 삶을 혁신시켜온 아마존닷컴...

  • HERI
  • 2022.04.05
  • 조회수 1349

[유레카] 러시아를 꿇린 31살 우크라 장관의 사이버 전투/ 구본권

땅, 바다, 하늘에 이어 사이버 공간을 제4의 영토로 선언하고 사이버군대를 창설한 국가가 여럿이다. 미국은 2009년, 한국은 2010년 사이버사령부를 창설해 정보전쟁을 대비하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정보전이 또하나...

  • HERI
  • 2022.03.16
  • 조회수 2006

[아침햇발] 플랫폼, 규제와 진흥의 줄타기 / 이봉현

지난해 11월 마포구 용강동에서 한 배달노동자가 배달음식을 오토바이 상자에 담고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이봉현 경제사회연구원장·논설위원 아파트 정문이 내려다보이는 집에 살다 보니 저녁의 한적함을 잊은 지...

  • HERI
  • 2022.03.15
  • 조회수 2088

[유레카] 정부 정책 뒤집기 ‘올인’ Y(윤석열)노믹스가 놓친 것들

대통령 이름에 이코노믹스(경제학)의 뒷부분을 붙인 합성어는 특정 정부의 차별화된 경제정책을 함축하는 용어다. 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의 ‘레이거노믹스’가 대표적이다. 감세, 정부지출 축소, 규제 완화 등 공급 중시 ...

  • HERI
  • 2022.03.15
  • 조회수 1630

D-데이 훤히 내다보고, 틱톡으로 여론 모으고…초연결시대의 전쟁

“틱톡은 전쟁위해 설계된 도구” 짧은 동영상 순식간 세계 전파 우크라이나 지지 여론 확산 기여 콘텐츠 승리로 현실 해결 못해 2011년 ‘아랍의 봄’ 무위로 끝나 빅테크 기업 ‘이미지 쇄신’ 기회 중립 위치·책임 회피 어...

  • HERI
  • 2022.03.07
  • 조회수 1432

대선 주자도 모르는 부동산 문제 해결법

[문진수의 사회적 금융 이야기 20] 공공 지원으로 시세보다 저렴한 사회주택 입주민엔 좋지만, 주택 공급자는 무관심 사회주택 사업자에 인내 자본 공급해 양질의 사회주택 많이 보급하게끔 해야 정부의 적극적 금융 지원이 필...

  • HERI
  • 2022.02.28
  • 조회수 1752

[유레카] ‘15초 영상’ 인기가 알려주는 미래 / 구본권

틱톡은 세대 차가 유난히 큰 모바일 플랫폼이다. 중국 바이트댄스가 서비스하는 15초 동영상 기반의 소셜미디어인 틱톡은 10대 사이에선 선풍적 인기지만 기성세대는 존재조차 모르는 이가 많다. 2020년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안...

  • HERI
  • 2022.02.24
  • 조회수 2082

[유레카] 이재용의 ‘노사화합’ 약속은? / 곽정수

지난해 8월 삼성전자와 노조가 창사 52년 만에 처음으로 단체협약을 체결했다. 이재용 부회장이 2020년 5월 대국민 사과에서 “더는 무노조경영이라는 말이 나오지 않도록 하겠다”며 삼성 역사 81년 만에 ‘무노조경영’을 포기...

  • HERI
  • 2022.02.22
  • 조회수 1420

사회적 금융이란 무엇인가?

[문진수의 사회적 금융 이야기 19] 사회적 금융은 시장금융 공백 채우는 활동 금융 취약계층과 낙후 지역 발전 돕고 사회혁신기업 지원과 구성원 삶의 질 높이는 사람과 사회 중심의 따뜻한 금융 언스플래쉬 사회적 금융은 시...

  • HERI
  • 2022.02.11
  • 조회수 1709

[아침햇발] “이건 당신이 대통령이야” 하면 다 되나 / 이봉현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지난해 12월26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상식 회복 공약-성장과 복지의 선순환’ 관련 기자회견을 하기 전 마스크를 벗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경제사회연구원장· 논설위원 지난주 열린 첫 대선 후...

  • HERI
  • 2022.02.10
  • 조회수 1763

‘보행중 시청’ ‘1.5배속 재생’ 유튜브 시청 ‘짜내기’ 신공

삼성전자가 최근 전 직원을 대상으로 ‘5대 안전규정’ 준수를 의무화했다. 5가지 규정은 주요 사업장에서 보행 중 휴대전화 사용 금지, 무단횡단 금지,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 금지, 운전 중 과속 금지·사내 제한속도 준수,...

  • HERI
  • 2022.02.07
  • 조회수 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