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칼럼
20211124501799.jpg

대선 출마를 선언한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가 최근 우리나라가 ‘청년층의 무덤’으로 전락했는데 여야 대선 후보들은 나랏빚으로 환심을 사겠다는 무책임한 대책만 내놓는다고 맹비난했다. 그러면서 올해 상반기 청년층(15~29살)의 ‘비자발적 단시간 근로자’ 등을 포함한 ‘체감 실업률’이 25.4%에 달한다고 강조했다. 청년의 ‘체감 경제고통 지수’(체감 실업률+물가 상승률 합계)는 27.2로 2015년 이후 최고치다.

이런 극심한 청년 취업난을 고려할 때 재벌가 아들딸들이 총수와 특수관계라는 이유만으로 본인 능력과 상관 없이 ‘취업 지옥’을 면제받는 것은 큰 특혜라고 봐야 할 것이다. 입사한 뒤에도 일반 직원들은 상상하기 힘든 좋은 자리와 기회를 부여받고, ‘30대 임원’과 ‘40대 시이오(CEO)’라는 특혜까지 누리니 ‘아빠 찬스’의 위력은 참으로 대단하다.


재벌의 아빠찬스 실상과 규모는 정확히 드러난 적이 없다. 간접 통계를 통해 추정할 뿐이다. 공정거래법 상 총수의 친인척 범위는 혈족 6촌, 인척 4촌 이내이다. 기업분석연구소인 리더스인덱스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자산 규모 5조원 이상인 62개 재벌의 등기임원 1만690명 중에서 총수의 친인척은 531명(5%)이다. 일반 임직원 신분인 총수의 친인척은 이보다 훨씬 많을 것이다. 최소 수천명은 되지 않을까? 이 중에는 자기 실력으로 입사한 사람도 분명 있을 것이다. 하지만 상당수는 아빠찬스의 수혜자라고 해도 크게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지난 10일 박용만 전 상의 회장이 39년간 몸담았던 두산을 떠났다. 외환위기 때 사실상 부도 상태에 빠진 두산을 본사까지 매각하는 환골탈태식 구조조정으로 살려낸 주역이라는 점에서 큰 관심을 모았다. 형들인 박용성 고문과 박용현 연강재단 이사장이 회장을 그만둔 뒤에도 계속 그룹에 몸담고 있는 것과도 비교된다.


박용만 회장의 두 아들인 박서원(42) 오리콤 부사장과 박재원(36) 두산중공업 상무도 동반퇴진했다. 두 형제가 아빠찬스라는 말을 듣기 싫다며 자기 일을 하겠다고 했고 박 회장도 흔쾌히 동의했다고 한다. 박 부사장은 크리에이티브 콘텐츠 분야 전문가로 광고업계 인플루언서다. 박 상무는 두산의 실리콘밸리 투자에서 좋은 성과를 보였다고 한다. 이들이 아빠찬스의 수혜자인지는 별론으로 치더라도, 재벌의 관행을 고려할 때 신선한 충격이 아닐 수 없다. 두산만해도 박정원 그룹 회장 외에 회사 월급을 받는 4세들은 박지원 부회장(박용곤 명예회장 아들), 박진원 부회장(박용성 고문 아들), 박태원 부회장(박용현 이사장 아들) 등 7명에 달한다.


형제의 결단에는 박용만 회장의 영향도 작용한 것 같다. 박 회장은 평소 “회사에서 제대로 일은 안 하면서 (총수 일가라는 이유만으로) 아빠찬스를 이용해 거액의 보수를 받는 것은 사실상 범죄행위”라고 말해왔다. 이에 대해 “내 회사에, 내 자식 일하게 하는 게 뭐가 문제냐”며 박 회장을 비난하는 간 큰 재벌 총수는 없으리라.


그동안 여러 기업에서 채용 비리 사건이 터져 관련자들이 형사처벌을 받았다. 하지만 재벌의 아빠찬스 관행은 치외법권 지대였다. 일부 대기업 노조의 노조원 자녀 채용 우대 요청이 “고용 세습”이라고 공격받은 것과도 대비된다.


여야 대선 후보들이 엠제트(MZ)세대로 대표되는 청년들의 마음을 잡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청년들은 시대적 화두인 공정과 관련해 ‘기회 균등’을 중요시한다. ‘금수저’를 물고 태어났다는 이유만으로 일반인은 꿈도 꿀 수 없는 특혜를 누리는 재벌의 아빠찬스와는 정면으로 배치된다. 이재명, 윤석열 후보는 어떤 해법을 내놓을 수 있을까?


곽정수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선임기자 jskwak@hani.co.kr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유레카] ‘15초 영상’ 인기가 알려주는 미래 / 구본권

틱톡은 세대 차가 유난히 큰 모바일 플랫폼이다. 중국 바이트댄스가 서비스하는 15초 동영상 기반의 소셜미디어인 틱톡은 10대 사이에선 선풍적 인기지만 기성세대는 존재조차 모르는 이가 많다. 2020년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안...

  • HERI
  • 2022.02.24
  • 조회수 1578

[유레카] 이재용의 ‘노사화합’ 약속은? / 곽정수

지난해 8월 삼성전자와 노조가 창사 52년 만에 처음으로 단체협약을 체결했다. 이재용 부회장이 2020년 5월 대국민 사과에서 “더는 무노조경영이라는 말이 나오지 않도록 하겠다”며 삼성 역사 81년 만에 ‘무노조경영’을 포기...

  • HERI
  • 2022.02.22
  • 조회수 1034

사회적 금융이란 무엇인가?

[문진수의 사회적 금융 이야기 19] 사회적 금융은 시장금융 공백 채우는 활동 금융 취약계층과 낙후 지역 발전 돕고 사회혁신기업 지원과 구성원 삶의 질 높이는 사람과 사회 중심의 따뜻한 금융 언스플래쉬 사회적 금융은 시...

  • HERI
  • 2022.02.11
  • 조회수 1176

[아침햇발] “이건 당신이 대통령이야” 하면 다 되나 / 이봉현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지난해 12월26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상식 회복 공약-성장과 복지의 선순환’ 관련 기자회견을 하기 전 마스크를 벗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경제사회연구원장· 논설위원 지난주 열린 첫 대선 후...

  • HERI
  • 2022.02.10
  • 조회수 1189

‘보행중 시청’ ‘1.5배속 재생’ 유튜브 시청 ‘짜내기’ 신공

삼성전자가 최근 전 직원을 대상으로 ‘5대 안전규정’ 준수를 의무화했다. 5가지 규정은 주요 사업장에서 보행 중 휴대전화 사용 금지, 무단횡단 금지,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 금지, 운전 중 과속 금지·사내 제한속도 준수,...

  • HERI
  • 2022.02.07
  • 조회수 1354

신협, 사회적 경제 지원해야

[문진수의 사회적 금융 이야기] 자조와 협력으로 전후 어려움 극복한 신협 세계 4위 협동조합 금융기관으로 성장했지만 민간 금융사 운영 방식 따르며 정체성 잃어 사회적 경제 특화 금융 체계 만들어 정부 정책자금에 의존 ...

  • HERI
  • 2022.02.03
  • 조회수 1140

[유레카] 인간만이 지닌 능력 / 구본권

1492년 아메리카 대륙의 존재를 유럽에 알린 콜럼버스는 이후 10여년간 4차례 항로를 변경해가며 신대륙 탐험을 이어갔다. 콜럼버스의 배는 1503년 6월 마지막 항해 때 자메이카 해안에 좌초해 원주민들의 도움을 받았는데, 체류...

  • HERI
  • 2022.01.26
  • 조회수 1313

[유레카] ‘갑질 기업’의 전략적 봉쇄소송 / 곽정수

미국의 사회학자 카난과 법학자 프리그는 기업·정부·공직자 등이 공적 관심사나 쟁점에 대해 자신에게 반대하거나 불리한 주장을 하는 것을 위축시킬 목적으로 제기하는 소송을 ‘전략적 봉쇄소송’이라고 정의했다. 전략적 봉쇄소...

  • HERI
  • 2022.01.25
  • 조회수 1240

‘사회성과연계채권’을 활용하자

[문진수의 사회적 금융 이야기] 언스플래쉬 ‘사회성과연계채권’(social impact bond, SIB)이란 비용이 많이 들고 다루기 힘든 사회문제를 정부, 민간기업, 비영리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협력해 해결하는 성과 기반 보상 ...

  • HERI
  • 2022.01.17
  • 조회수 1363

[아침햇발] 8년 숙원 사회적 경제 기본법, 이번엔 마침표 찍자

‘사회적 경제 기본법’ 제정이 차일피일 미뤄지자 이 법 제정을 열망하는 사회적 경제 단체와 사회적 경제인들이 ‘시민행동’을 결성하는 등 수년간 입법 청원 활동을 벌였다. 사진은 ‘시민행동’에 참여한 사회적 경제인들이...

  • HERI
  • 2022.01.07
  • 조회수 1189

기업의 ‘임팩트 워싱’ 우려된다고? ‘임팩트’ 평가기준부터!

[문진수의 사회적 금융 이야기] 산출·성과보다 목표 실현하는 ‘임팩트’ 중요 임팩트 측정 어떻게 할 것인가는 향후 과제 국내·외 사회적 가치, ESG 측정법 많지만 ‘임팩트 워싱’ 현상 일어나지 않으려면 정부가 올바른 방...

  • HERI
  • 2022.01.03
  • 조회수 1796

[유레카] ‘거수기 이사회’ 종언 판결 / 곽정수

법률전문매체인 <법률신문>이 선정한 ‘2021년 주요 판결’ 중에서 기업 담합행위에 대해 이사의 책임을 잇달아 인정한 대법원과 고등법원의 판결이 당당히(?) 1위에 올랐다. 대법원은 지난해 11월 유니온스틸(현 동국제강)의 소액주...

  • HERI
  • 2022.01.03
  • 조회수 1758

[유레카] 현실이 된 5년 전 ‘미래 예측’ / 구본권

“2022년이 되면 선진국 대부분의 시민들은 진짜 정보보다 거짓 정보를 더 많이 이용하게 될 것이다.” 미국의 컨설팅업체 가트너가 2017년 10월 발표한 ‘미래 전망 보고서’의 한 대목이다. 미래 예측은 해당 시점에서 대부분...

  • HERI
  • 2022.01.03
  • 조회수 1179

자치의 힘을 믿는 후보에게 표를 던지자

[문진수의 사회적 금융 이야기] 지방자치 의제는 중앙 집권식 공약이 아닌 지역 스스로 일어설 수 있는 정책 설계 필요 언스플래쉬 선거철이다. 후보들이 전국을 돌아다니며 표를 달라고 호소한다. 정책들이 쏟아진다. 하지만 ...

  • HERI
  • 2021.12.17
  • 조회수 1269

[유레카] 재벌의 ‘윤석열 공포증’ / 곽정수

요즘 기업인을 만나면 대선 후보에 대한 재계 시각을 물어본다. “그냥 납작 엎드려 있다”는 의례적 답변이 많다. 구설에 휘말리지 않으려는 ‘보신성’ 대응이라고 이해한다. 하지만 친분이 있는 기업인들은 조심스레 “윤석열...

  • HERI
  • 2021.12.13
  • 조회수 1626

“실명만” “복수계정 추천” 페북·인스타 ‘따로 또 같이’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은 최근 페이스북에서 이름을 바꾼 ‘메타플랫폼’ 소속의 사회관계망 서비스다. 두 서비스는 계정을 서로 연동할 수 있는 한울타리 안의 소셜미디어로, 메타플랫폼의 최고경영자 마크 저커버그가 지휘한다는 ...

  • HERI
  • 2021.12.13
  • 조회수 1431

[유레카] 메타버스 환경과 ‘인공지능 정치인’ / 구본권

정치에 대한 불만과 불신으로 인해 정치인은 인공지능(AI)으로 가장 대체하고 싶은 직업군으로 꼽힌다. 하지만 정치인은 인공지능 시대에 사라지지 않을 최후의 직업일 것이라는 우스개가 있다. 국회에서 절대로 자신들의 직업을...

  • HERI
  • 2021.12.13
  • 조회수 1208

[아침햇발] 대통령 혼자 유능할 수 없다 / 이봉현

문재인 정부는 30여 차례의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으나 집값을 잡지 못했고, 이는 민주당을 지지했던 많은 국민이 등을 돌리는 이유가 됐다. 사진은 2018년 9월13일 당시 김동연 경제부총리(가운데)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왼...

  • HERI
  • 2021.12.08
  • 조회수 1126

사회투자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역할

사회적 금융 원금 회수 원칙으로 사회가치 창출이라는 기금 취지 훼손 손실 문제 해결은 정책의 영역 사회혁신 조직에 돈이 흐르도록 정부는 사회투자 촉매자 역할해야 언스플래쉬 “ 빌려준 돈은 반드시 회수해야 한다. ” 대...

  • HERI
  • 2021.12.02
  • 조회수 1144

[유레카] 재벌의 ‘아빠 찬스’ / 곽정수

대선 출마를 선언한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가 최근 우리나라가 ‘청년층의 무덤’으로 전락했는데 여야 대선 후보들은 나랏빚으로 환심을 사겠다는 무책임한 대책만 내놓는다고 맹비난했다. 그러면서 올해 상반기 청년층(15~29살)의 ...

  • HERI
  • 2021.11.25
  • 조회수 1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