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칼럼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용골자리 성운. 지구에서 7600광년 떨어진 이 성운은 태양보다 몇배 더 큰 무거운 별들의 고향으로, 우리은하에서 가장 크고 밝은 성운 가운데 하나다. 미 항공우주국 제공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용골자리 성운. 지구에서 7600광년 떨어진 이 성운은 태양보다 몇배 더 큰 무거운 별들의 고향으로, 우리은하에서 가장 크고 밝은 성운 가운데 하나다. 미 항공우주국 제공

20220908502602.jpg

이봉현 | 경제사회연구원장 겸 논설위원


모처럼 거리두기 없는 추석. 온 가족이 둘러앉은 밥상머리 말길에 검찰 소환장을 받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밀어 넣을지, 논문 표절과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의 김건희 여사를 올릴지를 두고 여야는 탁자 밑에서 다리 차기를 했다. 욕하면서도 외면하지 못하는 게 정치라지만 모진 태풍이 헤집고 간 자리에서 맞는 고물가 추석, 감흥 없는 정치 얘기를 길게 하고픈 사람이 얼마나 될까. 자칫하면 거실 분위기만 싸해진다.


이럴 땐 밖으로 나와 하늘을 올려다보자. 한층 높아진 창공에 어둠이 내리면 아파트 동들 사이로, 고향 앞산의 엷은 구름 위로 보름달이 얼굴을 내밀리라. 중년의 애창곡 ‘제주도 푸른 밤’ 가사처럼, 우리는 부쩍 얇아진 느낌의 월급봉투에, 문 딱 닫고 들어가는 아파트 생활에, 중독처럼 몰입하는 스마트폰 화면에 붙들려 머리 위에 달과 별이 있는 걸 잊고 살지 않는가.

달은 약 45억년 전에 화성 크기의 천체가 지구에 부딪혔을 때 깨져 나간 파편이 뭉쳐 만들어졌다. 돌과 먼지가 지금 보는 공 모양의 덩어리가 되는 데 채 1년이 걸리지 않았다 한다. 달에 무언가 살고 있으리란 꿈은 사라졌지만, 기후위기와 자원 고갈로 망가져가는 지구의 구원자로 새롭게 조명된다. 1972년 아폴로 17호 이후 50년 만에 인간을 달에 보내고, 상주 기지까지 만들려는 미국의 ‘아르테미스’(달의 여신) 계획은 그 첫 로켓 발사가 지난달에 이어 이달 3일(현지시각)에도 기술적 문제로 연기됐다. 유인 달 탐사를 다시 추진하는 것은 남극에 얼음 형태로 물이 있는 게 확인된데다, 달에서 뭔가를 가져올 수 있을 만큼 기술적 가성비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달에는 1g으로 석탄 40톤의 에너지를 내는 핵융합 발전의 원료 ‘헬륨-3’가 100만톤 이상 있고, 전기차나 스마트폰 등을 만드는 데 필수 재료인 희토류도 존재한다고 한다. 이러다 보니 한국도 합류한 미국 중심의 프로젝트 외에 중국과 러시아가 손잡고 달 기지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먼저 깃발 꽂는 나라가 임자가 될 가능성이 커 달 자원을 두고 무한경쟁이 벌어질 분위기인데, 지구 위의 패권 다툼이 우주 공간에 투영된 양상이다.

1990년 2월14일 보이저 1호가 60억㎞ 거리에서 촬영한 ‘창백한 푸른 점’ 지구를 미 항공우주국이 30년 만인 2020년에 좀 더 선명하게 보정해서 공개한 사진. 미 항공우주국 제공
1990년 2월14일 보이저 1호가 60억㎞ 거리에서 촬영한 ‘창백한 푸른 점’ 지구를 미 항공우주국이 30년 만인 2020년에 좀 더 선명하게 보정해서 공개한 사진. 미 항공우주국 제공

달 너머로는 별이 촘촘하다. 우리은하에는 태양 같은 항성과 지구 같은 행성이 최대 4천억개 있는데, 이런 은하가 우주에는 1400억개가 있을 거라 한다. 최근 발사한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은 지구에서 385광년 거리에 있는 거대 가스 행성을 촬영해서 전송했다. 하지만 광활한 우주에 대해 우리가 아는 것은 그야말로 티끌이다. 인간이 만든 물체 중 가장 먼 거리를 여행 중인 보이저 1·2호는 1977년 발사 후 45년간을 쉼 없이 날아가 태양계를 벗어났고, 지금도 시속 5만5천㎞로 어둠 속으로 멀어져간다. 그런데도 지금까지 1광년은커녕, 빛의 속도로 하루 못 미치는 거리를 간 것이다.

태양계 외행성 탐사 임무를 마친 보이저 1호의 카메라 장치를 끄기 직전, 미국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항공우주국(나사)에 카메라 방향을 돌려 지구를 찍어보자고 제안한다. 예정에 없던 이 아이디어로 약 60억㎞ 거리에서 좁쌀만 한 빛으로 흔들리는 1990년의 지구가 찍혔다. 세이건은 이를 ‘창백한 푸른 점’이라 이르며 이렇게 썼다. “모든 영웅과 겁쟁이가, 모든 문명의 창시자와 파괴자가… 사랑에 빠진 모든 젊은 연인들이… 저기, 태양의 빛 속에 부유하는 먼지 티끌 위에 살았던 것입니다. … 우리의 작은 세계를 멀리서 포착한 이 사진만큼 자만의 어리석음을 보여주는 건 없을 것입니다. 내게는 이 사진이 우리가 서로 친절하게 대하고, 유일한 보금자리인 창백한 푸른 점을 소중히 지켜가라고 역설하는 것 같습니다.” 그의 책 <코스모스>에는 누군가 우리를 들어 우주 공간으로 던지면 행성 근처에 떨어질 확률이 1을 1조×1조×10억으로 나눈 값보다 작다고 씌어 있다. 이럴진대, 푸른 별 지구라는 한층 희박한 가능성을 잡은 한명, 한명은 얼마나 귀한가.

여기까지 생각이 흘렀다면 이제 땅으로 내려오자. 그렇게 귀하게 태어난 존재 중 일부는 차례상을 차리고 손님 뒤치다꺼리하느라 ‘명절 증후군’을 토로한다. 관습에 얽매여 누군가는 참고 견디고, 누군가는 즐기는 명절은 진작 손봐야 했다. 늦게나마 유교의 본산 성균관에서도 전 부치고 음식 많이 차리는 게 원래의 예는 아니라고 밝혔다. 다시 거실로 돌아와서는 “내년부터는 명절 차례상을 간소하게 차리자”는 말을 꺼내보면 어떨까?


bhlee@hani.co.kr


한겨레에서 보기 : 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1058102.html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금융 대통령’ 이복현 [아침햇발]

윤석열 대통령(왼쪽)과 이복현 금감원장. 연합뉴스 곽정수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선임기자 이원조 전 국회의원은 5·6공 시대 ‘금융계 황제’로 군림한, 관치금융의 상징이었다. 친구인 전두환·노태우 두 대통령을 등에 업고 국가...

  • HERI
  • 2023.02.17
  • 조회수 786

챗지피티는 누구나 쓸 수 있는 ‘거짓말 제조기’? [유레카]

챗지피티. 김재욱 화백 챗지피티(ChatGPT)가 두달여 만에 월 사용자 1억명에 도달해 가장 빠르게 보급된 기술로 불리며 국내에서도 월 20달러 유료 서비스가 시작됐다. 챗지피티는 거대 언어모델 인공지능으로, 인류가 쌓은 지식...

  • HERI
  • 2023.02.17
  • 조회수 1016

정치 바람 안 타는 에너지요금 결정기구 필요하다 [아침햇발]

전기·가스요금도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처럼 독립적, 전문적인 기구에서 결정하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은 금통위에서 통화정책방향을 결정하는 회의를 하고 있다. 한은 제공 이봉현 | 경제사회연구원장 겸 논설위원 최근...

  • HERI
  • 2023.02.13
  • 조회수 705

챗지피티 시대엔 ‘헛소리 탐지능력’이 필수 [유레카]

‘글쓰는 인공지능’ 챗지피티 시대의 필수능력. 김재욱 화백 2016년 3월 이세돌-알파고 대국이 예고편이라면, 지난해 11월30일 공개된 오픈 에이아이(Open AI)의 ‘챗지피티’(ChatGPT)는 인공지능 시대의 본격 개막 신호다. 거...

  • HERI
  • 2023.01.26
  • 조회수 1002

윤석열표 에너지 정책, ‘세마리 토끼’ 다 놓친다 [아침햇발]

게티스이미지뱅크 이봉현 ㅣ경제사회연구원장 겸 논설위원 윤석열 정부가 재생에너지 발전 목표를 낮춘 것은 세계적 추세와 정확히 반대로 가는 것이자 한국 경제의 미래를 갉아먹는 일이다. 국제사회에 약속한 탄소 중립 목표를...

  • HERI
  • 2023.01.13
  • 조회수 981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새해 계획’ [유레카]

시간 절약 기술과 ‘타임 푸어’. 김재욱 화백 새해를 맞아 다짐하는 계획 중에는 알찬 시간 사용법이 빠지지 않는다. 1000년 전 송나라 주희는 “늙기는 쉬워도 배움을 이루기는 어려우니, 한순간도 가벼이 보내지 말라”고 ...

  • HERI
  • 2023.01.03
  • 조회수 755

황당한 ‘통계조작’ 거짓말…진짜 사기단은 국힘과 보수언론

[아침햇발] 국민의힘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이 2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문재인 전 대통령을 향해 통계조작 의혹에 대해 국민에 사과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왼쪽부터 주호영 원내대표, 정 비대위원장, 성일...

  • HERI
  • 2022.12.26
  • 조회수 919

[아침햇발] 은행알을 삶아 농약을 만들었다 / 이봉현

땅은 훌륭한 탄소저장고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초지 1㎡당 연간 최대 40g의 탄소를 흡수할 수 있다. 특히 콩을 재배하는 초지는 탄소흡수량이 39% 증가한다.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으면 농지의 탄소 흡수 기능은 ...

  • HERI
  • 2022.12.19
  • 조회수 1040

윤 대통령의 ‘가짜뉴스’ 장사 [유레카]

윤석열 대통령과 가짜뉴스. 김재욱 화백 윤석열 대통령이 ‘가짜뉴스’를 직접 입에 올리는 일이 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18일 출근길 회견에서 “엠비시(MBC)에 대한 전용기 탑승 배제는 우리 국가 안보의 핵심 축인 ...

  • HERI
  • 2022.12.13
  • 조회수 842

[아침햇발] 이재용 회장의 ‘약속’이 진심이라면 / 곽정수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지난 10월28일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삼성전자 협력회사 디케이를 방문해 생산라인을 돌아보고 있다. 회장 승진 이후 첫 방문지로 협력업체를 선택한 것은 상생경영 의지를 보여주기 위한 포석으로 보인다...

  • HERI
  • 2022.11.30
  • 조회수 850

윤 대통령은 존슨이 선물한 ‘처칠 팩터’ 내팽개쳤나 [아침햇발]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가 지난 5월9일 서울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집무실에서 어맨다 밀링 영국 국무장관으로부터 보리스 존슨 당시 영국 총리가 직접 쓴 책 <처칠 팩터>를 전달받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이봉현 ㅣ 경제사회...

  • HERI
  • 2022.11.25
  • 조회수 960

[유레카] ‘머스크의 트위터’ 성패보다 중요한 것 / 구본권

머스크의 트위터. 김재욱 화백 2006년 7월 등장한 트위터는 스마트폰 시대와 맞물려 인류의 정보 이용 방식을 바꾼 소셜미디어다. 휴대전화 문자의 글자수 한도처럼 140자까지만 글을 쓸 수 있는 단문메시지 공유서비스로 출발했...

  • HERI
  • 2022.11.21
  • 조회수 903

[아침햇발] 윤석열의 ‘무능 리스크’ / 곽정수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31일 오전 서울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분향소를 방문, 조문을 위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곽정수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선임기자 이태원에서 안타까운 참사가 일어난 지 나흘...

  • HERI
  • 2022.11.02
  • 조회수 1059

[유레카] 차별마저 학습한 챗봇, ‘이루다’가 돌아왔다 / 구본권

챗봇 이루다. 김재욱 화백 국내 인공지능 기업 스캐터랩이 개발한 채팅로봇(챗봇) ‘이루다’가 지난 27일 서비스를 재개했다. ‘스무살 여대생’ 챗봇이 이용자들의 왜곡된 성관념, 혐오 발언을 학습하고 개인정보 유출 문제를 ...

  • HERI
  • 2022.11.01
  • 조회수 800

지도에도 없는 길 들어섰는데, 뒤만 보는 운전자 [아침햇발]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오전 국회 본회의장에서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대한 시정연설을 마친 뒤 텅 빈 야당 의원석을 지나 퇴장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이봉현 ㅣ 경제사회연구원장 겸 논설위원 강원도 태백에는 ‘삼수령’이라...

  • HERI
  • 2022.10.28
  • 조회수 854

추경호 부총리, 무지한 건가 뻔뻔한 건가? [아침햇발]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7월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1차 비상경제민생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왼쪽은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대통령실사진기자단 곽정수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선임기자 “한국은 영국...

  • HERI
  • 2022.10.12
  • 조회수 987

착하지도 나쁘지도 않은 ‘봇’

[유레카] 테슬라 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가 인수하기로 한 트위터와 봇 테슬라의 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가 지난 4월 440억달러(약 62조원)에 소셜미디어 플랫폼인 트위터를 인수하겠다고 발표했다가 뒤집었다. 머스크는 7월 트위터...

  • HERI
  • 2022.10.11
  • 조회수 819

택시가 잡히지 않는 밤에 타다를 ‘복기’하며 / 이봉현

[아침햇발] 코로나 팬데믹 이후 택시기사가 배달 등으로 대거 이직해 수도권에서 밤 시간 택시 잡기가 매우 힘들어졌다. 지난 4월 서울 강남역 인근에서 자정이 넘은 시간에 시민들이 택시를 잡기 위해 길거리에 서 있다. 연...

  • HERI
  • 2022.10.05
  • 조회수 988

[유레카] 등반가 쉬나드가 연 ‘자본주의의 새 길’ / 구본권

파타고니아 창립자 이본 쉬나드. 김재욱 화백 한동안 극점과 8000m대 봉우리는 숱한 생명을 삼킨 모험과 과시적 국가주의의 대상이었다. 1964년 중국 시샤팡마(8027m)를 끝으로 8000m 14좌 모두에 사람 발길이 닿고, 1986년 라인홀...

  • HERI
  • 2022.09.26
  • 조회수 1144

[아침햇발] 전현희 위원장에 박수를 보내는 이유 / 곽정수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이 지난 8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감사원의 감사 재연장에 대한 입장을 발표하면서 눈물을 닦고 있다. 연합뉴스 곽정수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선임기자 “감사원은 직무상 대통령으로부터도 독립된 위...

  • HERI
  • 2022.09.16
  • 조회수 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