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어느 겨울날 서울 종로5가에 위치한 광장시장. 한겨레 자료사진 |
[유레카]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을 3만807달러로 추정했다. 세계 24위다. 지난해엔 2만8738달러(25위)였다. 현대경제연구원도 비슷한 전망을 내놨다.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전년(2만6205달러)보다 7%가량 증가한 2만8000달러 안팎인데, 해마다 1800~2000달러 증가해온 추세로 보면 올해는 3만달러를 넘어설 것이란 분석이다. 1인당 국내총생산과 국민총소득은 산출 방법이 다소 다르지만 수치상 별 차이는 없다.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을 원화로 계산하면 3000만원, 4인 가구라면 1억2000만원에 이른다. 절대금액도 증가율도 체감도와는 큰 차이가 난다. 가장 큰 이유는 환율 효과다. 1인당 국민총소득은 한 해 동안 가계와 기업, 정부가 벌어들인 돈을 다 합쳐 인구수로 나눈 것이다. 달러 기준이어서 원화 가치가 오르면 그만큼 국민총소득도 상승한다. 지난해 적용한 평균 원-달러 환율은 1052원으로 전년(1095원)보다 43원이 낮다. 가만히 앉아서 4% 상승 효과를 본 셈이다.가계보다는 기업 비중이 커지는 것도 주된 이유다. 한국은행 통계(2013년 기준)를 보면, 국민총소득에서 가계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61.2%다. 미국은 74%, 영국 69%, 일본은 64%가량이다. 나머지는 기업과 정부로 흘러들어간 돈이다. 국민총소득 대비 가계소득 비중은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75년(79.2%) 이후 줄곧 하락했다.김회승 한겨레경제연구소 연구위원 |
김회승 한겨레경제연구소 연구위원 honesty@hani.co.kr
[김회승연구위원의 '유레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