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칼럼



138414679068_20131111.jpg
이현숙 한겨레경제연구소장

가을은 결혼의 계절이다. 어김없이 날아드는 청첩장이지만, 인생의 새 출발을 기약하는 낯익은 얼굴들을 보면 괜스레 설렘과 기대, 희망 같은 것이 시나브로 피어난다. 그런데 결혼식장에 가보면 결혼식 문화는 20여년 전과 달라진 게 거의 없다. 축의금을 낸 하객들은 신랑신부에게 눈도장을 찍는다. 주례사, 축가, 기념촬영 뒤 서둘러 식사를 하고 다음 결혼식을 위해 종종걸음을 치며 예식장을 빠져나온다. 세상은 참 많이 변했는데 우리의 결혼식 문화는 여전하게 신기할 정도다.

2년 전부터 한 언론사가 ‘작은 결혼식’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그간의 보여주기식 겉치레 예식으로 모두가 힘들기에 거품을 걷어내고 조촐한 결혼식 문화로 바꾸자는 것이다. 처음 반응은 매우 뜨거웠다. 여성가족부와 시민단체들도 결혼식 문화 바꾸기에 나섰다. 여성부, 생활개혁실천협의회는 ‘1000명의 작은 결혼식 릴레이 약속’을 추진했다.

캠페인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캠페인의 반향은 오래가지 않았다. 그런 캠페인이 있느냐는 듯이 대형 결혼컨설팅업체가 중심이 된 턴키방식(결혼식에 필요한 스튜디오, 드레스, 메이크업을 한꺼번에 맡는 방식)이 결혼시장에서 여전히 작동하고 있다. 실제 요즘 결혼식 비용은 20~30대 젊은이가 도저히 감당하기 힘든 액수다. 턴키방식의 비용은 평균 200만원대이고, 일반 호텔에서 하객 300명의 식사를 겸한 결혼식 비용은 2000만원 이상이다. 여기에 꽃장식, 술과 음료 비용이 추가로 든다.

최근 <월스트리트 저널>은 결혼식과 결혼비용에 대한 의미 있는 기사를 실었다. 경제학자인 휴고 미알론과 앤드루 프랜시스 미국 에머리대 교수가 ‘결혼비용과 결혼지속 기간 사이의 상관관계’를 연구했다. 이들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결혼식 비용이 적게 든 결혼일수록 이혼 가능성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교수는 마치 결혼비용을 많이 들일수록 상대를 더 사랑하는 것이거나 성공적인 결혼에 도움이 되는 것처럼 선전하는 광고가 이번 연구를 시작하게 된 계기였다고 한다. 고액을 지출하는 결혼이 긍정적인 결혼생활을 가져다준다는 웨딩업계의 말은 일리가 없다는 게 그들이 전하고 싶은 메시지다.

그렇다면 체면을 위해 빚을 내서라도 남들 하는 만큼의 결혼식을 치르는 ‘치킨게임’은 어떻게 멈출 수 있을까? 얼마 전 다녀온 후배의 결혼식에서 작은 희망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었다. 서울시청 소담홀에서 열린 결혼식은 신랑신부가 부모 도움 없이 자신들이 모은 돈으로 직접 준비해 열었다. 협동조합 팟캐스트를 함께 진행하면서 결혼까지 하게 된 이들은 인생 동반자로서 자신들이 주인인 결혼식을 하고 싶었다. 주례도 축가도 없이 신랑신부가 직접 토크쇼처럼 편안하고 소박하게 진행했다. 신부는 화려한 웨딩드레스 대신 평소에도 입을 수 있는 하얀 원피스를 입었고, 결혼식장은 일회용 꽃 대신 화분으로 꾸며졌다. 이 화분들은 식이 끝난 뒤 하객들에게 나눠주었다. 그리고 사회적 기업이 하는 유기농 뷔페가 하객들을 위한 식단으로 차려졌다. 신랑신부의 꼼꼼한 배려가 따뜻함으로 다가왔다.

“아이들이 처음 결혼식 계획을 얘기했을 때 정말 당황스러웠어요. 빚 안 내고 자기들 형편에 맞춰 하겠다는 생각은 기특했죠. 하지만 사돈이나 주위 사람들 눈치가 보여 많이 망설였어요. 이해해 주고 애들 뜻 받아준 사돈께 감사해요.” 태어나 처음 마이크를 잡았다는 신부 어머니의 인사말이다. 결혼시장의 치킨게임은 신랑신부, 양가 부모가 함께 변해야 멈출 수 있다.

이현숙 한겨레경제연구소장 hslee@hani.co.kr



등록 : 2014.11.16 18:37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싱크탱크 시각] 첫발 뗀 사회주택, 반갑다!

이현숙 한겨레경제연구소장 3년 전 사회적경제 연수단과 함께 캐나다 밴쿠버에 있는 비영리 임대협동조합주택을 찾았다. 번화한 도심 바로 뒤편에 102가구가 사는 ‘로어 크릴’ 협동조합주택은 2002년 공공, 비영리, 민간 영역...

  • admin
  • 2015.05.04
  • 조회수 6302

[싱크탱크 시각] 사회적경제법, 마지막 오르막길

1년 전 이맘때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를 만났다. 사회적경제언론인포럼이라는 공부모임에서였다. 매달 한 번씩 초대손님을 모셔 사회적 경제 분야 이야기를 듣고 토론하는 자리다. 그달 초대손님으로 참석한 유 대표는 사회적경...

  • admin
  • 2015.04.13
  • 조회수 5784

[유레카] 선분배 정책

총선을 2개월 앞둔 영국 노동당의 핵심 전략은 ‘선분배 정책’(Pre-distribution)이다. 이미 발생한 불평등을 조세와 복지 정책으로 사후에 보완하는 정책(2차 분배)이 아니라, 소득 분배가 이뤄지는 단계에서 불평등을 완화하...

  • admin
  • 2015.03.26
  • 조회수 6088

[싱크탱크 시각] ‘힘내라’ 대학생협

협동조합이 봄기운처럼 퍼지고 있다. 2012년 12월부터 협동조합기본법이 시행된 지 2년 만에 6000여개의 협동조합이 만들어졌다. 기본법 시행 이전 ‘소비자생활협동조합법’에 따라 활동하고 있는 소비자생활협동조합(생협)도 성장...

  • admin
  • 2015.03.23
  • 조회수 6259

[유레카] 불황과 불륜

불경기엔 이혼이 증가한다. 통계청의 연간 이혼 건수를 보면, 1990년대 이후 전년 대비 증가폭이 가장 컸던 때는 외환위기가 닥친 1998년(28.0%)이다. 다음으로 높았던 게 카드대란을 겪은 2003년(15.0%)이다. 이후 줄곧 감소하던...

  • admin
  • 2015.03.04
  • 조회수 7012

[싱크탱크 시각] 최저임금 후진국 언제까지?

사람은 왜 일을 하는가? 가장 공통된 이유는 ‘인간답게 먹고살기 위해서’일 것이다. 그런데 아무리 일을 해도 생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노동자들이 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정의를 기준으로, 한국의 저임금 노동...

  • admin
  • 2015.03.02
  • 조회수 6720

[싱크탱크 시각] ‘부자들의 나라’ 필리핀, 남 얘기 아니다

이현숙 한겨레경제연구소장 ‘20대들아, 대한민국의 미래는 필리핀이다.’ 5년 전 서울대생이 교내 커뮤니티 게시판에 올린 글이 최근 온라인에서 화제가 됐다. 제목에서 엿볼 수 있듯이 심각한 양극화가 가져올 암울한 미래 예...

  • admin
  • 2015.02.09
  • 조회수 8692

[유레카] 증세 없는 복지

조지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은 ‘오너십 사회’(ownership society)를 국정 목표로 내걸었다. 개인이 스스로 부를 늘리기 좋은 사회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당연히 의료와 교육 등 공적 영역은 급격히 축소됐다. ‘부자 국민’...

  • admin
  • 2015.02.04
  • 조회수 5853

[유레카]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내가 체감 못하는 이유는

2010년 어느 겨울날 서울 종로5가에 위치한 광장시장. 한겨레 자료사진 [유레카]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을 3만807달러로 추정했다. 세계 24위다. 지난해엔 2만8738달러(25위)였다. 현대경제연구원도 비...

  • admin
  • 2015.01.28
  • 조회수 5587

[싱크탱크 시각] 지역일꾼들은 왜 불안한가

이현숙 한겨레경제연구소장 얼마 전 경남 통영에 잠시 들렀다. 오랜만에 다시 찾은 통영은 그야말로 상전벽해였다. 남망산에서 내려다본 통영 전경은 보석으로 수놓은 듯 경이로웠다. 바다가 쏙 들어와 있는 강구안을 따라 집과 ...

  • admin
  • 2015.01.19
  • 조회수 6147

[유레카] 국가 양육론

미국에서 결혼한 부부의 절반은 이혼하고, 새로 태어나는 아이의 40%는 미혼모 자녀다. 준 카본 미네소타대 교수는 “미국 사회에서 결혼은 ‘지킬 수 없는 의무’가 돼가고 있다”고 진단한다. 결혼이 자손을 낳고 교육하는 ...

  • admin
  • 2015.01.12
  • 조회수 6303

[유레카] 위험한 계급

1980년대 프랑스 사회학자들은 급증하는 임시노동자에 주목했다. 수많은 비정규직과 실업자, 이주노동자들이 전통적인 임노동 시장에서 이탈해 지속적으로 불안전 고용 상태에 머물렀기 때문이다. 학자들은 이들은 ‘프레카리아트’(p...

  • admin
  • 2015.01.12
  • 조회수 5657

[싱크탱크 시각] 장그래처럼 버텨라

대학 졸업 뒤 첫 직장에서 만난 20년 지기가 있다. 몇 년 전부터 진로교육에 관심을 갖고 자격증도 따며 대학원 공부도 했다. 올해 들어 관련 협회에서 만난 20여명과 사업자협동조합을 만들었다. 숫자에 밝고 발 빠른 친구...

  • admin
  • 2014.12.30
  • 조회수 5928

[싱크탱크 시각] 주거불안 이대로 방치할 건가

이현숙 한겨레경제연구소장 ‘미친 전셋값’ 소식에 불안했다. 내년 초 전세 만기라 걱정거리가 코앞으로 다가왔다. 불안은 현실이 됐다. 며칠 전 집주인에게 연락을 했더니 시세대로 전세금을 올려달라고 한다. 2년 전에 견줘 ...

  • admin
  • 2014.12.08
  • 조회수 6451

[싱크탱크 시각] 결혼식 ‘치킨게임’ 어떻게 멈출까?

이현숙 한겨레경제연구소장 가을은 결혼의 계절이다. 어김없이 날아드는 청첩장이지만, 인생의 새 출발을 기약하는 낯익은 얼굴들을 보면 괜스레 설렘과 기대, 희망 같은 것이 시나브로 피어난다. 그런데 결혼식장에 가보면 결혼식...

  • admin
  • 2014.11.17
  • 조회수 7915

[착한경제] 월가, 이제 샴페인을 딸 때

등록: 2013.06.04 수정: 2014.11.12 미국에서도 쿠데타 모의가 있었다면 잘 믿기지 않을 것이다. 1930년대 기업인들이 주도한 이 쿠데타는 대통령의 개혁을 저지하고 독일, 이탈리아와 같은 파시즘 체제를 만들려 했다. 이 음모가...

  • HERI
  • 2014.11.12
  • 조회수 7161

[착한경제] 사회적 경제의 오래된 가치

등록: 2013.05.21 수정: 2014.11.1299%의 경제아하! 협동조합언젠가부터, 경제는 이윤 동기로만 작동한다는 고정관념이 세상을 지배하고 있다. 승자독식은 시장을 굴러가게 하는 불가피한 요소라는 믿음에서 우리의 의식은 자유롭지 ...

  • HERI
  • 2014.11.12
  • 조회수 5079

[착한경제] 사회의 귀환

등록: 2013.04.12 수정: 2014.11.1299%의 경제 HERI의 시선사람은 그가 한 말 때문에 기억에 오래 남기도 한다. 며칠 전 타계한 마거릿 대처 전 영국 총리도 오래 기억될 말을 남겼는데, 바로 “사회, 그런 것은 없습니다”...

  • HERI
  • 2014.11.12
  • 조회수 5236

[착한경제] 진정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

등록: 2013.02.01 수정: 2014.11.12 99%의 경제 HERI의 시선 올해 신년사에서 주요 대기업 총수들은 유독 ‘사회적 책임’을 강조했다.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저마다 사회적 책임 방안을 내놓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지난 연...

  • HERI
  • 2014.11.12
  • 조회수 5185

[착한경제] 누구도 비정규직을 도와주려 하지말라!

등록: 2012.11.07 수정: 2014.11.12 샘물은 위에서 살살 걷어서 먹어야 한다. 휘저어 놓으면 그나마 아무도 못먹는다. 무엇이든 어설프게 하면 하지 않는 것만 못하다. 정치권에서 앞다투어 약속하는 비정규직 보호 또는 철폐 약...

  • HERI
  • 2014.11.12
  • 조회수 56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