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칼럼

등록: 2012.09.11 수정: 2014.11.12


지속가능성을 위한 사회적기업의 혁신
사회적기업은 일반 기업이 경영 효율성을 이유로 외면하는 사회적 필요를 채워주거나 사회적 약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등 사회 문제를 해결하려는 대안적 사회 혁신 모델이다. 재원을 확보하고 재투자하는 경영활동의 '과정' 자체가 사회적 목적을 달성하는 일이다. 일반기업이 경영활동의 '결과'로서 취득한 수익을 사회공헌활동에 기부하는 것과는 차원이 다르다. 장애인을 고용한다거나 저렴한 비용으로 취약계층에게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는 사회적기업의 재무적 생산성은 일반기업에 비해 낮을 수밖에 없다. 긴 호흡의 투자와 지속적인 혁신 없이는 살아남기 힘든 것이 사회적기업이다. 따라서 사회적기업의 핵심아젠다는 지속가능성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기업의 혁신은 필연적이다. 
혁신은 조직 단위의 지식 창조를 주된 형태로 한다. 아쇼카 재단 빌 드레이튼(Bill Drayton) 대표는 사회적기업가는 생선을 주는 것은 물론이고 고기잡는 법을 가르쳐주는 데 만족하지 않고, 고기잡이 산업을 혁명적으로 바꿀 때까지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골치 아픈 사회적 문제에 대해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 사회적기업인 것이다. 때문에 끊임없이 학습하며 낯익은 문제에 참신한 해법으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자가발전적인 지식창조 메커니즘을 안착시키는 일은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한 혁신을 위한 전략적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지식창조 메커니즘의 전략활동, 사회적기업 경영공시
‘사회적기업 경영공시’가 추진되기 이전 SROI(사회적 투자수익율·Social Return on Investment)라는 지표를 활용하여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성과를 측정하고 공시하려는 학문적 · 실천적 활동이 전개됐다. 하지만, 사회적 가치라는 암묵지를 금전적 가치로 환산하는 과정에서 여러 부작용이 발생했다. 현실을 지나치게 단순화시키면서, 현실적으로 가시화될 수 있는 것에만 활동을 집중하게 된다는 우려를 낳기도 했다. 이를 보완하는 형태로 지난해부터 ‘사회적기업 경영공시’ 시범사업이 시행되고 있으며, 2012년 25개 사회적기업의 자발적인 참여로 본격적인 사회적기업 경영공시가 진행되고 있다. SROI와 사회적기업 경영공시의 차이점은 무조건적인 금전적 가치로의 환산을 합리적으로 절제하고, 금전적 가치나 수치로 환산하기 어려운 사회적 가치를 수학적 표현, 그래프, 그림, 진술, 스토리텔링 등의 다양한 질적 형태로 기술(description)하도록 하는 데 있다. 
언어는 세계를 왜소화시켜서 담는 그릇일수밖에 없다. 심지어 철학자 아도르노는 언어나 개념으로 세계를 인식하는 것을 폭력이라고 말한다. 때문에 우리는 대대로 언어나 개념으로 세계를 인식하는 문사철(文史哲)과 함께 시서화악(詩書畵樂)이라는 넓은 그릇으로 세계를 인식하는 공부를 해왔다. 보이지 않는 가치와 일정한 깨달음을 조직화하고 표현하는 힘을 기르는 것 자체가 조직의 학습역량을 강화하는 활동인 것이다. 사회적기업이 만들어내는 사회적가치에 좌표를 부여하고 형식지화하는 학습은 지식창조 메커니즘을 촉발시키는 주요한 기제로 작동할 것이다.

2008년 월스트리트저널이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비즈니스 구루 20명’으로 선정한 노나카 이쿠지로 교수는 ‘창조의 관점’에서 지식을 다룬다. 그는 지식이 암묵지(暗默知·tacit knowledge)와 형식지(形式知·explicit knowledge)라는 두 가지 지식형태의 끊임없는 복합상승작용을 통해 창출된다고 이야기한다. 언어나 기호로 표현될 수 있는 지식을 형식지라 하고, 언어나 기호로 표현하기 어렵고 주로 사람이나 조직 내부에 체화(體化)되어 있는 지식을 암묵지라고 한다. 사회적 가치를 함의하고 있는 사회적기업의 경영활동 성과가 객관적으로 지표화되기 어려운 이유는 사회적 가치가 암묵지의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회적기업 경영공시’는 사회적기업 스스로 경영상태와 사회적 목적 실현에 대한 정보를 수치와 문장 등의 언어로 명시화하여 다양한 주체들에게 자율적으로 공개하는 제도이다. 
노나카 이쿠지로 교수는 지식창조를 위해 암묵지와 형식지가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지식이 창조될 수 있는 다층적인 ‘장(場)’을 발전단계에 따라 마련해야 한다고 말한다. 암묵지가 암묵지로 변환되는 사회화(Socialization), 암묵지가 형식지로 변환되는 외재화(Externalization), 형식지가 형식지로 변환되는 조합화(Combination), 형식지가 암묵지로 변화되는 내재화(internalization)의 지식변환 활동이 연결되면서 나선형으로 확장되어가는 과정을 통해 지식이 창출된다. 이러한 과정을 SECI 프로세스라고 한다.


지식창조 메커니즘, 사회적기업 기본활동으로 내재화
사회적기업 경영공시는 지식변환 활동의 네 가지 모드 중 조합화와 외재화의 장을 촉발시키는 장치로 작동할 수 있다. 조합화의 장에서 조직 내부의 형식지들은 수집되고 종합되는 과정을 거쳐 좀 더 체계적인 또 다른 형식지로 거듭난다. 사회적기업 경영공시를 위해서는 조직 내외부의 정보를 수집하고 평가하고 조합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 과정에서 조합은 단순히 기존의 정보를 결합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사회적 가치라는 특정한 의미를 도출하기 위한 데이터 조합이며, 그 조합이 얼마나 짜임새 있느냐에 따라 결과의 타당성에 영향을 미친다. 사회적기업 내부에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는 활동은 이러한 지식 변환 방식에 박차를 가할 수 있다. 
특히 외재화는 암묵지를 개념적인 글이나 말, 그림 등을 통해 명시적으로 표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조직의 사회적 가치가 형식지로 표출되지 않으면 사회적기업에 진정한 가치를 부여하기 어렵다. 이쿠지로 노나카 교수는 이러한 의미에서 외재화가 4가지 지식변환과정 중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형태라고 하였다. 사회적기업 경영공시는 조직 내부의 암묵지를 형식지화하는 계기를 만들어내는 전략 활동이다. 이를 통해 사회적 가치라는 암묵지를 형식지로 유인해낼 수 있으며, 그것을 다시 구성원들과 공유하고 사회에 전파함으로써 다시 새로운 지식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 
사회적기업 경영공시를 통해 사회적기업의 경영활동과 경제적 · 사회적 · 환경적 성과를 가시화하여 정보를 공개하는 일은 이해관계자 뿐만 아니라 시민들도 사회적기업의 일과 성과를 공유해서 참여할 수 있는 지점을 만들어낼 수 있는 일이다. 사회적기업 경영공시가 지식변환의 상호작용을 역동적으로 만들어내는 기재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경영공시가 일부 담당자의 문서작업으로 머물러서는 곤란하다. 사회적기업경영공시를 지식창조메커니즘의 일부로 인식하고, 내외부의 소통과 사회적 가치를 새롭게 창출해내는 모티브로 삼아야 할 것이다.


한겨레경제연구소 조현경 수석연구원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싱크탱크 시각] 첫발 뗀 사회주택, 반갑다!

이현숙 한겨레경제연구소장 3년 전 사회적경제 연수단과 함께 캐나다 밴쿠버에 있는 비영리 임대협동조합주택을 찾았다. 번화한 도심 바로 뒤편에 102가구가 사는 ‘로어 크릴’ 협동조합주택은 2002년 공공, 비영리, 민간 영역...

  • admin
  • 2015.05.04
  • 조회수 6306

[싱크탱크 시각] 사회적경제법, 마지막 오르막길

1년 전 이맘때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를 만났다. 사회적경제언론인포럼이라는 공부모임에서였다. 매달 한 번씩 초대손님을 모셔 사회적 경제 분야 이야기를 듣고 토론하는 자리다. 그달 초대손님으로 참석한 유 대표는 사회적경...

  • admin
  • 2015.04.13
  • 조회수 5785

[유레카] 선분배 정책

총선을 2개월 앞둔 영국 노동당의 핵심 전략은 ‘선분배 정책’(Pre-distribution)이다. 이미 발생한 불평등을 조세와 복지 정책으로 사후에 보완하는 정책(2차 분배)이 아니라, 소득 분배가 이뤄지는 단계에서 불평등을 완화하...

  • admin
  • 2015.03.26
  • 조회수 6092

[싱크탱크 시각] ‘힘내라’ 대학생협

협동조합이 봄기운처럼 퍼지고 있다. 2012년 12월부터 협동조합기본법이 시행된 지 2년 만에 6000여개의 협동조합이 만들어졌다. 기본법 시행 이전 ‘소비자생활협동조합법’에 따라 활동하고 있는 소비자생활협동조합(생협)도 성장...

  • admin
  • 2015.03.23
  • 조회수 6263

[유레카] 불황과 불륜

불경기엔 이혼이 증가한다. 통계청의 연간 이혼 건수를 보면, 1990년대 이후 전년 대비 증가폭이 가장 컸던 때는 외환위기가 닥친 1998년(28.0%)이다. 다음으로 높았던 게 카드대란을 겪은 2003년(15.0%)이다. 이후 줄곧 감소하던...

  • admin
  • 2015.03.04
  • 조회수 7019

[싱크탱크 시각] 최저임금 후진국 언제까지?

사람은 왜 일을 하는가? 가장 공통된 이유는 ‘인간답게 먹고살기 위해서’일 것이다. 그런데 아무리 일을 해도 생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노동자들이 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정의를 기준으로, 한국의 저임금 노동...

  • admin
  • 2015.03.02
  • 조회수 6722

[싱크탱크 시각] ‘부자들의 나라’ 필리핀, 남 얘기 아니다

이현숙 한겨레경제연구소장 ‘20대들아, 대한민국의 미래는 필리핀이다.’ 5년 전 서울대생이 교내 커뮤니티 게시판에 올린 글이 최근 온라인에서 화제가 됐다. 제목에서 엿볼 수 있듯이 심각한 양극화가 가져올 암울한 미래 예...

  • admin
  • 2015.02.09
  • 조회수 8692

[유레카] 증세 없는 복지

조지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은 ‘오너십 사회’(ownership society)를 국정 목표로 내걸었다. 개인이 스스로 부를 늘리기 좋은 사회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당연히 의료와 교육 등 공적 영역은 급격히 축소됐다. ‘부자 국민’...

  • admin
  • 2015.02.04
  • 조회수 5855

[유레카]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내가 체감 못하는 이유는

2010년 어느 겨울날 서울 종로5가에 위치한 광장시장. 한겨레 자료사진 [유레카]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을 3만807달러로 추정했다. 세계 24위다. 지난해엔 2만8738달러(25위)였다. 현대경제연구원도 비...

  • admin
  • 2015.01.28
  • 조회수 5588

[싱크탱크 시각] 지역일꾼들은 왜 불안한가

이현숙 한겨레경제연구소장 얼마 전 경남 통영에 잠시 들렀다. 오랜만에 다시 찾은 통영은 그야말로 상전벽해였다. 남망산에서 내려다본 통영 전경은 보석으로 수놓은 듯 경이로웠다. 바다가 쏙 들어와 있는 강구안을 따라 집과 ...

  • admin
  • 2015.01.19
  • 조회수 6149

[유레카] 국가 양육론

미국에서 결혼한 부부의 절반은 이혼하고, 새로 태어나는 아이의 40%는 미혼모 자녀다. 준 카본 미네소타대 교수는 “미국 사회에서 결혼은 ‘지킬 수 없는 의무’가 돼가고 있다”고 진단한다. 결혼이 자손을 낳고 교육하는 ...

  • admin
  • 2015.01.12
  • 조회수 6303

[유레카] 위험한 계급

1980년대 프랑스 사회학자들은 급증하는 임시노동자에 주목했다. 수많은 비정규직과 실업자, 이주노동자들이 전통적인 임노동 시장에서 이탈해 지속적으로 불안전 고용 상태에 머물렀기 때문이다. 학자들은 이들은 ‘프레카리아트’(p...

  • admin
  • 2015.01.12
  • 조회수 5658

[싱크탱크 시각] 장그래처럼 버텨라

대학 졸업 뒤 첫 직장에서 만난 20년 지기가 있다. 몇 년 전부터 진로교육에 관심을 갖고 자격증도 따며 대학원 공부도 했다. 올해 들어 관련 협회에서 만난 20여명과 사업자협동조합을 만들었다. 숫자에 밝고 발 빠른 친구...

  • admin
  • 2014.12.30
  • 조회수 5931

[싱크탱크 시각] 주거불안 이대로 방치할 건가

이현숙 한겨레경제연구소장 ‘미친 전셋값’ 소식에 불안했다. 내년 초 전세 만기라 걱정거리가 코앞으로 다가왔다. 불안은 현실이 됐다. 며칠 전 집주인에게 연락을 했더니 시세대로 전세금을 올려달라고 한다. 2년 전에 견줘 ...

  • admin
  • 2014.12.08
  • 조회수 6455

[싱크탱크 시각] 결혼식 ‘치킨게임’ 어떻게 멈출까?

이현숙 한겨레경제연구소장 가을은 결혼의 계절이다. 어김없이 날아드는 청첩장이지만, 인생의 새 출발을 기약하는 낯익은 얼굴들을 보면 괜스레 설렘과 기대, 희망 같은 것이 시나브로 피어난다. 그런데 결혼식장에 가보면 결혼식...

  • admin
  • 2014.11.17
  • 조회수 7918

[착한경제] 월가, 이제 샴페인을 딸 때

등록: 2013.06.04 수정: 2014.11.12 미국에서도 쿠데타 모의가 있었다면 잘 믿기지 않을 것이다. 1930년대 기업인들이 주도한 이 쿠데타는 대통령의 개혁을 저지하고 독일, 이탈리아와 같은 파시즘 체제를 만들려 했다. 이 음모가...

  • HERI
  • 2014.11.12
  • 조회수 7165

[착한경제] 사회적 경제의 오래된 가치

등록: 2013.05.21 수정: 2014.11.1299%의 경제아하! 협동조합언젠가부터, 경제는 이윤 동기로만 작동한다는 고정관념이 세상을 지배하고 있다. 승자독식은 시장을 굴러가게 하는 불가피한 요소라는 믿음에서 우리의 의식은 자유롭지 ...

  • HERI
  • 2014.11.12
  • 조회수 5081

[착한경제] 사회의 귀환

등록: 2013.04.12 수정: 2014.11.1299%의 경제 HERI의 시선사람은 그가 한 말 때문에 기억에 오래 남기도 한다. 며칠 전 타계한 마거릿 대처 전 영국 총리도 오래 기억될 말을 남겼는데, 바로 “사회, 그런 것은 없습니다”...

  • HERI
  • 2014.11.12
  • 조회수 5237

[착한경제] 진정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

등록: 2013.02.01 수정: 2014.11.12 99%의 경제 HERI의 시선 올해 신년사에서 주요 대기업 총수들은 유독 ‘사회적 책임’을 강조했다.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저마다 사회적 책임 방안을 내놓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지난 연...

  • HERI
  • 2014.11.12
  • 조회수 5186

[착한경제] 누구도 비정규직을 도와주려 하지말라!

등록: 2012.11.07 수정: 2014.11.12 샘물은 위에서 살살 걷어서 먹어야 한다. 휘저어 놓으면 그나마 아무도 못먹는다. 무엇이든 어설프게 하면 하지 않는 것만 못하다. 정치권에서 앞다투어 약속하는 비정규직 보호 또는 철폐 약...

  • HERI
  • 2014.11.12
  • 조회수 56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