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칼럼
List of Articles

공유경제는 자본주의의 미래인가

이봉현의 책갈피 경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공유경제 아룬 순다라라잔 지음, 이은주 옮김/교보문고(2018) 출근길, 꽉 막힌 도로에 붙잡혀 있자면 “다들 왜 ‘나 홀로’ 차에 앉아 이 고생을 하나”하는 생각에 한숨이 나온다. ...

  • HERI
  • 2018.04.24
  • 조회수 7141

[한겨레 프리즘] 문 대통령 고공지지율 지속될까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문재인 정부 출범 1년이 다가온다. 전임 두 대통령도 정권 초기에 인사 난맥으로 지지율이 하락했다. 문재인 대통령도 인사문제로 몇차례 곤욕을 치렀지만, 지지율은 여전히 70%대로 ...

  • HERI
  • 2018.04.17
  • 조회수 5104

[유레카] ‘국격에 맞지 않는 사회지표’ / 이창곤

자료: 보건복지부 한 사회 시민의 삶의 질은 사회지표를 통해 가늠해볼 수 있다. 빈곤율, 자살률, 출산율 등 각종 사회지표는 시민이 얼마나 안전한 삶을 누리고 건강한 환경에 놓여 있는지를 보여준다. 최근 한 정부 자료를...

  • admin
  • 2018.04.13
  • 조회수 6388

[유레카] 복지체감도가 낮은 이유 / 이창곤

문재인 정부의 ‘범부처 사회서비스 발전방향’ 개요 자료: 보건복지부 대한민국은 경제만큼이나 복지도 압축성장했다. 기초생활보장제도, 건강보험과 국민연금 등 4대 사회보험에 이어 노인장기요양보험까지 두루 갖췄다. 제도적 틀...

  • HERI
  • 2018.03.14
  • 조회수 7237

[한겨레 프리즘] 20대에 대한 예의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달동네 꼭대기 집 꼭대기 층이었다. 우리집을 지나면 산이 시작됐다. 내 신혼도 거기서 시작됐다. 결혼 자금은 20대의 알바 저축이었다. 있는 집 자식이 아니라면 사정은 얼추 엇비슷...

  • HERI
  • 2018.03.13
  • 조회수 5625

덩케르크 뒤엔 옥쇄당한 병사 4천명이 있었다

미덕의 경영 노나카 이쿠지로 · 곤노 노보루 지음, 정선우 옮김/에버리치홀딩스(2009) 요즘 입소문이 난 영화 <다키스트 아워>를 봤다. 지난해 여름에 본 <덩케르크>의 무대를 해협 건너편으로 옮긴 듯, 제2차 세계대전 초기 영국...

  • admin
  • 2018.02.23
  • 조회수 6398

[유레카] 비전 ‘사회보장 2040’ / 이창곤

지난 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사회보장위원회 회의에서 보고된 비전 ‘사회보장 2040’ 구상 개념도. 자료: 사회보장위원회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윌리엄 베버리지는...

  • admin
  • 2018.02.20
  • 조회수 6867

[한겨레 프리즘] 20대의 잘못이 아니다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평창올림픽이 개막하고 메달 레이스가 시작되었다. 승자에게 박수를 보내지만, 패자에게 더 큰 감동을 느낄 때도 있다. 규칙에 승복하는 경쟁이 주는 감동 덕분일 것이다. 불공정으로 찌...

  • admin
  • 2018.02.12
  • 조회수 5769

협동조합은 협동조합 다워야 한다

Weconomy |이봉현의 책갈피경제 한국협동조합협의회 펴냄 (2017) 신협 등 대형 협동조합 선거마다 과열, 혼탁 협동조합 본래의 가치, 정체성, 원칙 되새겨야 지난 1월19일 오전 코트야드메리어트 서울 남대문에서 열린 전국사회연대...

  • admin
  • 2018.02.09
  • 조회수 6026

기업들은 지금 사회적 가치 ‘열공’ 중

Weconomy | 이봉현의 책갈피 경제 <빅프라핏>, 신현암·이방실 지음/흐름출판(2017) 네슬레의 농학자들이 커피 묘목을 살펴보고 있다. 네슬레의 농학자들은 다수확 묘목을 얻기 위해 연구개발을 하고, 여기서 얻은 기술을 다시 농민들...

  • admin
  • 2018.01.30
  • 조회수 5907

[유레카] 열병식, 평창 그리고 남북관계 / 이창곤

북한이 평창올림픽 개막식 하루 전날인 2월8일 건군절 열병식을 치르겠다고 발표하면서 열병식이 남북관계의 이슈로 떠올랐다. 사진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2013년 창건 81주년을 맞아 금수산태양궁전 광장에서 열린 군사...

  • admin
  • 2018.01.29
  • 조회수 5229

[한겨레 프리즘] 세대담론의 함정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영화 <1987>을 계기로 그 시대 ‘주역’이던 86세대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이들은 20대 민주항쟁을 이끌었지만 여느 세대처럼 기성의 정치와 경제 질서에 잘 적응해갔다. 20세기 이후 ...

  • admin
  • 2018.01.17
  • 조회수 6205

[유레카] 북간도에서 다시 만난 '동주' / 이창곤

윤동주 탄생 100돌을 기려 지난 12월30일 찾은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 동산(東山)에 있는 윤동주의 묘소와 묘비. 무덤 왼편으로 이름 모를 묘소 하나를 사이에 두고 고종사촌이자 평생의 벗인 송몽규의 무덤이 있다. 1931...

  • admin
  • 2018.01.04
  • 조회수 7067

[한겨레 프리즘] 주거 분리의 욕망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내가 사는 아파트 맞은편에 꽤 큰 행복주택단지가 들어섰다. 요란하지는 않았지만 불평의 목소리가 아파트 카페에 스멀스멀 올라오기도 했다. 집값 걱정임은 물론이다. 개구리 올챙이 적...

  • admin
  • 2017.12.20
  • 조회수 5930

유로, 허약한 기초 위에 쌓은 화려한 성채

Weconomy | 이봉현의 책갈피 경제 경제학자 스티글리츠의 진단 유럽통합의 주춧돌이었던 유로 제도적 장치 미비한 단일통화 유로존 위기의 근본 원인 경제학자 스티글리츠는 제도적 장치가 미비한 채 단일통화를 시도한 유로가 유...

  • admin
  • 2017.12.12
  • 조회수 6096

[유레카] 4차 산업혁명과 사회정책 4.0 / 이창곤

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이 지난 11월22일 오전 베를린에 있는 독일통합서비스노조(베르디)에서 바르바라 주제크 ‘혁신과 좋은 노동국장’과 함께 ‘노동 4.0’ 논의를 한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최근 한국노총 일행과 함께 독...

  • admin
  • 2017.12.12
  • 조회수 5909

뉴스를 읽을 때도 ‘넛지’가 필요해

이봉현의 책갈피 경제 넛지 리처드 세일러·캐스 선스타인 지음, 안진환 옮김 /리더스북(2009) <넛지>의 내용을 길게 설명할 필요는 없어 보인다. 지난 10월 공동 저자 중 한명인 리처드 세일러 미국 시카고대학 교수가 노벨 경제...

  • admin
  • 2017.11.27
  • 조회수 6171

[한겨레 프리즘] 우리 안의 ‘갑질’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성심병원 갑질 사태를 계기로 직장 갑질에 대한 폭로가 분출하고 있다. 마침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과 민주노총 산하 산별연구원 모임인 산별노동연구포럼이 지난 6개월 동안 직장민주주의를...

  • admin
  • 2017.11.21
  • 조회수 5570

[한겨레 프리즘] ‘대놓고 보수’ 안철수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정치인과 연예인은 대중의 관심을 먹고 산다는 점에서 퍽이나 닮은 직업이다. 자기 부고 기사만 아니라면 나쁜 기사라도 반긴다며 두 직업의 비슷함을 꼬집는 말들이 적지 않다. 이들이...

  • admin
  • 2017.11.02
  • 조회수 5356

[이봉현의 책갈피 경제] 세계 경제, 변곡점에 서다

인플레이션의 시대 김동환·김일구·김한진 지음/다산북스(2017) 9년 전 이맘때, 세계는 6천억 달러의 빚을 지고 손을 들어버린 미국 투자은행 리먼 브라더스의 파산 충격에서 헤매고 있었다. 나날이 들려오는 경제 소식은 최악이었...

  • admin
  • 2017.11.02
  • 조회수 50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