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칼럼
List of Articles

[유레카] 4차 산업혁명과 사회정책 4.0 / 이창곤

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이 지난 11월22일 오전 베를린에 있는 독일통합서비스노조(베르디)에서 바르바라 주제크 ‘혁신과 좋은 노동국장’과 함께 ‘노동 4.0’ 논의를 한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최근 한국노총 일행과 함께 독...

  • admin
  • 2017.12.12
  • 조회수 5512

뉴스를 읽을 때도 ‘넛지’가 필요해

이봉현의 책갈피 경제 넛지 리처드 세일러·캐스 선스타인 지음, 안진환 옮김 /리더스북(2009) <넛지>의 내용을 길게 설명할 필요는 없어 보인다. 지난 10월 공동 저자 중 한명인 리처드 세일러 미국 시카고대학 교수가 노벨 경제...

  • admin
  • 2017.11.27
  • 조회수 5721

[한겨레 프리즘] 우리 안의 ‘갑질’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성심병원 갑질 사태를 계기로 직장 갑질에 대한 폭로가 분출하고 있다. 마침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과 민주노총 산하 산별연구원 모임인 산별노동연구포럼이 지난 6개월 동안 직장민주주의를...

  • admin
  • 2017.11.21
  • 조회수 5238

[한겨레 프리즘] ‘대놓고 보수’ 안철수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정치인과 연예인은 대중의 관심을 먹고 산다는 점에서 퍽이나 닮은 직업이다. 자기 부고 기사만 아니라면 나쁜 기사라도 반긴다며 두 직업의 비슷함을 꼬집는 말들이 적지 않다. 이들이...

  • admin
  • 2017.11.02
  • 조회수 5038

[이봉현의 책갈피 경제] 세계 경제, 변곡점에 서다

인플레이션의 시대 김동환·김일구·김한진 지음/다산북스(2017) 9년 전 이맘때, 세계는 6천억 달러의 빚을 지고 손을 들어버린 미국 투자은행 리먼 브라더스의 파산 충격에서 헤매고 있었다. 나날이 들려오는 경제 소식은 최악이었...

  • admin
  • 2017.11.02
  • 조회수 4785

[유레카] 반복지의 덫 / 이창곤

한국은 왜 경제 규모에 견줘 복지 수준이 낮을까? 국내총생산(GDP) 규모로 보면 2017년 우리나라는 세계 11위의 경제 대국이지만 복지에 쓰는 돈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소속 국가 가운데 여전히 꼴찌에 가깝다. 파이부터 늘...

  • admin
  • 2017.10.24
  • 조회수 5468

비트코인은 사기일 뿐인가?

Weconomy | 이봉현의 책갈피 경제 비트코인 현상, 블록체인 2.0 마이클 케이시·폴 비냐 지음, 유현재·김지연 옮김/미래의창(2017) 비트코인 전문기업 코인플러그가 2014년 서울 삼성동 코엑스 별관에 설치한 비트코인 전용 현금자동...

  • admin
  • 2017.09.25
  • 조회수 5362

비트코인은 사기일 뿐인가?

Weconomy | 이봉현의 책갈피 경제 비트코인 현상, 블록체인 2.0 마이클 케이시·폴 비냐 지음, 유현재·김지연 옮김/미래의창(2017) 비트코인 전문기업 코인플러그가 2014년 서울 삼성동 코엑스 별관에 설치한 비트코인 전용 현금자동...

  • admin
  • 2017.09.25
  • 조회수 6482

[한겨레 프리즘] 합리적 보수라는 미망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독일의 부국강병을 이끈 비스마르크는 세계 최초로 사회보험제도를 도입한 인물로도 유명하다. 강경 보수였으되 복지국가의 기초를 놓았다. 노예해방을 이끈 링컨, 자유당을 포용하고 반귀...

  • admin
  • 2017.09.25
  • 조회수 4959

[한겨레 프리즘] 합리적 보수라는 미망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독일의 부국강병을 이끈 비스마르크는 세계 최초로 사회보험제도를 도입한 인물로도 유명하다. 강경 보수였으되 복지국가의 기초를 놓았다. 노예해방을 이끈 링컨, 자유당을 포용하고 반귀...

  • admin
  • 2017.09.25
  • 조회수 5721

[유레카] 뒤틀린 ‘비둘기집’ / 이창곤

페이스북 트위터 공유 스크랩 프린트 크게 작게 “집은 사회생활이 유지되고 모든 재생산이 이뤄지는 중심 장소다.” <제3의 길>의 저자로 널리 알려진 앤서니 기든스의 집에 대한 정의다. 프랑스의 과학철학자인 가스통 바슐라...

  • admin
  • 2017.09.25
  • 조회수 5174

[유레카] 뒤틀린 ‘비둘기집’ / 이창곤

페이스북 트위터 공유 스크랩 프린트 크게 작게 “집은 사회생활이 유지되고 모든 재생산이 이뤄지는 중심 장소다.” <제3의 길>의 저자로 널리 알려진 앤서니 기든스의 집에 대한 정의다. 프랑스의 과학철학자인 가스통 바슐라...

  • admin
  • 2017.09.25
  • 조회수 5667

[유레카] ‘귀 기울이는 관료’ / 이창곤

국민의 정부에서 청와대 들어가서 보니 전부 관료들이고 나 혼자였습니다. 생산적 복지란 틀을 만들 때도 그렇고, 기초생활보장법을 만들 때도 그렇고 경제 관료들이 엄청나게 반대했습니다.”(김대중 정부에서 청와대 민정수석과 정...

  • admin
  • 2017.09.14
  • 조회수 4616

[한겨레 프리즘] 강용주의 자유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일제강점기 문학의 사회참여를 외치며 활동하던 카프 작가 중 김남천은 1931년 공산주의자협의회 사건으로 구속되어 전향한다. 그가 1937년 발표한 작품 <처를 때리고>는 전향 이후의 자...

  • admin
  • 2017.08.29
  • 조회수 5482

[한겨레 프리즘] 원전 프레임 전쟁 / 한귀영

페이스북 트위터 공유 스크랩 프린트 크게 작게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 여부를 둘러싸고 진보와 보수가 대립하고 있다. 언론은 각 사의 이해관계와 시각에 따라 기사를 쏟아내고...

  • admin
  • 2017.08.08
  • 조회수 6468

[유레카] 포용적 복지국가 / 이창곤

페이스북 트위터 공유 스크랩 프린트 크게 작게 포용적 복지국가가 새 정부 공식 문서에 처음 기록된 건 ‘문재인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보고서에서다. 지난 7월14일 국정기획자문위원회는 이 보고서를 발표했다. 사진은 ...

  • admin
  • 2017.08.08
  • 조회수 6042

‘어떤 사람인지 드러내는’ 여가의 진정한 가치

페이스북 트위터 공유 스크랩 프린트 크게 작게 휴가를 보내는 모습은 저마다 다르다. 로마시대의 대시인 오비디우스는 “여가는 우리가 어떤 사람인지를 드러낸다”고 말했는데, 스스로 시간의 주인이 되는 여가를 어떻게 보내는...

  • admin
  • 2017.08.08
  • 조회수 5350

[유레카] MP3 플레이어의 퇴장 / 구본권

작게 토머스 에디슨이 19세기 말 소리를 저장했다가 재생할 수 있는 축음기를 발명했을 때 그는 용도를 속기사 대체, 시각장애인 발음 교육, 대중연설 훈련, 유언 보존용으로 예상했다. 에디슨이 주목하지 않은 음악감상용으로 축...

  • HERI
  • 2017.08.02
  • 조회수 5017

[한겨레 프리즘] 원전 프레임 전쟁 / 한귀영

작게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 여부를 둘러싸고 진보와 보수가 대립하고 있다. 언론은 각 사의 이해관계와 시각에 따라 기사를 쏟아내고 있다. 가히 프레임 전쟁이다. 이 이슈에는...

  • HERI
  • 2017.07.31
  • 조회수 4796

[유레카] 문재인 정부의 ‘황금 삼각형’ / 이창곤

황금 삼각형 출처: 위키피디아 황금비는 가장 미학적인 분할을 뜻한다. 주어진 길이가 1 : 1.618로 나누어질 때다. ‘신의 비율’로 여겨져 그림과 건축 등의 분야에서 널리 응용됐다. 황금 삼각형은 이처럼 두 변의 길이의 ...

  • HERI
  • 2017.07.13
  • 조회수 57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