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칼럼
지난해 11월 마포구 용강동에서 한 배달노동자가 배달음식을 오토바이 상자에 담고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지난해 11월 마포구 용강동에서 한 배달노동자가 배달음식을 오토바이 상자에 담고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이봉현 경제사회연구원장·논설위원
이봉현 경제사회연구원장·논설위원

아파트 정문이 내려다보이는 집에 살다 보니 저녁의 한적함을 잊은 지 오래다. 치킨, 피자, 족발 등을 배달하는 오토바이가 끊임없이 붕붕거리며 드나든다. 주말엔 ‘아점’부터 야식 배달까지 한층 기세를 올려 모처럼 펴든 책을 덮게 한다. 당연한 듯 인도에 올라와 스치듯 지나가고, 주행 중인 차 앞으로 머리를 들이미는 배달 오토바이에 깜짝깜짝 놀란다. ‘소음 적은 전기 오토바이로 교체하고, 속도제한기까지 달아야 하는 것 아닌가’ 하고 혼자 생각해 본다. 이런 불편이 디지털 플랫폼 산업이 만들어내는 ‘외부효과’일 텐데 주문 플랫폼, 배달 플랫폼, 음식점 주인, 배달 노동자 가운데 누굴 붙들고 따져야 할지 모호하다.


소음 같은 성가심이야 참고 넘어간다지만, 그러기 어려운 사람들이 많다. 플랫폼에 생계가 얽힌 이들이다. 코로나 팬데믹을 겪으며 디지털 플랫폼은 한층 깊숙이 우리 삶에 파고들었다. 스마트폰 화면을 몇번 터치해 음식과 식재료를 주문하고 쇼핑을 하며, 구인·구직, 콘텐츠 구독 등 많은 일을 하게 됐다. 플랫폼 덕분에 삶이 편리해졌다. 새로운 일자리와 판로가 생기고, 여러 혁신적인 기업도 생겨났다. 그와 동시에 플랫폼의 힘은 세지고, 여기에 상품과 노동을 공급하는 이들은 불리해졌다.

대선 국면에서 <한겨레>가 내보낸 정책 점검 보도 ‘플랫폼에 포획된 삶’ 편을 보면 플랫폼에서 사업하는 이와 노동하는 이의 현실이 잘 드러나 있다. 배달의 민족, 쿠팡이츠, 요기요 같은 주문 플랫폼을 이용하는 자영업자는 매출 가운데 수수료와 배달료로 나가는 돈이 20~30%에 이른다고 한다. 재료비, 인건비, 임대료를 제하면 장사해서 남는 게 거의 없는 실정이다. 무엇보다 신용카드 수수료가 매출의 0.2%인데, 배달앱 수수료가 13.8%(주문 및 결제 수수료)인 게 납득이 안 된다. “사채보다 더 나쁜 거예요”란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지만, 이용을 중단할 수도 없다. 입점 음식점 주인의 67%는 “플랫폼을 이용하지 않으면 영업을 지속하기 어렵다”고 한다.

배달 플랫폼은 조리 시간이 좀 남은 호출을 먼 거리에 있는 노동자에게 반강제로 배정한다. ‘시간이 돈’인 라이더가 먼 거리 배정을 몇차례 거절하면 플랫폼은 한동안 호출을 끊는 식으로 응징한다. 음식배달, 대리운전, 퀵서비스 등에 종사하는 플랫폼 노동자는 1년 새 3배나 늘었지만, 플랫폼은 이들을 자신이 고용한 노동자로 인정하지 않기에 노동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절반 가까운 플랫폼 노동자가 고용보험, 산재보험에 가입돼 있지 않다.

모두가 노출을 위해 경쟁하는 플랫폼에서 칼자루를 쥔 쪽은 플랫폼 기업이다. 네이버, 쿠팡, 옥션, 지마켓 등 누구든 물건을 팔 수 있는 오픈마켓 플랫폼의 지난해 거래 규모는 82조원에 이른다. 여기 입점한 ‘셀러’(판매자)가 머리를 짜내 상품 노출을 늘리고 판매 실적과 평판을 쌓아 놓아도, 플랫폼이 6개월~1년에 한번 상품 노출 ‘로직’을 일방적으로 바꾸면 그간의 노력은 물거품이 된다. 플랫폼의 일방적인 거래조건 변경, 들쭉날쭉한 배달료, 상점의 매출이 확 줄어드는 배달앱 주문 거리 제한 같은 문제를 따지면 플랫폼 기업은 “컴퓨터가 하는 거라 모르겠다”며 알고리즘 뒤로 숨는다.

디지털 플랫폼 기업이 재벌급으로 덩치가 커지고, 산업의 트렌드를 주도해 가면서 이 산업의 규범을 세우려는 노력이 국내외에서 이어지고 있다.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와 의회의 반독점 규제 강화 움직임이나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의 ‘디지털 시장법’(DMA)이 대표적이다. 페이스북, 아마존, 애플, 넷플릭스, 구글로 대표되는 빅테크(대형 기술기업)와 플랫폼 기업의 독점적 행태, 수익을 극대화하려는 알고리즘의 편향성과 불투명성, 이용자 데이터 주권과 프라이버시 침해, 건강한 정보 질서 교란이 더는 방치하기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윤석열 당선자가 선거에서 승리한 10일, 주식시장에서 네이버와 카카오 주가가 8% 남짓 치솟았다. 플랫폼 ‘갑질’ 방지에 초점을 맞춘 문재인 정부와 달리 윤 당선인이 기업의 자율 규제 등 규제 최소화를 약속한 데 따른 기대가 반영됐다고 한다. 규제는 양면성이 있다. 적절한 규제는 건강한 생태계를 만들어내지만, 적으면 강자의 횡포가 횡행하고, 과하면 혁신이 질식한다. 코로나 이후 디지털 플랫폼 경제로 ‘거대한 가속’이 벌어진 가운데 출범하는 새 정부가 규제와 진흥의 줄타기를 어떻게 해 나갈지 지켜볼 일이다.

bhlee@hani.co.kr


한겨레에서 보기 : 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1034893.html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아침햇발] 정책 상상력이 아쉬운 ‘올드보이’ 정부 / 이봉현

정부는 기름값이 급등하자 유류세를 법적 한도인 37%까지 인하했다. 5일 오후 서울 마포구 대흥동의 한 주유소에서 내 건 유가 알림판에 휘발유가격이 2169원 표시되어 있다 .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r 이봉현 | 경제사...

  • HERI
  • 2022.07.19
  • 조회수 794

[유레카] 카톡에 올린 자녀 사진의 프라이버시권

2016년 캐나다 캘거리에 사는 당시 13살 소년 대런 랜들이 부모를 상대로 합의금 수억원을 요구하는 소송을 냈다. 부모가 자기 얼굴에 초콜릿을 묻히고 사진을 찍는 등 아기 시절 ‘굴욕 사진’들을 페이스북에 10년 넘게 공...

  • HERI
  • 2022.07.13
  • 조회수 1048

당신의 임신 중지, 빅테크 ‘디지털 흔적’으로 남아 있다

임신중지 기소때 디지털증거 활용관행 위치 정보, 문자메시지, 검색 기록 등 “공권력의 디지털정보 요청을 빅테크가 판단·결정할 수 있는가” 빅테크의 민주적 정당성 문제 부각 지난 6월 25일 시민들이 미국 연방대법원 청사 ...

  • HERI
  • 2022.07.13
  • 조회수 953

[아침햇발] 대통령이 ‘바이네르 구두’를 살 때 못 들은 이야기 / 곽정수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 첫 주말인 지난 5월14일 부인 김건희 여사와 서울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의 바이네르 매장을 찾아 제품들을 둘러보고 있다. 바이네르 제공 곽정수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선임기자 김원길(61) 바이네르 대표...

  • HERI
  • 2022.06.27
  • 조회수 1114

[아침햇발] ESG에 부는 역풍 / 이봉현

지난 2년간 한국 기업에도 이에스지 ‘열풍’이 불어 이에스지 위원회를 꾸리고 경영의 지표로 삼는 기업이 크게 늘었다. 한국거래소 누리집 갈무리 이봉현ㅣ경제사회연구원장 겸 논설위원 테슬라의 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가 이에...

  • HERI
  • 2022.06.22
  • 조회수 1245

[유레카] 인터넷 익스플로러와 한국 웹환경 / 구본권

웹브라우저의 대명사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출시 27년 만에 사라졌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예고해온 대로 지난 15일 익스플로러에 대한 지원을 공식 종료했다. 이날 이후 익스플로러를 실행하면 엠에스의 새 브라우저인 ‘에지...

  • HERI
  • 2022.06.20
  • 조회수 1011

[아침햇발] ‘신기업가정신’ 선언이 쇼가 아니라면 / 곽정수

곽정수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선임기자 “주주에 대한 봉사와 이윤 극대화라는 가치를 넘어 종업원과 고객, 납품업체 등 모든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사회적 책무를 강화하겠다.” 2019년 8월19일 미국 200대 대기업 협의체인 비즈니...

  • HERI
  • 2022.05.31
  • 조회수 1191

[아침햇발] ‘한국이 말한다’를 시작할 때

2017년부터 해마다 열리는 ‘독일이 말한다’에서 생각이 크게 다른 두 사람이 짝을 이뤄 대화를 하고 있다. <디 차이트> 온라인 이봉현 | 경제사회연구원장 겸 논설위원 소셜미디어를 넘겨보다 몇번 불편하면 ‘친구 끊기’를 ...

  • HERI
  • 2022.05.20
  • 조회수 1234

[유레카] ‘반지성주의’와 ‘투명성’ / 구본권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0일 취임사에서 ‘반지성주의’를 화두로 밝혔다. 윤 대통령은 “각자가 보고 듣고 싶은 사실만을 선택하거나 다수의 힘으로 상대의 의견을 억압하는 반지성주의”를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가장 큰 원인으로...

  • HERI
  • 2022.05.16
  • 조회수 1284

[유레카] ‘고발당한’ 노사협의회 / 곽정수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지난 3일 윤석열 정부의 110대 국정과제를 발표했다. 노동의 가치가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겠다면서 51번째 과제로 노사협력을 제시했다. 또 이를 위해 노사협의회 근로자위원의 대표성·독립성 강화를 통해 참...

  • HERI
  • 2022.05.08
  • 조회수 1499

[유레카] 넷플릭스 신화의 추락과 뉴노멀 / 구본권

코로나19로 인한 일부 현상은 팬데믹이 지나가도 일상으로 자리잡을 ‘새로운 표준’(뉴노멀)이 될 것이라고 예측됐다. 비대면 회의와 배달 문화, 영화관 대신 온라인 동영상 감상 등이 대표적 사례인데 팬데믹 탈출 시기에 검증...

  • HERI
  • 2022.04.26
  • 조회수 1229

[유레카] 박용만, 윤석열과 정치 /곽정수

박용만 전 대한상의 회장이 최근 윤석열 정부의 첫 총리 후보설 , 민주당의 서울시장 후보설에 대해 “정치할 생각이 없다”며 확실히 선을 그었다. 1년 전 박 전 회장이 상의 회장을 그만두기 직전에 인터뷰한 적이 있다. ...

  • HERI
  • 2022.04.25
  • 조회수 1225

[아침햇발] 로비스트가 총리·장관 하면 안된다 / 이봉현

새 정부 초대 총리 후보로 지명된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3일 서울 통의동 인수위 기자회견장에서 발언을 하기 위해 마스크를 벗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이봉현 | 경제사회연구원장 겸 논설위원 흔하게 보지만 계속 없는 척하기...

  • HERI
  • 2022.04.15
  • 조회수 1087

[유레카] 삼성 수사와 윤석열의 ‘친기업’ / 곽정수

검찰이 최근 삼성전자와 웰스토리를 압수수색했다. 공정위가 지난해 6월 삼성전자 등이 웰스토리에 사내 급식 물량 몰아주기를 했다면서 2349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고, 고발한 지 9개월 만이다. 그동안 뒷짐 지고 있던 검찰이 ...

  • HERI
  • 2022.04.11
  • 조회수 1574

[유레카] 아마존 노조와 빅테크 힘의 균형 / 구본권

지난 1일 세계 최대 온라인상거래 업체 아마존에서 노조 설립안이 통과했다. 미국 뉴욕의 스태튼아일랜드 아마존물류센터 직원들의 투표 결과, 55%가 찬성했다. 1994년 온라인 서점으로 출발해 디지털 삶을 혁신시켜온 아마존닷컴...

  • HERI
  • 2022.04.05
  • 조회수 1002

[유레카] 러시아를 꿇린 31살 우크라 장관의 사이버 전투/ 구본권

땅, 바다, 하늘에 이어 사이버 공간을 제4의 영토로 선언하고 사이버군대를 창설한 국가가 여럿이다. 미국은 2009년, 한국은 2010년 사이버사령부를 창설해 정보전쟁을 대비하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정보전이 또하나...

  • HERI
  • 2022.03.16
  • 조회수 1472

[아침햇발] 플랫폼, 규제와 진흥의 줄타기 / 이봉현

지난해 11월 마포구 용강동에서 한 배달노동자가 배달음식을 오토바이 상자에 담고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이봉현 경제사회연구원장·논설위원 아파트 정문이 내려다보이는 집에 살다 보니 저녁의 한적함을 잊은 지...

  • HERI
  • 2022.03.15
  • 조회수 1697

[유레카] 정부 정책 뒤집기 ‘올인’ Y(윤석열)노믹스가 놓친 것들

대통령 이름에 이코노믹스(경제학)의 뒷부분을 붙인 합성어는 특정 정부의 차별화된 경제정책을 함축하는 용어다. 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의 ‘레이거노믹스’가 대표적이다. 감세, 정부지출 축소, 규제 완화 등 공급 중시 ...

  • HERI
  • 2022.03.15
  • 조회수 1173

D-데이 훤히 내다보고, 틱톡으로 여론 모으고…초연결시대의 전쟁

“틱톡은 전쟁위해 설계된 도구” 짧은 동영상 순식간 세계 전파 우크라이나 지지 여론 확산 기여 콘텐츠 승리로 현실 해결 못해 2011년 ‘아랍의 봄’ 무위로 끝나 빅테크 기업 ‘이미지 쇄신’ 기회 중립 위치·책임 회피 어...

  • HERI
  • 2022.03.07
  • 조회수 1041

대선 주자도 모르는 부동산 문제 해결법

[문진수의 사회적 금융 이야기 20] 공공 지원으로 시세보다 저렴한 사회주택 입주민엔 좋지만, 주택 공급자는 무관심 사회주택 사업자에 인내 자본 공급해 양질의 사회주택 많이 보급하게끔 해야 정부의 적극적 금융 지원이 필...

  • HERI
  • 2022.02.28
  • 조회수 1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