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칼럼
‘사회적 경제 기본법’ 제정이 차일피일 미뤄지자 이 법 제정을 열망하는 사회적 경제 단체와 사회적 경제인들이 ‘시민행동’을 결성하는 등 수년간 입법 청원 활동을 벌였다. 사진은 ‘시민행동’에 참여한 사회적 경제인들이 2018년 2월 국회에서 사회적 경제 기본법 제정을 촉구하는 모습. 사진 시민행동 제공
‘사회적 경제 기본법’ 제정이 차일피일 미뤄지자 이 법 제정을 열망하는 사회적 경제 단체와 사회적 경제인들이 ‘시민행동’을 결성하는 등 수년간 입법 청원 활동을 벌였다. 사진은 ‘시민행동’에 참여한 사회적 경제인들이 2018년 2월 국회에서 사회적 경제 기본법 제정을 촉구하는 모습. 사진 시민행동 제공
20220106502359.jpg
이봉현 | 경제사회연구원장·논설위원

격랑이 몰아치는 새해 대선 정국에 희미한 봄소식 같은 흐름이 있다.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소셜 벤처 등에 몸담은 ‘사회적 경제인’들의 오랜 숙원인 ‘사회적 경제 기본법’(이하 기본법)이 제정되리란 희망이 커지는 것이다. 사회적 경제 활동에 우호적인 정책 환경을 만들기 위한 기본법 제정이 연말부터 속도를 내고 있다. 기대와 실망을 거듭해 온 사회적 경제인들은 이번에도 ‘희망 고문’이 아니길 바라며 여의도를 지켜보고 있다.


2014년 첫 발의부터 약 8년, 19·20·21대 국회에서 국민의힘 계열(유승민), 민주당 계열(신계륜, 윤호중, 강병원, 김영배, 양경숙), 정의당(박원석, 장혜영) 등 여야 의원 8명이 11차례 대표 발의했지만, 기본법은 첫 관문인 기획재정위(기재위) 법안심사 소위 문턱을 넘지 못했다. 국민의힘이 번번이 가로막았고, 민주당은 이를 돌파할 결기가 부족했다. 현 정부에서도 기본법 제정은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자 민주당의 21대 총선 공약이었지만 별 진척 없이 대통령 임기 종료를 맞는가 싶었다.

변곡점이 찾아온 것은 지난해 12월. 문 대통령은 그달 1일 서울에서 열린 세계협동조합총회 개막식에서 기본법 등이 조속히 국회를 통과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다시 불을 지폈다. 며칠 뒤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도 “다양한 영역에서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기업이 인정받을 수 있도록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 정부의 역할과 지원 체계를 혁신하겠다”며 국회에 계류된 기본법 통과를 촉구했다. 민주당은 이런 분위기를 이어가 8일 기재위를 단독소집해 기본법과 노동이사제가 규정된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안’ 등 4개 법안에 대해 안건조정위원회 소집을 신청했다. 국회법에 따라 최장 90일의 조정을 거쳐 기재위 전체회의와 본회의로 갈 수 있는 우회로를 튼 것이다. 하지만 기본법과 노동이사제에 반대해 온 국민의힘은 6명의 위원 중 자기 몫 2명을 추천하지 않았고, 안건조정위도 공전했다.

의외의 곳에서 돌파구가 열렸다. 15일 윤석열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한국노총을 방문한 자리에서 공공기관 노동이사제에 찬성하겠다고 급선회한 것이다. 후보의 약속을 지켜야 하게 된 국민의힘은 안건조정위원 2명을 추천했다. 새해 들어 4일 열린 2차 회의에서 여야는 노동이사제 관련 법안에 먼저 합의했다. 기본법 등 3개 법안은 조정을 더 해나가기로 했다. 장담은 이르지만 조정위원 구성이 기본법 찬성 4명, 반대 2명이어서, 합의에 이르지 못해도 표결로 가결할 수 있다. 다만 민주당이 대선 이전 단독통과를 주저해 시간 끌기를 할지 모른다는 우려가 사회적 경제인들 사이에 나온다.


20220106502356.jpg

현재 우리나라에는 3만개에 이르는 사회적 경제 기업이 존재한다. 이들은 장애인, 고령자, 경력단절 여성 등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과 사회서비스 제공, 자원 순환 등을 통해 시장과 국가가 해결하기 어려운 사회문제를 푸는 역할을 해왔다. 특히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이들은 고용 조정을 자제하고 수익을 재투자하는 등 취약계층의 버팀목 노릇을 해냈다.

기본법은 명확하고 통일된 법적 근거를 만들어 좀 더 체계적으로 사회적 경제를 지원·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지금도 개별법에 의해 협동조합은 기재부, 사회적기업은 고용노동부, 자활기업은 보건복지부가 관리하고 있지만, 부처별 칸막이 행정의 문제가 있고 지방으로 갈수록 행정 및 예산 집행의 비효율성이 심하다. 행정안전부가 관장하는 마을기업이나 중소벤처기업부가 관장하는 소셜벤처는 명확한 법적 근거도 없다.

발의된 기본법안들은 대동소이한데, 우선 사회적 경제 발전을 위한 5년 단위 기본계획을 세우고 각 부처와 지역이 이에 조응해 매년 시행계획을 만들도록 했다. 또 정책 수립과 통합적 추진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할 민관 거버넌스로 대통령 직속 ‘사회적 경제발전위원회’를 두고, 기재부 산하에 ‘한국사회적경제원’을 실행기구로 설립하도록 했다. 사회적 경제의 취약점인 금융 지원을 위해 사회적 금융을 활성화하고 기금도 둘 수 있도록 규정했다. 공공기관의 구매에서 일정 비율을 사회적 경제 제품으로 우선 구매하도록 하는 조항도 있다.

사회적 경제는 시장의 냉혹함과 국가 주도 복지 의존성을 모두 완화하는 대안이어서 선진국들도 힘을 기울여 육성하고 있다. 물론, 기본법에 반대하는 야당의 우려도 타당한 면이 있다. 정부의 역할이 과도해지면 사회적 경제 조직의 자생력과 혁신성이 사라질 수 있다는 게 대표적이다. 이는 법 제정 과정에서 보완해야 한다. 하지만 ’사회적 경제=사회주의 경제’와 같은 논리를 계속 고집하면 웃음거리만 되는 것은 국민의힘도 잘 알 것이다. 기본법 첫 발의를 유승민 의원이 하고 당시 여당인 새누리당 의원 67명이 공동발의를 것만 봐도 이 법은 원래부터 여야 모두의 법안이었다.


한겨레에서 보기 : onebyone.gif?action_id=9975c5eaa06f67e874df90f2ae48093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1026255.html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아침햇발] 로비스트가 총리·장관 하면 안된다 / 이봉현

새 정부 초대 총리 후보로 지명된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3일 서울 통의동 인수위 기자회견장에서 발언을 하기 위해 마스크를 벗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이봉현 | 경제사회연구원장 겸 논설위원 흔하게 보지만 계속 없는 척하기...

  • HERI
  • 2022.04.15
  • 조회수 1278

[유레카] 삼성 수사와 윤석열의 ‘친기업’ / 곽정수

검찰이 최근 삼성전자와 웰스토리를 압수수색했다. 공정위가 지난해 6월 삼성전자 등이 웰스토리에 사내 급식 물량 몰아주기를 했다면서 2349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고, 고발한 지 9개월 만이다. 그동안 뒷짐 지고 있던 검찰이 ...

  • HERI
  • 2022.04.11
  • 조회수 1943

[유레카] 아마존 노조와 빅테크 힘의 균형 / 구본권

지난 1일 세계 최대 온라인상거래 업체 아마존에서 노조 설립안이 통과했다. 미국 뉴욕의 스태튼아일랜드 아마존물류센터 직원들의 투표 결과, 55%가 찬성했다. 1994년 온라인 서점으로 출발해 디지털 삶을 혁신시켜온 아마존닷컴...

  • HERI
  • 2022.04.05
  • 조회수 1185

[유레카] 러시아를 꿇린 31살 우크라 장관의 사이버 전투/ 구본권

땅, 바다, 하늘에 이어 사이버 공간을 제4의 영토로 선언하고 사이버군대를 창설한 국가가 여럿이다. 미국은 2009년, 한국은 2010년 사이버사령부를 창설해 정보전쟁을 대비하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정보전이 또하나...

  • HERI
  • 2022.03.16
  • 조회수 1745

[아침햇발] 플랫폼, 규제와 진흥의 줄타기 / 이봉현

지난해 11월 마포구 용강동에서 한 배달노동자가 배달음식을 오토바이 상자에 담고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이봉현 경제사회연구원장·논설위원 아파트 정문이 내려다보이는 집에 살다 보니 저녁의 한적함을 잊은 지...

  • HERI
  • 2022.03.15
  • 조회수 1922

[유레카] 정부 정책 뒤집기 ‘올인’ Y(윤석열)노믹스가 놓친 것들

대통령 이름에 이코노믹스(경제학)의 뒷부분을 붙인 합성어는 특정 정부의 차별화된 경제정책을 함축하는 용어다. 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의 ‘레이거노믹스’가 대표적이다. 감세, 정부지출 축소, 규제 완화 등 공급 중시 ...

  • HERI
  • 2022.03.15
  • 조회수 1427

D-데이 훤히 내다보고, 틱톡으로 여론 모으고…초연결시대의 전쟁

“틱톡은 전쟁위해 설계된 도구” 짧은 동영상 순식간 세계 전파 우크라이나 지지 여론 확산 기여 콘텐츠 승리로 현실 해결 못해 2011년 ‘아랍의 봄’ 무위로 끝나 빅테크 기업 ‘이미지 쇄신’ 기회 중립 위치·책임 회피 어...

  • HERI
  • 2022.03.07
  • 조회수 1225

대선 주자도 모르는 부동산 문제 해결법

[문진수의 사회적 금융 이야기 20] 공공 지원으로 시세보다 저렴한 사회주택 입주민엔 좋지만, 주택 공급자는 무관심 사회주택 사업자에 인내 자본 공급해 양질의 사회주택 많이 보급하게끔 해야 정부의 적극적 금융 지원이 필...

  • HERI
  • 2022.02.28
  • 조회수 1581

[유레카] ‘15초 영상’ 인기가 알려주는 미래 / 구본권

틱톡은 세대 차가 유난히 큰 모바일 플랫폼이다. 중국 바이트댄스가 서비스하는 15초 동영상 기반의 소셜미디어인 틱톡은 10대 사이에선 선풍적 인기지만 기성세대는 존재조차 모르는 이가 많다. 2020년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안...

  • HERI
  • 2022.02.24
  • 조회수 1866

[유레카] 이재용의 ‘노사화합’ 약속은? / 곽정수

지난해 8월 삼성전자와 노조가 창사 52년 만에 처음으로 단체협약을 체결했다. 이재용 부회장이 2020년 5월 대국민 사과에서 “더는 무노조경영이라는 말이 나오지 않도록 하겠다”며 삼성 역사 81년 만에 ‘무노조경영’을 포기...

  • HERI
  • 2022.02.22
  • 조회수 1228

사회적 금융이란 무엇인가?

[문진수의 사회적 금융 이야기 19] 사회적 금융은 시장금융 공백 채우는 활동 금융 취약계층과 낙후 지역 발전 돕고 사회혁신기업 지원과 구성원 삶의 질 높이는 사람과 사회 중심의 따뜻한 금융 언스플래쉬 사회적 금융은 시...

  • HERI
  • 2022.02.11
  • 조회수 1481

[아침햇발] “이건 당신이 대통령이야” 하면 다 되나 / 이봉현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지난해 12월26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상식 회복 공약-성장과 복지의 선순환’ 관련 기자회견을 하기 전 마스크를 벗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경제사회연구원장· 논설위원 지난주 열린 첫 대선 후...

  • HERI
  • 2022.02.10
  • 조회수 1507

‘보행중 시청’ ‘1.5배속 재생’ 유튜브 시청 ‘짜내기’ 신공

삼성전자가 최근 전 직원을 대상으로 ‘5대 안전규정’ 준수를 의무화했다. 5가지 규정은 주요 사업장에서 보행 중 휴대전화 사용 금지, 무단횡단 금지,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 금지, 운전 중 과속 금지·사내 제한속도 준수,...

  • HERI
  • 2022.02.07
  • 조회수 1725

신협, 사회적 경제 지원해야

[문진수의 사회적 금융 이야기] 자조와 협력으로 전후 어려움 극복한 신협 세계 4위 협동조합 금융기관으로 성장했지만 민간 금융사 운영 방식 따르며 정체성 잃어 사회적 경제 특화 금융 체계 만들어 정부 정책자금에 의존 ...

  • HERI
  • 2022.02.03
  • 조회수 1455

[유레카] 인간만이 지닌 능력 / 구본권

1492년 아메리카 대륙의 존재를 유럽에 알린 콜럼버스는 이후 10여년간 4차례 항로를 변경해가며 신대륙 탐험을 이어갔다. 콜럼버스의 배는 1503년 6월 마지막 항해 때 자메이카 해안에 좌초해 원주민들의 도움을 받았는데, 체류...

  • HERI
  • 2022.01.26
  • 조회수 1641

[유레카] ‘갑질 기업’의 전략적 봉쇄소송 / 곽정수

미국의 사회학자 카난과 법학자 프리그는 기업·정부·공직자 등이 공적 관심사나 쟁점에 대해 자신에게 반대하거나 불리한 주장을 하는 것을 위축시킬 목적으로 제기하는 소송을 ‘전략적 봉쇄소송’이라고 정의했다. 전략적 봉쇄소...

  • HERI
  • 2022.01.25
  • 조회수 1481

‘사회성과연계채권’을 활용하자

[문진수의 사회적 금융 이야기] 언스플래쉬 ‘사회성과연계채권’(social impact bond, SIB)이란 비용이 많이 들고 다루기 힘든 사회문제를 정부, 민간기업, 비영리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협력해 해결하는 성과 기반 보상 ...

  • HERI
  • 2022.01.17
  • 조회수 1599

[아침햇발] 8년 숙원 사회적 경제 기본법, 이번엔 마침표 찍자

‘사회적 경제 기본법’ 제정이 차일피일 미뤄지자 이 법 제정을 열망하는 사회적 경제 단체와 사회적 경제인들이 ‘시민행동’을 결성하는 등 수년간 입법 청원 활동을 벌였다. 사진은 ‘시민행동’에 참여한 사회적 경제인들이...

  • HERI
  • 2022.01.07
  • 조회수 1400

기업의 ‘임팩트 워싱’ 우려된다고? ‘임팩트’ 평가기준부터!

[문진수의 사회적 금융 이야기] 산출·성과보다 목표 실현하는 ‘임팩트’ 중요 임팩트 측정 어떻게 할 것인가는 향후 과제 국내·외 사회적 가치, ESG 측정법 많지만 ‘임팩트 워싱’ 현상 일어나지 않으려면 정부가 올바른 방...

  • HERI
  • 2022.01.03
  • 조회수 2167

[유레카] ‘거수기 이사회’ 종언 판결 / 곽정수

법률전문매체인 <법률신문>이 선정한 ‘2021년 주요 판결’ 중에서 기업 담합행위에 대해 이사의 책임을 잇달아 인정한 대법원과 고등법원의 판결이 당당히(?) 1위에 올랐다. 대법원은 지난해 11월 유니온스틸(현 동국제강)의 소액주...

  • HERI
  • 2022.01.03
  • 조회수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