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칼럼
애플 ‘프라이버시 강화안’ 파장
이용자 90% ‘앱 추적 차단’ 선택
“이용자식별 관뚜껑 못질한 셈”

애플 선공에 인터넷 사업모델 흔들
페이스북 ‘반발’, 구글은 ‘따라하기’

‘초기설정’ ‘개인정보 자기결정권’
정보주체 선택권 요구 높아질듯

크레이그 페더리기 애플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수석 부사장은 지난 7일 애플 세계개발자대회21(WWDC21)에서 애플의 프라이버시 강화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애플 제공
크레이그 페더리기 애플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수석 부사장은 지난 7일 애플 세계개발자대회21(WWDC21)에서 애플의 프라이버시 강화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애플 제공

이용자 동의없는 ‘맞춤형 광고’는 편리한 기술인가,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을 무시한 침입적 마케팅인가. 애플이 도입한 이용자 정보 추적 방지 기능이 인터넷 서비스 방식과 생태계에 근본적 변화를 가져오는 계기가 될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iOS15 업데이트’ 아이폰의 변화

애플은 지난 7일 세계개발자대회21(WWDC21)에서 프라이버시 보호 강화를 발표했다. 애플은 아이폰·아이패드 운영체제(iOS15)를 업데이트하며 이용자의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을 강화하는 기능을 다수 도입했다.

크레이그 페더리기 애플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수석 부사장은 이날 “애플은 사생활을 보호하고 이용자에게 자기 정보에 대한 투명성과 통제권을 제공하는 것을 중시한다”며 무차별적 데이터 수집관행으로부터 이용자 보호 필요성을 강조했다.


운영체제 업데이트로 이메일 앱, 모바일 브라우저(사파리), 음성비서(시리), 아이클라우드의 프라이버시와 보안이 크게 높아졌다. 대부분의 광고메일은 메일 본문에 보이지 않는 픽셀을 첨부해 이용자 동의 없이 제3자가 개봉 여부와 인터넷 주소(IP) 등을 추적해왔는데, 이번 업데이트로 불가능해졌다. 애플의 이용자 프라이버시 소프트웨어 매니저 케이티 스키너는 “광고 메일은 열람 시각과 인터넷 주소 등을 수집하는데 사용자가 제공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해야 한다”고 말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지난 9일 “추적에 사용되는 인터넷 주소를 차단한 조처는 이용자 프로파일링에서 관에 못질을 하는 것같은 획기적 진전이다. 인터넷 주소가 없으면 추적 기업은 이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믿을만한 수단이 없다”고 보도했다. 많은 기업들은 이용자의 인터넷 주소를 수집하고 이를 다른 정보와 결합해 사용자별 고유특징(핑거프린트)을 만들고 사용자의 재방문을 인식하고 맞춤형 광고를 내보낸다.

사파리는 수년 전부터 사용자 핑거프린트 작성을 금지했는데 이번 업데이트로 인터넷 주소 제공도 차단했다. 새 유료 서비스인 ‘아이클라우드 플러스’는 보안 가상사설망(VPN)처럼 인터넷 주소만이 아니라 모든 인터넷 트래픽을 익명화해 식별할 수 없게 한다. 음성비서 ‘시리’는 이용자 기기 안에서 즉각 처리하는 ‘온디바이스 음성인식’을 적용해, 서버에 음성 녹음 없이 쓸 수 있게 됐다.

애플은 또 ‘앱 프라이버시 보고서’ 메뉴를 통해, 각 앱이 개인정보에 얼마나 접근했는지도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일주일 동안 위치정보·사진·카메라·마이크·연락처 등에 각 앱이 얼마나 접근했는지와 적절성 여부도 점검할 수 있다.

애플은 지난 4월26일 운영체제 업데이트(iOS14.5)에서 ‘앱 추적 투명성’ 기능을 제공했다. 모바일에서 사용하는 앱·웹사이트가 이용자의 검색이나 앱 사용기록을 추적할 때 팝업을 띄워 동의를 받도록 하는 기능이다. 이를 따르지 않으면, 앱스토어에서 쫓겨난다. 미국의 정보기술 전문지 <와이어드>는 ‘앱 추적 투명성’ 도입에 대해 “인터넷 역사상 디지털 프라이버시의 가장 중요한 개선이 이루어진 것”이라고 평가했다.

아이폰 너머의 변화

페이스북이 애플의 ‘앱 추적 투명성’ 도입에 따라 아이폰에서 띄우는 팝업.
페이스북이 애플의 ‘앱 추적 투명성’ 도입에 따라 아이폰에서 띄우는 팝업.

애플이 모바일 기기에서 프라이버시 보호 강화를 설정 초기값(디폴트 세팅)으로 제공함에 따라, 그 파장이 애플 생태계 바깥으로 번지고 있다. 소셜미디어 플랫폼, 광고주, 이용자 문화가 변화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지금까지 애플의 업데이트는 애플 안의 앱에만 영향을 끼쳤는데 최근엔 광고주, 이메일 마케터, 광고회사, 언론 등의 광범한 웹 트래픽에 영향을 끼친다”고 보도했다. 서비스를 무료 제공하고 광고를 노출시켜온 인터넷 고유의 사업모델도 흔들리는 상황이다. 광고 수익이 매출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페이스북은 애플의 앱 추적 차단과 이용자 식별 금지에 타격을 받는 대표적 기업이다.

페이스북은 지난 몇 달간 애플의 앱 추적 차단이 “맞춤형 광고에 의존하는 소규모 기업에 큰 피해를 줄 것”이라며 미국 주요 신문에 반박 광고를 실어왔다. 페이스북은 애플의 업데이트 이후 자사 광고주들을 위해서 홈페이지에 애플의 ‘앱 추적 투명성’ 도입에 따른 맞춤형 광고 방식 변경 안내문을 게시해야 했다. 애플이 ‘앱 추적 투명성’ 팝업을 띄우자 이용자의 90% 가까이가 ‘추적 금지’를 선택한 것으로 조사됐다.(플러리 애널리틱스 자료)

광고 기업들은 바뀐 환경에 적응하고 있다. 이용자가 추적에 동의하면 무차별 광고 대신 ‘맞춤형’ 광고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걸 내세운다. 내비게이션 앱 ‘카카오티(T)’의 경우, 팝업에 “추적을 허용하면 불필요한 광고대신 맞춤형 광고를 받을 수 있다”며 “추적을 허용하지 않더라도 광고는 노출된다”는 알림을 띄워 ‘추적 동의’를 유도하고 있다.

애플의 프라이버시 정책은 인터넷 업계의 변화로 이어졌다. 구글도 지난 6일 공식 블로그를 통해 구글의 앱 장터인 구글플레이를 통해 설치한 앱이 개인정보를 수집·사용하는 내역을 이용자에게 제공하겠다며 하반기에 상세 지침을 발표하고 내년부터 적용하기로 했다.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도 확대되고 있다. 카카오톡, 아이메시지 등 메시징 서비스도 종단간 암호화가 초기값으로 제공되는 방향으로 개선됐다. 된다. 사파리와 모질라의 파이어폭스 등 웹브라우저는 지난해 서드파티 쿠키 사용을 중단했으며 구글 크롬도 중지 계획을 밝혔다. 서드파티 쿠키는 웹사이트 운영자가 아닌 제3자가 심는 이용자 식별 파일로, 이용자가 각 사이트를 넘나드는 행동을 추적해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도구다.

더 중요한 변화는 이용자들이 ‘앱 추적 투명성’ ‘프라이버시 보고서’ 등의 서비스를 통해 그동안 의식하지 못했던 정보 주체로서의 자기결정권에 눈을 뜨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당연하게 여겨져온 기기와 서비스의 ‘초기 설정값’이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와 선택권을 위한 것인지에 대한 사회적 각성과 요구가 만들어지는 배경이 되고 있다.

구본권 사람과디지털연구소장 starry9@hani.co.kr
한겨레와 함께 걸어주세요
섬세하게 세상을 보고
용기있게 기사를 쓰겠습니다.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말 거는 한겨레] “현장에 가봤어?” / 이봉현

부동산 투기 의혹으로 지난달 말 사퇴한 김기표 청와대 반부패비서관이 2017년 매입해 보유하고 있던 경기도 광주시 송정동의 토지. 도로가 바로 앞에서 끊겨 건축이 가능하지 않은 ‘맹지’이지만, 주변의 개발 상황 등을 면밀...

  • HERI
  • 2021.07.22
  • 조회수 2742

[유레카] 해고된 휴머노이드 로봇 ‘페퍼’ / 구본권

로봇이 실험실을 나와 영업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바리스타 로봇, 서빙 로봇, 안내 로봇이 속속 배치되고 있다. 인건비 절감과 서비스 효율화를 내거는 만큼 일자리 불안이 뒤따른다. 일본 소프트뱅크 로보틱스는 2014년 휴머노...

  • HERI
  • 2021.07.20
  • 조회수 2456

우리도 독일처럼…‘에너지 은행’ 정부가 나서서 만들면 어떨까

문진수의 사회적 금융 이야기 독일, ‘에너지 전담 은행’ 통해 신재생 에너지 정책 실행에 앞장 서 ‘기후악당’ 국가 선정된 한국도 은행 설립 등 적극적 전략 마련해야 독일재건은행 누리집 (www.kfw.de) 은퇴한 60대 부부가...

  • HERI
  • 2021.07.15
  • 조회수 2744

내 돈에 꼬리표가 달려 있다면?

[문진수의 사회적 금융 이야기] 네덜란드 트리오도스·독일 지엘에스 등 고객에 투자처 묻거나 공익 창출 분야에만 투자 사회적 가치 중시하는 40개국 65개 ‘착한 은행’ 경제·사회·환경 지속가능성 고민하며 윤리적 금융 생태계...

  • HERI
  • 2021.07.01
  • 조회수 2622

[유레카] 알고리즘 인식과 인간 인식의 차이 / 구본권

퇴사율은 기업 생산성과 직결되는 만큼, 기업은 채용 때 오래 근속할 직원을 선호한다. 미국의 사무기기 업체 제록스는 퇴사율을 낮추기 위해 퇴직 가능성이 높은 구직자를 알려주는 소프트웨어를 도입했다. 분석결과 통근 거리...

  • HERI
  • 2021.06.30
  • 조회수 2371

[말 거는 한겨레] 왜, 이준석을 내려놨나 / 이봉현

최근 이준석의 국민의 힘 대표 당선이 갖는 의미를 분석한 한겨레 티브이 <논썰> 프로그램 화면 이봉현 ㅣ 저널리즘책무실장 (언론학 박사) 30대 당대표 이준석은 한국 정치에 돌풍을 일으켰다. ‘이준석 현상’에 주목하는 언...

  • HERI
  • 2021.06.28
  • 조회수 2193

“관계금융 실현하는 지역밀착 공공은행 만들자”

[문진수의 사회적 금융 이야기] 신용정보 낮은 청년, 매출실적 낮은 성장 잠재력 있는 기업은 기존 금융에서 금융 서비스 이용 어려워 도약 어려운 악순환 지역에 뿌리내리고 정성적 정보 종합판단하는 관계금융 절실 지역밀착...

  • HERI
  • 2021.06.17
  • 조회수 2587

“동의없는 이용자 추적 차단” 인터넷 서비스 대세될까?

애플 ‘프라이버시 강화안’ 파장 이용자 90% ‘앱 추적 차단’ 선택 “이용자식별 관뚜껑 못질한 셈” 애플 선공에 인터넷 사업모델 흔들 페이스북 ‘반발’, 구글은 ‘따라하기’ ‘초기설정’ ‘개인정보 자기결정권’ 정보주체...

  • HERI
  • 2021.06.14
  • 조회수 2306

SNS ‘사진 태그’ ‘위치정보’는 해커의 ‘먹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링크 스크랩 프린트 글씨 키우기 보이스 피싱을 막기 위해 홍보를 강화하고 은행 출금 때 다양한 안전장치를 거치도록 하고 있지만, 메신저 피싱은 오히려 늘고 있다. 지난해 가족·지인을 사칭한 메신저...

  • HERI
  • 2021.06.14
  • 조회수 1984

[유레카] ’메타버스’의 무한성과 유한성 / 구본권

‘메타버스’는 미국의 과학소설 작가 닐 스티븐슨이 1992년 <스노 크래시>에서 ‘아바타’와 함께 처음 사용한 말인데, 최근 널리 쓰이고 있다. 초월을 의미하는 ‘메타’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를 합성해 만든 ‘메타버스...

  • HERI
  • 2021.06.10
  • 조회수 2757

“사회적 경제에 금융을 흐르게 하라”

[문진수의 사회적 금융 이야기] 혹독한 경제상황 속에 싹틔운 따뜻한 금융 돈이 위기 극복하고 지역 번영에 기여해야 다양한 사회적 경제 형태 품을 수 있는 금융 사회적 금융 중개기관과 도매기금 역할 중요 언스플래쉬 일반...

  • admin
  • 2021.06.03
  • 조회수 2535

“정책 효과성 높이려면 공적집단의 소명의식 회복해야…”

[이재우의 산업혁신 톺아보기] 훌륭한 정책과 정부의지 높아도 실현은 난항 이익집단의 이해관계에 ‘포획’된 공적집단 합종연횡하며 정책결정이나 실행 연기되기도 실행 난항 극복하고, 실행 효과성 높이려면 경제·사회 전반 고려...

  • HERI
  • 2021.05.31
  • 조회수 2522

‘사이버 인질극’이 바꿀 인터넷 구조

[유레카] 신종 인질극이 잇따르고 있다. 범인들은 인질극 몇시간 만에 수십억원의 몸값을 챙겨 흔적 없이 사라진다. 지난 7일 미국 동부지역 석유 공급의 45%를 담당하는 송유관 운영회사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은 해커 집단 ‘다...

  • HERI
  • 2021.05.24
  • 조회수 2480

애플 에어태그 ‘위치추적’ 실시간 미행·스토킹 우려

애플이 4월30일 개당 3만9000원에 출시한 위치추적용 액세서리 에어태그. 애플 제공 “열쇠를 어디 뒀더라” 더이상 건망증을 탓하지 않게 만들 똑똑한 위치알리미가 등장했다. 애플은 지난달 30일 위치 추적용 소형 액세서리 ‘...

  • HERI
  • 2021.05.17
  • 조회수 2745

[말 거는 한겨레] 언론 바우처, 실험해 보자 / 이봉현

의 후원 페이지. 월 10달러의 정기적인 후원을 권하고 있다. 가디언은 디지털 콘텐츠를 유료화하는 대신 질 높은 뉴스로 독자에게 만족감을 줘서 후원을 받는 전략을 채택했다. 이를 통해 100만명 이상의 후원회원을 모집했다. ...

  • HERI
  • 2021.05.10
  • 조회수 2380

공유경제의 시대에 특허는 공유하면 안되나요?

[이재우의 산업혁신 톺아보기] 게티이미지뱅크 특허하면 우리는 2차 산업혁명 시대의 혁신 아이콘인 에디슨을 떠올린다. 그리고 그가 백열전구, 축음기 등을 비롯해 1100여개의 특허를 가졌다는 이야기 속에서 우리는 자연스럽게 ...

  • HERI
  • 2021.04.29
  • 조회수 2700

‘추격 시대’의 R&D 시스템, ‘추월 시대’에 맞게 새 틀 짜자

[이재우의 산업혁신 톺아보기] 우리나라의 달라진 위상에 맞게 기존 R&D 시스템의 틀을 새로 짜야 할 시점이다. 픽사베이 1970년대 아이들의 희망 직업을 물어보면 대통령 아니면 과학자였다. 그것은 아마 ‘로보트 태권V’...

  • admin
  • 2021.03.24
  • 조회수 2942

노동자의 삶 보장해야 산업 구조조정이 활성화된다

[이재우의 산업혁신 톺아보기] 기업 퇴출 없는 산업혁신은 불가능하다 혁신은 항상 앞만 보고 간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산업혁신을 이야기하는 사람들은 새롭게 만드는 것을 중요시하고 창업을 혁신의 핵심이라고 본다. 그러나 한...

  • HERI
  • 2021.03.05
  • 조회수 2845

[한귀영의 프레임 속으로] 쿠팡은 그나마 낫다니

한귀영 ㅣ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십수년간 프리랜서 영화감독으로 일한 후배 제이(J)가 인생 2막을 위해 선택한 직업은 쿠팡맨이었다. 입사 직후 그는 자신을 ‘로켓 제이’로 불러달라며 호기를 부렸다. 주문한 다...

  • HERI
  • 2020.06.05
  • 조회수 4643

[한귀영의 프레임 속으로] 50대의 선택, 국가의 효능감

한귀영 ㅣ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지난 총선 더불어민주당의 180석 차지라는 압도적 승리에는 50대의 지지가 결정적이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출구조사에서 50대는 더불어민주당 49.1%, 미래통합당 41.9% 지지로 밝혀,...

  • HERI
  • 2020.05.11
  • 조회수 48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