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칼럼

“사회적 경제에 금융을 흐르게 하라”

admin 2021. 06. 03
조회수 2020
[문진수의 사회적 금융 이야기]
혹독한 경제상황 속에 싹틔운 따뜻한 금융
돈이 위기 극복하고 지역 번영에 기여해야

다양한 사회적 경제 형태 품을 수 있는 금융
사회적 금융 중개기관과 도매기금 역할 중요

언스플래쉬
언스플래쉬

일반 금융이 수익성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사회적 금융’은 사회문제를 혁신적이고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해결하는 곳에 자금을 융통한다.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은 사회적 금융 분야의 쟁점과 과제를 짚고 공론화 작업을 벌여온 문진수 서울신용보증재단 상임이사의 글을 격주로 싣는다. 문 상임이사는 에듀머니 대표, 사회적금융연구원 원장 등을 지냈으며, <돈의 반란: 디플레이션 시대의 공동체 생존 전략, 대안화폐>, <금융, 따뜻한 혁명을 꿈꾸다: 더 나은 금융 질서를 위한 실험과 도전 그 혁신 이야기> 등의 저서와 논문을 냈다.

익히 잘 알려진 사실이긴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역사나 규모에서 사회적 경제 영역의 성지(mecca)라 불릴만한 곳이 세 개 있다. 스페인의 몬드라곤, 이탈리아의 에밀리아 로마냐, 캐나다 퀘벡이 바로 그 곳이다. 이들은 어떻게 사회적 경제를 자원 순환과 경제의 근본 원리로 삼을 수 있었을까? 열쇠는 사회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열악한 상황 때문이었는지도 모른다. 혹독한 환경에서 서로 돕고 협력하는 것만이 생존하는 길임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역사 속에 이른바 경제의 혈관이라 불리는 금융이 기여한 바가 무척 크다. 흥미로운 사실은, 세 곳에서 활용했던 금융수단 및 구조가 각기 상이하다는 점이다. 몬드라곤은 은행을 통해, 로마냐는 다양한 기금을 통해, 퀘벡은 신협(신용조합)이 핵심적인 금융 기제로 작용했다.

몬드라곤이 ‘은행’이었던 이유는 단순하다. 당시 신용조합들이 개인들을 상대로만 거래를 해서 협동조합(법인)에 자금을 제공해줄 수 있는 금융기구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렇게 만들어진 것이 노동금고(Laboral Kutxa)다. 1959년에 설립된 노동금고는 몬드라곤 공동체에 다양한 협동조합들이 만들어지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만일 이 은행이 없었다면, 1980년대 초반의 대침체기에 상당수 협동조합들이 경영난에 봉착했던 위기상황을 돌파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에밀리아 로마냐에 기금이 활성화된 것은, 당시 이탈리아 전반적으로 유럽의 다른 나라에 비해 은행 시스템이 덜 발달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협동조합들끼리 다양한 기금을 만들어 운영하는 방식이 자리를 잡게 되었다. 1886년에 설립되어 현재까지 이 지역 협동조합들의 맏형 역할을 하고 있는 레가코프(legacoop)가 대표적인 사례다. 레가코프 협동조합은 단위 협동조합들이 모은 돈으로 발전기금을 만들어, 협동조합들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퀘벡 지역에 신협이 발달하게 된 이유는, 연 3000%에 달하는 대부업체들의 살인적 고금리에 시달리는 지역주민들의 고통을 덜기 위한 자구책으로, 신용조합 모델이 오래 전부터 자리를 잡았기 때문이다. 1900년에 설립되어, 지역 최대 금융그룹으로 성장한 데자르뎅(Désjardin) 신협이 대표적 사례다. 데자르뎅은 1930년 대공황 하에서도 무너지지 않고 오늘날 북미 최대의 신용협동조합으로 성장했다. 돈은 지역과 사회, 세계의 번영에 기여해햐 한다는 것이 데자르뎅의 핵심가치다.

그렇다면 한국적 맥락에서 사회적 경제 영역 발전에 필요한 금융수단은 무엇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은행, 기금, 신용조합이 모두 필요하다. 사회적 경제를 지원하는 전문은행은 없고, 기금은 아직 걸음마 수준이며, 신협은 협동조합으로서의 정체성을 회복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주류 금융업은 번성할지 모르지만, 사회적 경제 발전에 필요한 금융은 빈곤한 수준이다.

사회적 금융(social economy for social finance)이 활성화되려면 무엇보다 금융을 중개하는 지원기관들이 늘어나야 한다. 정부에서 기금을 만들어 지원하는 방법도 있지만, 법 제도적 한계로 기금 운영이 지나치게 경직되어 있다. 따라서 사회적금융을 전문으로 다루는 다양한 중개기관들을 발굴, 육성해 제도권 내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중개기관들에게 필요한 자금을 제공해주는 도매기금의 역할도 중요하다. 대표적인 도매기금인 사회가치연대기금의 경우, 재원 부족으로 사회경제 조직들에게 충분한 자금을 공급해주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민간 투자자들이 이 시장에 들어와 자유롭게 투자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해줄 필요가 있다. 사회적 금융 생태계를 조성하는데 정부의 역할만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Social Investment 10 years on. 출처: FINAL REPORT OF THE SOCIAL INVESTMENT TASK FORCE APRIL 2010.
Social Investment 10 years on. 출처: FINAL REPORT OF THE SOCIAL INVESTMENT TASK FORCE APRIL 2010.


사회투자시장이 잘 발달된 영국의 경우, 처음 10년 동안 기부(grant)부터 지분투자(equity)까지, 비영리재단부터 사모펀드까지 넓은 영역에 걸쳐 중개기관을 육성하는 데 힘을 쏟았다. 이들이 시장에서 자리를 잡자, 도매기금(Big society capital)을 만들어 본격적으로 자금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결과적으로, 중개기관들이 사회적 경제 조직들에게 맞춤형 금융지원을 함으로써 제3섹터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음은 물론이다.

문진수 서울신용보증재단 상임이사


원문보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997664.html#csidx9772a0961cff8d98a31774dc42afc50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기능차별 어려워진 스마트폰 성숙기 새 경쟁

스마트폰은 디지털 세상의 풍경을 바꾼 혁신의 상징이다. 2007년 아이폰 이후 스마트폰 업체들은 해마다 새 모델을 통해 혁신 경쟁을 벌여왔고, 기술과 보급률은 빠르게 올라갔다. ‘생필품 스마트폰’은 어떠한 차별화를 지향할...

  • HERI
  • 2021.08.23
  • 조회수 1846

[말 거는 한겨레] 한국언론과 ESG 경영 / 이봉현

기후환경 분야 정상회의로 5월 말 열린 ‘2021 피포지(P4G) 서울 정상회의’에 깜짝 등장한 ‘김갑생할머니김’의 이에스지(ESG) 경영 선포 영상. 시가 총액 500조원, 코스피 1위의 가상기업 김갑생할머니김의 이호창 본부장은 기...

  • HERI
  • 2021.08.18
  • 조회수 1701

사회적경제 기업은 비옥한 금융 생태계에서 자란다

[문진수의 사회적 금융 이야기] 신생 기업 저비용 자금 조달받는 ‘메자닌 금융’처럼 사회적경제 기업 성장할 수 있는 임팩트 투자 늘려야 사회 투자자에 인센티브 주거나 기업 수익 일정 부분 사회 투자 강제하는 법 등 정...

  • HERI
  • 2021.08.12
  • 조회수 1533

‘촉매 자본’으로 금융사에 ‘넛지 전략’ 펼치자

[문진수의 사회적 금융 이야기] 금융소외 계층 구제 위해 정부가 시장에 개입하듯 사회·환경 가치 큰 사업 위한 촉매기금 조성 필요 사회적 가치 창출 무관심한 금융사에 인내 자금 제공해 더 나은 사회 위한 협력 파트너십...

  • HERI
  • 2021.07.29
  • 조회수 1991

[유레카] 비운의 브로드피크 / 구본권

8000m대 봉우리 14좌 중 사람 발길에 너그러운 곳은 없다. 한국인 최초로 14좌에 오른 박영석 대장이 2011년 숨진 안나푸르나1봉(사망률 25%)을 비롯해, 등반 사망률이 10~20%를 넘는 곳이 숱하다. 파키스탄-중국 경계를 이루는 ...

  • HERI
  • 2021.07.28
  • 조회수 1946

[말 거는 한겨레] “현장에 가봤어?” / 이봉현

부동산 투기 의혹으로 지난달 말 사퇴한 김기표 청와대 반부패비서관이 2017년 매입해 보유하고 있던 경기도 광주시 송정동의 토지. 도로가 바로 앞에서 끊겨 건축이 가능하지 않은 ‘맹지’이지만, 주변의 개발 상황 등을 면밀...

  • HERI
  • 2021.07.22
  • 조회수 1807

[유레카] 해고된 휴머노이드 로봇 ‘페퍼’ / 구본권

로봇이 실험실을 나와 영업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바리스타 로봇, 서빙 로봇, 안내 로봇이 속속 배치되고 있다. 인건비 절감과 서비스 효율화를 내거는 만큼 일자리 불안이 뒤따른다. 일본 소프트뱅크 로보틱스는 2014년 휴머노...

  • HERI
  • 2021.07.20
  • 조회수 1945

우리도 독일처럼…‘에너지 은행’ 정부가 나서서 만들면 어떨까

문진수의 사회적 금융 이야기 독일, ‘에너지 전담 은행’ 통해 신재생 에너지 정책 실행에 앞장 서 ‘기후악당’ 국가 선정된 한국도 은행 설립 등 적극적 전략 마련해야 독일재건은행 누리집 (www.kfw.de) 은퇴한 60대 부부가...

  • HERI
  • 2021.07.15
  • 조회수 2208

내 돈에 꼬리표가 달려 있다면?

[문진수의 사회적 금융 이야기] 네덜란드 트리오도스·독일 지엘에스 등 고객에 투자처 묻거나 공익 창출 분야에만 투자 사회적 가치 중시하는 40개국 65개 ‘착한 은행’ 경제·사회·환경 지속가능성 고민하며 윤리적 금융 생태계...

  • HERI
  • 2021.07.01
  • 조회수 2067

[유레카] 알고리즘 인식과 인간 인식의 차이 / 구본권

퇴사율은 기업 생산성과 직결되는 만큼, 기업은 채용 때 오래 근속할 직원을 선호한다. 미국의 사무기기 업체 제록스는 퇴사율을 낮추기 위해 퇴직 가능성이 높은 구직자를 알려주는 소프트웨어를 도입했다. 분석결과 통근 거리...

  • HERI
  • 2021.06.30
  • 조회수 1898

[말 거는 한겨레] 왜, 이준석을 내려놨나 / 이봉현

최근 이준석의 국민의 힘 대표 당선이 갖는 의미를 분석한 한겨레 티브이 <논썰> 프로그램 화면 이봉현 ㅣ 저널리즘책무실장 (언론학 박사) 30대 당대표 이준석은 한국 정치에 돌풍을 일으켰다. ‘이준석 현상’에 주목하는 언...

  • HERI
  • 2021.06.28
  • 조회수 1667

“관계금융 실현하는 지역밀착 공공은행 만들자”

[문진수의 사회적 금융 이야기] 신용정보 낮은 청년, 매출실적 낮은 성장 잠재력 있는 기업은 기존 금융에서 금융 서비스 이용 어려워 도약 어려운 악순환 지역에 뿌리내리고 정성적 정보 종합판단하는 관계금융 절실 지역밀착...

  • HERI
  • 2021.06.17
  • 조회수 2033

“동의없는 이용자 추적 차단” 인터넷 서비스 대세될까?

애플 ‘프라이버시 강화안’ 파장 이용자 90% ‘앱 추적 차단’ 선택 “이용자식별 관뚜껑 못질한 셈” 애플 선공에 인터넷 사업모델 흔들 페이스북 ‘반발’, 구글은 ‘따라하기’ ‘초기설정’ ‘개인정보 자기결정권’ 정보주체...

  • HERI
  • 2021.06.14
  • 조회수 1859

SNS ‘사진 태그’ ‘위치정보’는 해커의 ‘먹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링크 스크랩 프린트 글씨 키우기 보이스 피싱을 막기 위해 홍보를 강화하고 은행 출금 때 다양한 안전장치를 거치도록 하고 있지만, 메신저 피싱은 오히려 늘고 있다. 지난해 가족·지인을 사칭한 메신저...

  • HERI
  • 2021.06.14
  • 조회수 1563

[유레카] ’메타버스’의 무한성과 유한성 / 구본권

‘메타버스’는 미국의 과학소설 작가 닐 스티븐슨이 1992년 <스노 크래시>에서 ‘아바타’와 함께 처음 사용한 말인데, 최근 널리 쓰이고 있다. 초월을 의미하는 ‘메타’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를 합성해 만든 ‘메타버스...

  • HERI
  • 2021.06.10
  • 조회수 2213

“사회적 경제에 금융을 흐르게 하라”

[문진수의 사회적 금융 이야기] 혹독한 경제상황 속에 싹틔운 따뜻한 금융 돈이 위기 극복하고 지역 번영에 기여해야 다양한 사회적 경제 형태 품을 수 있는 금융 사회적 금융 중개기관과 도매기금 역할 중요 언스플래쉬 일반...

  • admin
  • 2021.06.03
  • 조회수 2020

“정책 효과성 높이려면 공적집단의 소명의식 회복해야…”

[이재우의 산업혁신 톺아보기] 훌륭한 정책과 정부의지 높아도 실현은 난항 이익집단의 이해관계에 ‘포획’된 공적집단 합종연횡하며 정책결정이나 실행 연기되기도 실행 난항 극복하고, 실행 효과성 높이려면 경제·사회 전반 고려...

  • HERI
  • 2021.05.31
  • 조회수 2109

‘사이버 인질극’이 바꿀 인터넷 구조

[유레카] 신종 인질극이 잇따르고 있다. 범인들은 인질극 몇시간 만에 수십억원의 몸값을 챙겨 흔적 없이 사라진다. 지난 7일 미국 동부지역 석유 공급의 45%를 담당하는 송유관 운영회사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은 해커 집단 ‘다...

  • HERI
  • 2021.05.24
  • 조회수 1907

애플 에어태그 ‘위치추적’ 실시간 미행·스토킹 우려

애플이 4월30일 개당 3만9000원에 출시한 위치추적용 액세서리 에어태그. 애플 제공 “열쇠를 어디 뒀더라” 더이상 건망증을 탓하지 않게 만들 똑똑한 위치알리미가 등장했다. 애플은 지난달 30일 위치 추적용 소형 액세서리 ‘...

  • HERI
  • 2021.05.17
  • 조회수 2280

[말 거는 한겨레] 언론 바우처, 실험해 보자 / 이봉현

의 후원 페이지. 월 10달러의 정기적인 후원을 권하고 있다. 가디언은 디지털 콘텐츠를 유료화하는 대신 질 높은 뉴스로 독자에게 만족감을 줘서 후원을 받는 전략을 채택했다. 이를 통해 100만명 이상의 후원회원을 모집했다. ...

  • HERI
  • 2021.05.10
  • 조회수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