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위원회’란 기관을 운용한다. 우리도 관련 법에 “행정기관 소관 사무에 대한 자문, 조정, 협의, 심의 또는 의결 등을 하기 위해 이루어진 합의제 기관”으로 규정한, 이른바 ‘행정기관위원회’를 다양하게 갖추고 있다. 기능에 따라 규제개혁위원회와 같은 독자 권한을 행사하는 행정위원회도 있지만, 대다수는 대통령과 정부를 지원하는 자문위원회다. 대체로 정부위원과 민간위원으로 꾸려져 있다.
행정안전부 통계를 보니, 문재인 정부의 행정기관위원회는 2018년 6월 말 현재 총 558개에 이른다. 대통령 소속이 19개, 국무총리 소속은 56개, 중앙 부처 소속은 483개다. 이 가운데 대통령 소속 위원회들은 그 위상에 걸맞게 우리 사회의 핵심 의제를 다룬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일자리위원회, 4차산업혁명위원회, 정책기획위원회, 국가균형발전위원회 그리고 최근 출범한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등이다.
최근 몇몇 위원회를 두고 뒷말이 많다. 특히 이들 기관에 참가한 민간위원들의 성토가 심심찮게 나온다. 우선, 정부위원들의 불출석이 다반사라 전체회의가 제때 열리지 않기 일쑤란 지적이 있다. 기껏 회의가 열려도 민간위원들이 돌아가며 한마디씩 던지고 끝나기 십상이란 자조도 불거진다. 무엇보다 중장기 정책비전 마련이란 위원회의 목적에 걸맞은 일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은 대통령과 정부가 경청해야 할 대목이 아닐 수 없다.
한겨레에서 보기: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72024.html#csidx0cd896f7150cb4484543a9423464be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