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칼럼

00501790_20181028.JPG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내가 사는 지역에 ‘게이티드 커뮤니티’ 분양 광고가 떴다. ‘대문을 잠근 동네’라는 뜻일 텐데, 첨단 경비시스템을 통해서 주민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주거형태라고 한다. ‘그들만의 리그’로 살고 싶다는 욕망을 반영한 셈일 텐데, 이곳이 눈길을 끄는 이유는 상류층도 아니고 중산층을 겨냥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의 극심한 주거 불평등, 자산 양극화가 이제는 중산층을 향해서 공간 분리라는 방식으로 더 노골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보인다.

자산이 불평등을 확대하는 주된 요인이라는 점은 국가통계와 국민의 인식 등 여러 측면에서 확인된다.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엠브레인의 10월6~7일 조사(800명)에 의하면 불평등이 가장 심각한 분야로 응답자의 약 절반(48.9%)이 부동산 등 자산 격차에 따른 불평등을 꼽았다. 24.4%는 ‘부모의 재력에 따른 불평등’을 꼽았다. 자산 불평등과 부의 대물림이 이 시대 불평등의 진원지임을 확인해주는 결과다.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이 국세청 과세자료를 근거로 분석한 자료도 동일한 결론에 이른다. 근로소득을 따로 추린 지니계수는 0.471이었으나 여기에 자산 보유에서 발생하는 소득을 합칠 경우엔 지니계수가 0.520으로 심각한 수준에 이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현대 자본주의는 이제 중세 세습사회의 문턱까지 역행했다는 비판도 나온다. ‘제9회 아시아미래포럼’에서 기조 발제를 맡은 토마 피케티 프랑스 파리경제대학 교수의 진단이 대표적이다. 그는 저서 <21세기 자본>에서 상층 자산계급이 자산의 대부분을 독점하고 상속·증여를 통해 불평등을 확대재생산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자산은 정치·사회적인 의식, 태도에도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 앞의 조사에서 67%는 ‘복지가 확대되면 내 삶이 좋아질 것’이라 답했지만 집이 많을수록 이런 기대는 뚝뚝 떨어졌다. 무주택자의 복지 기대감은 72.2%였지만, 1주택자 65.5%, 2주택자 58.3%, 3주택 이상 다주택자 55% 순으로 기대감이 하락했다. 흥미로운 것은 미래 집값에 대한 기대감에 따라 복지 기대감도 달라진다는 점이다. ‘집값이 낮아지는 게 좋다’는 응답층에서는 복지 기대감이 70%에 이른 반면, ‘오르는 게 좋다’는 응답층에서는 43.3%에 그쳤다.

예상한 대로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는 다주택자로 갈수록 높았다. 무주택자는 19.8%만 ‘현재 수준 또는 상승’을 선호하고 80.2%는 ‘낮아지는 게 좋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1주택자는 37.4%, 2주택자 51.4%, 3채 이상 다주택자 75%가 ‘현재 수준 또는 상승’을 기대했다.

집이 생겨 사적 자산 축적의 길에 접어들면 집값 상승에 대한 욕망도 높아지는 반면, 공적 복지에 대한 기대감은 반비례해 낮아진다. 왜 ‘사적 자산 기반 복지’에 대한 기대감이 공적 복지보다 훨씬 강한 것일까? 두 측면에서 보아야 한다. 첫째, 한국의 공적 복지 수준 자체가 낮은데다 그 수준이 높아지리라는 기대, 신뢰가 낮기 때문이다. 둘째, 이러니저러니 해도 결국 사적 자산 축적을 조장하는 정권들을 겪어온 역사적 체험 때문이다. 물론 둘은 연관되어 있다.

사적 자산 기반 복지로 성장해온 사회에서 “내 집 값만은 오르면 좋겠다”는 욕망은 평범하다. 그리고 몹시 파괴적이다. 평범한 생활인을 파괴적 투기꾼으로 만드는 것은 결국 공적 복지를 약속하던 정치세력에 대한 낮은 신뢰 때문이다. 부동산대책만으로는 부동산을 못 잡는 이유이기도 하다.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 센터장 hgy4215@hani.co.kr



한겨레에서 보기: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한귀영의 프레임 속으로] 길 잃은 문재인 정부, 내년 총선은 어디로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여기 두개의 지표가 있다. 83%에서 44%, 12%에서 24%. 앞의 것은 1년 사이에 반토막 난 문재인 대통령 지지율이고, 뒤의 것은 같은 기간 곱절로 뛴 자유한국당 지지율이다. 갤럽의...

  • admin
  • 2019.05.03
  • 조회수 4191

[유레카] ‘부양의무제’ 폐지의 가치론 / 이창곤

1537년 로마 교황 바오로 3세는 한 칙령을 내린다. “인도인이나 흑인, 아메리카 대륙의 토착민들도 인간이다.” 이 칙령이 시사하는 바는 당시까지, 아니 그 이후에도 한동안 유럽인들에게 ‘그들’은 인간이 아니었다는 뜻이다...

  • admin
  • 2019.04.18
  • 조회수 4304

[한귀영의 프레임 속으로] 보궐선거에서 표출된 엄중한 민심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4·3 국회의원 보궐선거가 범여권과 자유한국당의 무승부로 끝났다. 민주당은 2017년 대선 이후의 압도적 우위 체제가 끝났고, 자유한국당은 쇄신 없는 반사이익만으로는 지지층 확장에 ...

  • HERI
  • 2019.04.05
  • 조회수 4092

[유레카] ‘가짜 보수’의 몽니/ 이창곤

시사평론가 김용민은 한때 한국의 보수를 네가지로 유형화했다. 모태보수, 기회주의 보수, 무지몽매 보수 그리고 자본가 보수다. 모태 보수는 “돈과 기득권을 갖춘 집안에서 자라온 사람들”이고, 기회주의 보수는 “어떤 계기에...

  • HERI
  • 2019.03.28
  • 조회수 4699

[유레카] 금강산관광, 새 북-미 대화의 ‘킹핀’ / 이창곤

 금강산은 우리에게 이제 선녀와 나무꾼의 전설이 깃들어 있는 기암괴석의 천하명승만을 뜻하지 않는다. 금강산은 남북관계에서 “민족 화해, 협력의 체험장”이었다. 남북의 노동자, 농민, 청년학생, 여성 등 각계각층이 이곳에서...

  • HERI
  • 2019.03.12
  • 조회수 4058

[한겨레 프리즘] 청년 이슈에 대한 태도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20대 남성의 보수화’를 둘러싼 논란이 갈수록 뜨겁다. 이 현상의 핵심에 20대 남성의 ‘역차별 인식’이 있다. 최근 20~30대 청년 1000명을 대상으로 한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

  • HERI
  • 2019.02.25
  • 조회수 4646

[유레카] 핀란드 ‘기본소득 실험’ 반응 톺아보기

지난 주말 기본소득이 반짝 회자되었다. 핀란드가 이태 동안 벌인 기본소득 실험의 ‘예비결과’(1차 결과)를 발표했기 때문이다. 압축하면 이렇다. “기본소득은 2017년 자료만 볼 때 수령자들의 고용을 불러일으키는 데는 의미있...

  • HERI
  • 2019.02.13
  • 조회수 4895

[한겨레 프리즘] 핵심 지지층이 떠나고 있다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손혜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목포 원도심 차명 투기 의혹, 같은 당 서영교 의원의 재판청탁 의혹을 놓고 논란이 뜨겁다. 두 사안이 다르고, 손 의원의 경우는 논쟁적 요소가 꽤 있...

  • HERI
  • 2019.01.23
  • 조회수 4685

[유레카] “국민 삶의 변화, 지금 뭘 하면 됩니까?” / 이창곤

정책은 정부의 구체적인 행동지침이다. 집행 순간부터 다수 국민의 삶에 크고 작은 영향을 끼친다.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도 있지만, 허점으로 인해 위험에 빠뜨리는 것도 있다. 갈등을 일으키고 엄청난 예산 낭비를 ...

  • HERI
  • 2019.01.16
  • 조회수 4600

[한겨레 프리즘] 20대 남성의 반문정서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20대 남성층에서 문재인 대통령 지지율이 가장 낮다는 조사 결과가 화제다. 리얼미터의 17일 발표에 따르면 20대 남성의 문 대통령 지지율은 29.4%로 전체 남녀별 연령집단 중 가장...

  • HERI
  • 2018.12.26
  • 조회수 5503

[유레카] 노조 할 권리와 ILO 기본협약 비준 / 이창곤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지난 10월 서울 새문안로 에스타워 앞에서 ‘국제노동기구(ILO) 핵심협약 비준과 입법과제 연내처리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우리나라 최초의 노동조합은 두량군(斗量軍)으로...

  • HERI
  • 2018.12.26
  • 조회수 4879

[유레카] 문재인 정부의 ‘위원회’ 살펴보기 / 이창곤

지난해 10월11일 서울 상암동 에스플렉스센터에서 열린 4차산업혁명위원회 출범식에서 참석자들이 출범을 축하하는 박수를 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오늘날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위원회’란 기관을 운용한다. 우리도 관련 법에...

  • HERI
  • 2018.11.29
  • 조회수 4601

[한겨레 프리즘] 을과 을의 공정성 전쟁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근년 한국 사회를 달군 가장 뜨거운 열쇳말 중 하나는 공정성이다. 정유라의 이대 부정입학에 대한 분노가 나비효과를 일으켜 문재인 정부 출범을 이끈 동력 중 하나가 되었다. 역설...

  • HERI
  • 2018.11.20
  • 조회수 5533

[토요판 커버스토리] 피케티 “불평등에 눈감은 정치, 그 블랙박스 열고 싶어”

[토요판] 커버스토리 ‘불평등 연구자’ 토마 피케티 자본>으로 파장을 불러일으킨 토마 피케티 프랑스 파리경제대 교수가 4년만에 한국을 다시 찾았다. 그가 새로 던진 화두는 ‘불평등의 정치’였다. 지난 30일 <한겨레>는 그를...

  • HERI
  • 2018.11.05
  • 조회수 5166

[유레카] 불평등의 심리학 / 이창곤

왜 적잖은 사람들이 끼니를 채우고도 먹는 것을 멈추지 못하는가? 미국의 정신의학자 로저 굴드는 인간에게는 몸속 위장이 아닌 ‘유령위장’이 따로 있다고 본다. 그는 비만 환자들을 접하면서, 식탐은 배고픔만이 아니라 무기...

  • admin
  • 2018.11.05
  • 조회수 5980

[한겨레 프리즘] 평범한 이들의 투기 욕망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내가 사는 지역에 ‘게이티드 커뮤니티’ 분양 광고가 떴다. ‘대문을 잠근 동네’라는 뜻일 텐데, 첨단 경비시스템을 통해서 주민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주거형태라고 한다. ‘그들만...

  • HERI
  • 2018.10.29
  • 조회수 4811

‘암수살인’과 잊혀질 권리

[구본권의 스마트 돋보기] 지난주 개봉한 영화 <암수살인>은 개봉을 앞두고 ‘잊혀질 권리’와 관련한 법적 다툼이 진행되어 화제였다. 범죄가 발생했지만 신고와 주검 등이 없어 수사가 이뤄지지 않고 용의자 신원파악도 되지 않...

  • admin
  • 2018.10.18
  • 조회수 5415

[유레카] 커뮤니티 케어 / 이창곤

커뮤니티케어의 목표 및 기대효과. 자료: 사회보장위원회 (* 누르면 확대됩니다.) 가족들이 귀가하면 꽁무니를 쫓아다니면서 쉴 새 없이 말을 쏟아내던 당신이었다. 하루는 피를 토해 온몸을 적셔 병원으로 이송된 뒤로 말을 잃...

  • HERI
  • 2018.10.16
  • 조회수 5128

[한겨레 프리즘] 지지율, 급한 불은 껐지만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던 문재인 대통령 지지율이 평양 정상회담을 계기로 61%까지 반등했다. 북-미 정상회담과 지방선거 압승 직후인 6월 둘째 주 갤럽 조사에서 79%까지 치솟았던 지...

  • HERI
  • 2018.10.10
  • 조회수 4806

[유레카] ‘포용국가’가 현실이 되려면 / 이창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6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2018 포용국가전략회의에서 김연명 국정과제지원단장의 발표를 들은 뒤 손뼉을 치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윌리엄 베버리지가 ‘복지국가의 아버지’로 추앙받는 ...

  • HERI
  • 2018.09.20
  • 조회수 50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