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칼럼

[유레카] 참여정부 기시감 / 이창곤

admin 2018. 07. 30
조회수 5133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오후 경기 성남시 분당서울대병원 헬스케어혁신파크 의료기기 규제혁신 현장에서 소아당뇨를 앓고 있는 정소명 학생에게 야구공을 선물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오후 경기 성남시 분당서울대병원 헬스케어혁신파크 의료기기 규제혁신 현장에서 소아당뇨를 앓고 있는 정소명 학생에게 야구공을 선물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기시감. 요즘 세간의 모임에서 자주 듣는 단어다. 이 세 음절은 문재인 정부를 가리킨다. 현 정부의 양태가 한반도 평화 조성이라는 성과에도 과거 노무현 정부의 전철을 밟고 있지 않는가라는 우려가 요지다. 집권 2년 차에 접어들었지만 재벌개혁과 비정규직 등 경제사회개혁의 핵심과제에서 뚜렷한 성과가 없는데다, 최저임금 등의 현안을 두고선 노동조합과의 관계가 악화하는 등의 상황이 참여정부 때 정책 실패의 모습과 닮아가는 게 아니냐는 것이다. ‘의료기기 규제 완화’ 정책은 이런 우려가 공연한 기우만이 아님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례다.


‘재정(중심)의 덫’에서 한 발짝도 벗어나지 못하는 듯한 모습에선 그 심각성이 더하다는 진단도 나온다. 보유세와 금융소득 과세 등 세제개편과 여러 사회정책 개혁과제에 속도 조절과 재정이란 이름으로 제동을 거는 기획재정부의 태도가 기시감을 증폭한다는 것이다. 기재부 패싱이 아니라 기재부 방치가 문제라는 지적이다. 아무리 화려한 사회정책 비전도 재정의 덫에서 벗어나지 않고선 구체적인 진전을 이뤄낼 수가 없다. 게다가 아직도 의미 있는 삽을 못 뜬 국정과제도 부지기수다. 지난 18일 지식인 일동의 “사회정책 포기 우려” 선언은 이런 상황을 토양으로 해 나왔다.


문재인 정부는 촛불 정부로서 ‘나라를 나라답게’ 만들어야 하는 임무를 부여받았다. 이 역사적 임무는 응당 대통령과 청와대 보좌진, 행정부처 수장 등이 앞장서 이뤄내야 한다. 그렇지만 이 임무를 그들이 독점할 필요는 없다. 그래서도 곤란하다. 현 정부와 청와대가 ‘참여정부 기시감’에서 벗어나는 출발점은 아마도 이런 인식을 바탕으로 시민 및 지식인 사회 등 ‘외부’와 더 자주 그리고 더 많이 소통하고 더 넓게 연대하는 것이 아닐까.


이창곤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장 겸 논설위원 goni@hani.co.kr


한겨레에서 보기: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55342.html#csidxaf72cc91116f2ed95c4af562a0ec762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한겨레 프리즘] 연금을 둘러싼 세대전쟁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국민연금이 세대갈등의 전장이 되고 있다. 불확실한 노후 대비를 위한 핵심적인 사회안전망으로서 세대간 연대에 기초하는 제도가 세대갈등 프레임으로 위협받고 있다. 온갖 비판에도 불...

  • HERI
  • 2018.08.27
  • 조회수 5723

[유레카] 참여정부 기시감 / 이창곤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오후 경기 성남시 분당서울대병원 헬스케어혁신파크 의료기기 규제혁신 현장에서 소아당뇨를 앓고 있는 정소명 학생에게 야구공을 선물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기시감. 요즘 세간의 모임에서 자주 듣는 ...

  • admin
  • 2018.07.30
  • 조회수 5133

[한겨레 프리즘] 지지율 하락과 호들갑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문재인 대통령 지지도 하락세가 심상치 않다. 지난주 갤럽 조사에서는 62%로 나타나 지방선거 직후에 비해 17%포인트 떨어졌다. 하락의 이유는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 대선에서...

  • admin
  • 2018.07.30
  • 조회수 4654

[유레카] 재정개혁안 유감 / 이창곤

강병구 재정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오른쪽 둘)이 지난 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재정개혁특위 대회의실에서 열린 전체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백소아 기자 thanks@hani.co.kr “두려움은 직면하면 그뿐, 바람은 계산하는 것이 ...

  • HERI
  • 2018.07.05
  • 조회수 5348

[한겨레 프리즘] 진보 우위 시대의 도래?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6·13 지방선거로 유권자들은 자유한국당으로 대표되는 보수정치세력을 사실상 퇴출시켰다. 이제 진보 우위의 시대가 열린 것일까? 선거 결과를 보면 진보 우위는 쉽사리 변하지 않을 불...

  • HERI
  • 2018.07.03
  • 조회수 5196

경제위기 10년, 자본주의 쿠오바디스?

[책과 생각] 이봉현의 책갈피 경제 메뚜기와 꿀벌-약탈과 창조, 자본주의의 두 얼굴 제프 멀건 지음, 김승진 옮김/세종서적(2018) 2008년 10월 리먼브라더스의 붕괴로 본격화한 금융위기가 발생한 지 10년이 되어간다. 도산과 실직...

  • HERI
  • 2018.06.22
  • 조회수 5215

[유레카] 가계소득지표 논란의 핵심 논점 / 이창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5월 29일 청와대 여민1관 소회의실에서 김동연 경제부총리를 비롯한 경제 관련 부처 장관들이 참석한 가운데 가계소득동향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청와대제공 시선이 온통 북-미 정상회담에 쏠려 있지만...

  • HERI
  • 2018.06.19
  • 조회수 5199

[한겨레 프리즘] 청년, 왜 평화에 냉담한가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6·13 지방선거에서 이슈가 실종되었다고들 한다. 한반도 평화 이슈의 영향력이 워낙 막강한 탓이다. 대통령 지지도가 70%를, 여당 지지도가 50%를 넘다보니 야당의 단골 이슈인 정부여당...

  • HERI
  • 2018.06.05
  • 조회수 5218

[유레카] 실시간 인기검색어 / 구본권

한성숙 네이버 대표가 지난 5월9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3분기(7~9월)부터 모바일 첫 화면에서 뉴스와 실시간 검색어를 빼는 것을 포함한 뉴스 서비스 개편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네이버 제공 네이버가 3분기부터 모바일 ...

  • HERI
  • 2018.06.05
  • 조회수 4868

[책과 생각] 피케티가 말하는 불평등의 정치

[책과 생각] 이봉현의 책갈피 경제 애프터 피케티 토마 피케티 외 25인 지음, 유엔제이 옮김/율리시즈(2017) 정치경제학자 토마 피케티(파리경제대 교수)는 18세기부터 현재까지, 20여개국의 조세 자료로 ‘부익부’의 불평등 구조를...

  • HERI
  • 2018.05.29
  • 조회수 6389

[유레카] 핀란드의 기본소득 실험 / 이창곤

핀란드 기본소득 실험 설계자인 올리 캉가스는 최근 서울을 찾아 “기본소득 실험 결과는 2020년에야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캉가스 제공 핀란드가 2017년 1월부터 시행해온 기본소득 실험을 2019년 1월로 끝낸다. 이 사실을 ...

  • HERI
  • 2018.05.23
  • 조회수 5946

[한겨레 프리즘] 시간을 거스르는 지지율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취임 1주년을 맞은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이 83%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갤럽의 지난주 발표다. 전임 대통령 모두 취임 1주년에는 지지율 하락으로 국정 동력이 떨어진 것과 대비...

  • HERI
  • 2018.05.08
  • 조회수 5376

[유레카] 판문점 회담과 포용의 힘 / 이창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7일 경기 파주시 판문점 군사분계선을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함께 넘고 있다. 한국공동사진기자단 이보다 더 감동적인 평화 드라마가 있었던가? 두 손을 맞잡고 높이 5㎝의 작은 콘크리트 턱에 불과...

  • HERI
  • 2018.05.02
  • 조회수 5220

공유경제는 자본주의의 미래인가

이봉현의 책갈피 경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공유경제 아룬 순다라라잔 지음, 이은주 옮김/교보문고(2018) 출근길, 꽉 막힌 도로에 붙잡혀 있자면 “다들 왜 ‘나 홀로’ 차에 앉아 이 고생을 하나”하는 생각에 한숨이 나온다. ...

  • HERI
  • 2018.04.24
  • 조회수 6878

[한겨레 프리즘] 문 대통령 고공지지율 지속될까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문재인 정부 출범 1년이 다가온다. 전임 두 대통령도 정권 초기에 인사 난맥으로 지지율이 하락했다. 문재인 대통령도 인사문제로 몇차례 곤욕을 치렀지만, 지지율은 여전히 70%대로 ...

  • HERI
  • 2018.04.17
  • 조회수 4888

[유레카] ‘국격에 맞지 않는 사회지표’ / 이창곤

자료: 보건복지부 한 사회 시민의 삶의 질은 사회지표를 통해 가늠해볼 수 있다. 빈곤율, 자살률, 출산율 등 각종 사회지표는 시민이 얼마나 안전한 삶을 누리고 건강한 환경에 놓여 있는지를 보여준다. 최근 한 정부 자료를...

  • admin
  • 2018.04.13
  • 조회수 6169

[유레카] 복지체감도가 낮은 이유 / 이창곤

문재인 정부의 ‘범부처 사회서비스 발전방향’ 개요 자료: 보건복지부 대한민국은 경제만큼이나 복지도 압축성장했다. 기초생활보장제도, 건강보험과 국민연금 등 4대 사회보험에 이어 노인장기요양보험까지 두루 갖췄다. 제도적 틀...

  • HERI
  • 2018.03.14
  • 조회수 7004

[한겨레 프리즘] 20대에 대한 예의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달동네 꼭대기 집 꼭대기 층이었다. 우리집을 지나면 산이 시작됐다. 내 신혼도 거기서 시작됐다. 결혼 자금은 20대의 알바 저축이었다. 있는 집 자식이 아니라면 사정은 얼추 엇비슷...

  • HERI
  • 2018.03.13
  • 조회수 5426

덩케르크 뒤엔 옥쇄당한 병사 4천명이 있었다

미덕의 경영 노나카 이쿠지로 · 곤노 노보루 지음, 정선우 옮김/에버리치홀딩스(2009) 요즘 입소문이 난 영화 <다키스트 아워>를 봤다. 지난해 여름에 본 <덩케르크>의 무대를 해협 건너편으로 옮긴 듯, 제2차 세계대전 초기 영국...

  • admin
  • 2018.02.23
  • 조회수 6114

[유레카] 비전 ‘사회보장 2040’ / 이창곤

지난 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사회보장위원회 회의에서 보고된 비전 ‘사회보장 2040’ 구상 개념도. 자료: 사회보장위원회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윌리엄 베버리지는...

  • admin
  • 2018.02.20
  • 조회수 66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