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경제] 두 전직 대통령이 외로웠던 이유
등록: 2010.04.05 수정: 2014.10.20 김대중 전 대통령은 ‘우리나라에 위기가 닥쳤는데… 아무것도 할 수 있는 게 없다’는 말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노무현 전대통령은 ‘나로 인해 고통 받는 사람이 너무 많다’는 글을 마...
|
[착한경제] 마케팅전략 관점에서 본 ‘김민선-미국산 쇠고기 소송’
등록: 2010.04.05 수정: 2014.10.20 ‘김민선 소송’이 지난해 회자된 적이 있다. 2008년 배우 김민선이 미니홈피에 올린 미국산 쇠고기 관련 글 등을 문제 삼아 미국산 쇠고기 수입 유통업체인 에이미트가 3억 원의 손해배상청구...
|
[착한경제] 미디어법과 제주 영리병원, ‘주식회사’라는 신흥종교
등록: 2010.04.05 수정: 2014.10.20 입법기관에서 벌어진 미디어법 파동과 제주 영리병원 파문을 지켜보면서, 한국 사회에 뿌리깊게 박혀 있는 신흥 종교를 하나 발견했다. 바로 ‘주식회사’로 대표되는 영리기업의 효율성에 대한 ...
|
[착한경제] 한국 대학생, '88만원 세대'에 머물러 있을 거니?
등록: 2010.04.05 수정: 2014.10.20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 노리단의 공연 모습 88만원 세대. 지금 한국 20대에게 주어진 '오명'입니다. 한 세대의 이름이 이렇게 치욕적으로 붙여진 일은 없습니다. 'X세대'라든지, '베이비붐 ...
|
[착한경제] 신영복 교수가 '착한 기업가' 교육에 나선 까닭 - 사회적기업가학교에 초대합니다
등록: 2010.04.05 수정: 2014.10.20 성공회대 신영복 석좌교수를 아시지요? 저서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이나 '강의-나의 동양고전 독법'으로 유명한 분이시지요. 민주화 운동에 몸담았다가 옥고를 치르는 불운을 겪고 나서, ‘신뢰...
|
[착한경제] 1년간 백화점도 할인점도 가지 않는다면?
등록: 2010.04.05 수정: 2014.10.20 1년간 할인마트도 백화점도 가지 않고, 쇼핑을 끊으면 내 삶은 어떻게 될까? 사람들이 투표할 때의 마음가짐으로 살 물건을 고르면 세상은 어떻게 변할까? 소비를 빼놓고 현대 사회를 이야기...
|
[착한경제] '친환경 녹색 비닐봉지'는 친환경일까
등록: 2010.04.05 수정: 2014.10.20 제주도에 다녀왔습니다. 공항에서 선물이라도 하나 살까 하고 두리번거리다 보니, '친환경 공항마트'라는 간판이 눈에 띄더군요. 제주 특산물을 파는 곳이었습니다. 한라봉도 있고 귤도 있고… ...
|
[착한경제] 루이뷔통이 U2 보노와 손잡은 까닭 - ‘친환경’은 사치재와 잘 어울릴까?
등록: 2010.04.05 수정: 2014.10.20 불황은 시장의 'green' 트렌드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요? 소비자들은 친환경 제품을 더 많이 사게 될까요, 그렇지 않을까요? <월스트리트저널> 아시아 주말판에서는 불황인 지금이 친환경 생산자...
|
[착한경제] 트위터나 페이스북은 돈을 벌 수 있을까?
등록: 2010.04.05 수정: 2014.10.20 파이낸셜타임스에서 페이스북 및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대한 심층 분석 기사를 한 면에 걸쳐 다뤘습니다. David Gelles가 쓴 글인데요. 몇 가지 재미있는 포인트가 있어서 정리해 봅니다. 특히...
|
[착한경제] 트위터와 싸우지 말라, 미래와 싸우지 말라.
등록: 2010.04.05 수정: 2014.10.20 나는 요즘 트위터에 흠뻑 빠져 있다. 엠비에이 학위를 함께 했던 중국 벤처기업가 친구와도 트위터로 이야기를 나누고, 노벨경제학상을 탄 폴 크루그먼 교수의 소식도 트위터로 받는다. 피겨스...
|
[착한경제] 착한 소비-불황기의 새로운 소비 트렌드
등록: 2010.04.05 수정: 2014.10.20 스타벅스는 '커피가 아니라 문화적 체험을 판다'고 하면서 성공한 기업입니다. 주요매장을 장악하는 부동산 전략도 유명하지요. 그런 스타벅스가 요즘은 좀 어렵다고는 하더군요. 한국에서 스타벅...
|
[착한경제] '경영 교과서' GM의 몰락
등록: 2010.04.05 수정: 2014.10.20 [한겨레=그래픽 홍종길 기자 jonggeel@hani.co.kr] #장면 1. 영업부 김 대리는 늘 불만이다. 불경기인 요즘, 그는 늘 영업 현장에서 고객 기업 구매담당자들에게 굽실거리는데도 목표실적 맞추...
|
[착한경제] 어린이날, 꽃에 얽힌 돈 이야기를 떠올리다
등록: 2010.04.05 수정: 2014.10.17 지난해 어린이날, 모처럼 가족들과 서울 근교에서 열린 한 바자회에 나들이를 갔습니다. 꽃이 가득 피어 있었고, 꽃처럼 예쁜 어린아이들이 정신 없이 뛰어다니는, 아름다운 곳이었습니다. 운 ...
|
[착한경제] 구글, 마더 테레사, 폴 뉴먼의 공통점
등록: 2010.04.03 수정: 2014.10.17 Paul Newman(affaire de couronne deThomas, from Flickr.com) 돈 버는 사람은 돈을 버는 일만 했다. 세상은 그들을 기업가라고 불렀다. 착한 일을 하는 사람은 착한 일만 했다. 세상은 그...
|
[착한경제] 오바마노믹스의 본질
등록: 2010.04.01 수정: 2014.10.17 2009년 4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약속했던 두 가지 획기적인 일을 실행에 옮겼다. 우선 백악관에 ‘사회혁신실’(Office of Social Innovation)을 설치하고, 미국진보센터와 구글을 거...
|
[착한경제] '투자에도 만유인력의 법칙이' 아이작 뉴턴의 주식투자
등록: 2010.04.01 수정: 2014.10.17 '주식투자에도 만유인력의 법칙을'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한 근대 물리학의 아버지 아이작 뉴턴은 ‘남해회사’(South Sea Company)라는 ‘매우 유명한’ 주식의 투자자였다. 그런데 영국 남해회...
|
[착한경제] 낯선 외국 조직과 10분만에 파트너십 이루기
등록: 2010.04.01 수정: 2014.10.17 ‘파트너십’이라는 단어는 낯설지 않습니다. 영리와 비영리간 파트너십이 필요하다, 비슷한 미션을 가진 사회적기업이나 NPO끼리 파트너십이 필요하다는 등 많은 이야기를 듣지요. 하지만 어떤 ...
|
[착한경제] 스타벅스 구조조정이 슬픈 이유
등록: 2010.04.01 수정: 2014.10.16 2008년 4분기에 1억 2천만 달러(약 1800억 원)의 영업이익을 낸 기업이 있다. 리먼브러더스의 파산으로 시작해 금융시장이 요동을 치면서, 시장 참여자 모두가 공황 상태에 빠져 있던 시기였다...
|
[착한경제] MBA 2.0이 필요하다
<iframe frameborder="0" scrolling="yes" style="width: 100%; height: 100%;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iframe> 등록: 2010.04.01 수정: 2014.10.16 전세계의 각종 비영리 사업을 위해 제가 조달해 준 자금이 지금까지...
|
[착한경제] 화려하던 MBA의 시대는 갔다?!
등록: 2010.04.01 수정: 2014.10.16 사람은 누구나 지울 수 없는 '시그널'을 달고 삽니다. 그것은 국적이나 출신지역이기도 하고, 피부색이기도 합니다. 출신학교의 이름이기도 하고, 부모님의 직업 및 사회적 지위이기도 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