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칼럼

등록: 2010.08.18 수정: 2014.11.11


최신 경영 지식이 머리 속에 가득하다. 각종 취업 훈련 프로그램에서 익힌 이력서 작성과 인터뷰 기술도 수준급이다. 그러면 그 사람은 노동시장에서 충분히 준비된 전사일까?


유감스럽게도 그렇지 않다. 숫자가 보여준다.


미국의 각종 조사에서는 취업자의 25%~50%가 개인적 친분을 통해 일자리를 찾은 것으로 나타난다. 지난 20년 동안 이 수치는 점점 높아지고 있다.


물론 미국 아닌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다. 한국과 문화가 비슷한 일본에서는, 도쿄지역 전업자의 70%가 개인적 친분으로 취업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좋다. 그럼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특히 경력자 노동시장에서는 더욱 그렇다. 말이 좋아 네트워크지, 한국말로 인맥 아닌가. 그런데 인맥을 누구나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특정 학교, 특정 지역 출신들만 직장을 구할 수 있는 것일까? 누구나 취업을 위해서는, 사람들과 어울리는 데 많은 시간을 보내는 '마당발'형 인간이 되어야 하는 것일까?


약한 고리 이론


걱정하지 말라. “약한 고리”(Weak tie)이론이 있다. 이런 난관에 부닥친 사람에게 희망을 주는 연구 결과다.


마크 그래노비터는 1973년 저명한 사회학 저널인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에 “약한 고리의 강한 힘”(Strength of Weak Ties)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조사해 봤더니, 개인적 인맥을 통한 취업자가 많은 것은 사실이다. 그런데 그 인맥이 이른바 “강한 고리”(strong tie)의 인맥이 아니라 “약한 고리”의 인맥이었다는 것이다.


강한 고리란 아주 강한 관계로 얽힌 인맥을 말한다. 아주 친한 친구이거나, 학교 동기동창이거나, 부모나 형제나 사촌처럼 가까운 친척이다. 약한 고리는 훨씬 약한 관계로 얽힌 인맥이다. 친구의 친구이거나, 파티에서 한 번 만나 담소를 나눈 사이라거나, 취미활동 동아리에서 몇 번 만나 함께 활동한 사이 정도다.


연구 결과 실제 채용 결정 순간에는 강한 고리보다 약한 고리가 훨씬 더 강한 힘을 발휘했다. 약한 고리는 공식적 지원서보다도 더 강한 힘을 발휘했다.


이유는 간단했다. “강한 고리” 인맥이 추천한 사람의 경우, 채용 담당자는 추천의 객관성을 의심하게 된다. 우리 회사 직원이 자기 동생을 추천했다면, 일단 참작을 하고 심사 대상에는 올릴 것이다. 그러나 동생에 대한 형의 평가는 도저히 객관적이라고 받아들일 수 없다. 그래서 그 평가를 제외하고 나면, 졸업장이나 학점 같은 객관적 수치만 남는다. 추천인 없이 공식적으로 지원한 사람과 큰 차이가 없어지게 되어버리는 것이다.


약한 고리는 다르다. 회사 마케팅 담당자가 파티에서 한 번 만나 음료수를 들고 선 채 5분 동안 나눈 최신 마케팅 기법 관련 대화에서 좋은 인상을 받은, 졸업을 앞둔 MBA학생이라면, 아주 좋은 입사 후보자로 일단 평가된다. 둘 사이의 친분이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오히려 객관적 평가라는 인상을 주는 것이다. 그 좋은 평가를 더하면, 졸업장이나 학점 같은 객관적 수치에 가산점을 얻어 다른 지원자들보다 유리해진다는 것이다.


파티 자본주의와 회식 자본주의


이런 결과는 미국 특유의 ‘파티 자본주의’의 당연한 결과일 수도 있다.


한국 사회는 회식 자본주의다. 역사는 밤에 이루어진다. 새로운 수주 계약도 회식 술자리에서 결정되고, 승진 후보자도 회식 술자리에서 결정되고, 업무 협의도 회식 술자리에서 이뤄진다.


미국 사회에서는 파티가 한국 사회의 회식에 해당한다. 대신 회식과 파티는 다른 점이 많다.


일단 파티장에는 의자가 몇 개 없다. 큰 테이블 위에 음식과 음료수만 주욱 늘어서 있다. 음료수와 스낵을 들고 선 채 이리저리 돌아다니며 마음이 맞는 사람과 이야기를 나누고, 조금 시간이 지나면 자리를 옮겨 또 다른 사람과 다른 이야기를 나눈다. 이렇게 정신없이 5~10분씩 이야기하는 가운데 아이디어가 교환되고, 역사가 이루어진다.


이런 이유로 MBA과정에서도 수많은 파티를 준비한다. 때로는 학교 동문들과의 모임이기도 하다. 만나기 쉽지 않은 다른 학년 동료들과의 파티이기도 하다. 때로는 과학이나 인문학 같은, 전혀 다른 전공을 가진 학생들과 만나는 자리이기도 하다.


그러다 보니 일자리가 파티를 통해 결정되는 일도 잦다. 파티에서 동문과 우연히 만나 나눈 몇 마디 이야기가 일생일대의 승부처인 MBA 졸업 직후 취업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사업 아이디어가 많은 공학도와 만나 함께 MBA졸업 뒤 창업을 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요즘은 한국사회에서도, 약한 고리의 힘을 종종 발견하곤 한다. 과거처럼 학연이나 지연을 통해 구축된 인맥이 아니라, 봉사활동이나 클럽활동, 또는 세미나 등에서 만나 맺어진 인연이 취업으로 이어지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자, 다시 ‘네트워크’ 이야기로 돌아가 보자. 그렇다. 인맥은 중요하다. 그런데 여기서 인맥이란 가벼운 인맥을 말한다. 꼭 고등학교 동창일 필요도 없고, 고향 친구일 필요도 없다. 그저 얼굴을 알고 좋은 아이디어를 교환할 수 있는 사이라면 그게 자신의 인맥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열린 마음


결국 취업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열린 마음이다. 전혀 모르는 외국사람이라도, 관심사가 전혀 다르고 전공이 다르고 나이 차이가 많은 사람들에게라도 먼저 다가가 친근하게 말을 건네며 공통점을 찾을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는 이야기다. 물론 여기 필요한 의사소통 능력은 미리 갖춰 두고 있어야 한다.


이런 인맥을 만들기 위해 새로운 모임에 계속 관심을 갖고 참석해야 한다. 취미 클럽활동은 아주 중요하다. 전공공부 스터디 모임이나 사회문제 토론 모임도 좋다. 동기생들과의 저녁 파티도 빼놓을 수 없다.


이 때 중요한 것은, 정작 활동에는 관심이 없으면서 오직 ‘인맥’을 위해 이들 모임을 이용하면 절대로 안된다는 것이다. 자신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자신에게 잘 맞는 모임을 찾아 활동해야 한다. “약한 고리” 인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객관적 평판이다. 사람을 취업에 이용하려고 한다거나, 활동 자체에는 무능한데 인맥만 넓히려고 든다거나 하는 인상은 평판에는 오히려 감점 요인이다.


한번 만나 의미있는 이야기를 한 마디라도 나눈 사람이라면, 그 사람은 나의 인맥이라고 여기는 것도 중요하다. 언제든 연락을 취할 수 있는 사이, 즉 “Stay in touch mode”를 유지해야 그 사람이 나의 인맥이다.


그리고 결정적인 순간이 다가와 내 인맥에게 다가갈 때도, “약한 접근”으로 시작하는 게 필수적이다. “저, 제가 갈 만한 일자리를 갖고 계신가요?”라는 말은 상대방이 약한 고리마저 끊어 버리게 만든다. “당신이 일하는 업종에 관심이 있는데, 어떻게 접근을 시작해야 할까요?”하는 식으로 이야기를 시작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서로에 대해 최대한 조심하고 객관적이려고 노력하는 것, 이게 바로 약한 인맥의 미덕이다.


* 졸저 ‘MIT MBA 강의노트’의 일부를 수정 보완한 글입니다.
단행본 공개 프로젝트의 일환입니다.


이원재 한겨레경제연구소 소장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착한경제] 한-EU FTA 읽는 법

등록: 2010.10.11 수정: 2014.11.11 한국과 유럽연합(EU)이 자유무역협정(FTA)에 서명했다. 언론에는 국책연구소 보고서를 인용한 전망이 넘쳐난다. 국민총생산(GDP)가 10년간 5.6%가 늘어난다는 둥, 무역수지 144억달러 흑자 효과가 ...

  • HERI
  • 2014.11.11
  • 조회수 5019

[착한경제] 소비, 어떤 기준으로 하시나요?

등록: 2010.10.06 수정: 2014.11.11 “본인은 소비를 실질적으로 하나, 이념적으로 하나” 최근 이마트 피자가 인기리에 판매되면서 트위터에서 벌어진 일부 누리꾼들과의 설전 중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이 되물은 말입니다. 정용진 ...

  • HERI
  • 2014.11.11
  • 조회수 5878

[착한경제] 부동산 문제의 근원적 해법은?

등록: 2010.10.05 수정: 2014.11.11 부동산 시장을 살리겠다며 정부가 야심차게 내놓았던 ‘8.29대책’이 애꿎은 서민들만 잡고 있습니다. 매매시장은 살리지도 못하면서 되레 전셋값 상승만 더 부추겼다는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습니...

  • HERI
  • 2014.11.11
  • 조회수 4433

[착한경제] 윤리적 소비? 정용진, 조국, 공병호에 답하다

등록: 2010.09.29 수정: 2014.11.11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 조국 서울대 교수. 공병호 공병호경영연구소장. 세 명은 각각 한국의 대표 유통기업의 최고경영자, 인권과 법에 대한 국내 최고 논객, 대중에게 가장 많이 사랑받는 자...

  • HERI
  • 2014.11.11
  • 조회수 7426

[착한경제] '남자의 자격' 박칼린의 리더십

등록: 2010.09.27 수정: 2014.11.11 커다란 강당을 메운 관객들 앞에서 합창이 끝나자마자 합창단은 눈물바다가 됐다. 한국방송의 예능프로그램 '남자의 자격'의 '남자 그리고 하모니'의 마지막, 여덟 번째 편에서 지켜본 광경이었...

  • HERI
  • 2014.11.11
  • 조회수 6116

[착한경제] “위기 다시 오지만 살 길은 있다”

등록: 2010.09.16 수정: 2014.11.11 “우리는 위험한 시대에 살고 있다. 구조적인 문제점들이 여전히 위기를 불러오고 있으며, 위기의 여파로 전 세계 국가와 경제가 흔들리고 있다. 국가의 적절한 개입으로 금융시스템의 신뢰성이...

  • HERI
  • 2014.11.11
  • 조회수 4755

[착한경제] 왜 일본에는 싱크탱크가 불가능한가?

등록: 2010.09.10 수정: 2014.11.11 이 글은 일본의 대표적 싱크탱크 연구자인 스즈키 다카히로(죠사이 국제대학대학원 객원교수)의 책 <일본에 민주주의를 일으켜 세운다(日本に「民主主義」を起業する : 自伝的シンクタンク論、第一書...

  • HERI
  • 2014.11.11
  • 조회수 6823

[착한경제] 돈, 어떻게 바라봐야 하나?

등록: 2010.09.07 수정: 2014.11.11 “부자들의 배를 불려주면 물이 아래로 흐르듯이 언젠가는 돈이 똑똑똑 한 방울씩 지옥까지 떨어져서 가난한 사람들의 바짝 마른 입술을 적셔줄 것이다. 그러니 부자들이 더 많이 돈을 쓸 수...

  • HERI
  • 2014.11.11
  • 조회수 4696

[착한경제] 기업 책임 평가하는 아시아의 잣대 만들다

등록: 2010.09.02 수정: 2014.11.11 8월 22일은 역사적인 날이었습니다. 한겨레경제연구소 뿐 아니라, 동아시아에서 기업의 사회책임경영(CSR)을 생각하는 전문가들에게도 그랬을 것입니다. 처음으로 한중일 CSR전문가들이 모여, 기업...

  • HERI
  • 2014.11.11
  • 조회수 4733

[착한경제] 중국의 눈으로 본 미국 싱크탱크의 '회전문'(2)

등록: 2010.09.02 수정: 2014.11.11 왕리리의 "중국의 눈으로 본 미국 싱크탱크의 회전문(원제 : 미국 싱크탱크의 회전문 '메커니즘)"의 후반부이다. 지난번 게재했던 글의 전반부가 미국 싱크탱크를 특징짓는 '회전문' 메커니즘의 ...

  • HERI
  • 2014.11.11
  • 조회수 5522

[착한경제] 중국의 눈으로 본 미국 싱크탱크의 '회전문'(1)

등록: 2010.08.26 수정: 2014.11.11 이 글은 브루킹스연구소의 방문연구자로 있는 왕리리가 쓴 글로, 2010년 3월 17일 <사상고(思想库)>에 실린 것이다. 이미 왕리리의 글은 몇차례 번역, 소개한 바 있고, 바로 앞서 "중국과 미...

  • HERI
  • 2014.11.11
  • 조회수 6352

[착한경제] 둘이 버는 데 왜 빚에 쪼들릴까?

등록: 2010.08.24 수정: 2014.11.11 "오늘날 평균적인 맞벌이 가정은 한 세대 전에 혼자 벌던 가정보다 훨씬 더 많은 돈을 번다. 그러나 일단 주택담보대출, 자동차 할부금, 세금, 보육비 등을 지불하고 나면 오늘의 이중소득 ...

  • HERI
  • 2014.11.11
  • 조회수 4555

[착한경제] 누가 유기농을 멍들게 하는가

등록: 2010.08.24 수정: 2014.11.11 세계의 유기농을 선도하는 캐나다 밴쿠버 주변을 이달 중순에 다녀왔다. 대산농촌문화재단과 한국을 대표하는 유기농업인 13명과 함께, 더없이 알찬 경험을 했다. 대규모 과수농장, 병충해 방지시...

  • HERI
  • 2014.11.11
  • 조회수 4153

[착한경제] 취업시장, 약한 인맥의 강한 힘

등록: 2010.08.18 수정: 2014.11.11 최신 경영 지식이 머리 속에 가득하다. 각종 취업 훈련 프로그램에서 익힌 이력서 작성과 인터뷰 기술도 수준급이다. 그러면 그 사람은 노동시장에서 충분히 준비된 전사일까? 유감스럽게도 그...

  • HERI
  • 2014.11.11
  • 조회수 6954

[착한경제] 집값 하락세 속 '막차' 조심!

등록: 2010.08.17 수정: 2014.11.11 요즘 집이 팔리지 않는다고 아우성입니다. 특히 새 집 입주를 앞두고 살던 집을 팔아야 하는 사람들은 속이 바짝 타들어가고 있다고 합니다. 입주기간을 넘기면 연 20~30%이상의 높은 연체 ...

  • HERI
  • 2014.11.11
  • 조회수 4389

[착한경제] 풍년에 시름하는 농민, “유기농이 답이오”

등록: 2010.08.16 수정: 2014.11.11 흙살림의 이태근(52) 회장. 이태근과 흙살림은 한국 유기농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이름이다. 유기농 운동 초기인 1990년대 초반, 한국형 유기농 기술의 체계적인 개발에 나섰다. 이태근이 세...

  • HERI
  • 2014.11.11
  • 조회수 5178

[착한경제] 한 마디의 충고

등록: 2010.08.16 수정: 2014.11.11 올 여름휴가 회심의 피서지는 과천시민회관 빙상장이었다. 푹푹 찌는 더위에 얼음이 가득한 곳에서, 일에 찌든 몸을 스케이트에 실어 단련시킬 수 있는 곳. 게다가 내 휴가의 최대 고객인 아...

  • HERI
  • 2014.11.11
  • 조회수 4651

[착한경제] 오래된 노래 ‘동반성장’ 부활의 조건

등록: 2010.08.10 수정: 2014.11.11 “대기업과 각을 세우더라도 윗목(서민)을 따뜻하게 하겠다.” 얼마 전 이명박 대통령은 이렇게 말한 뒤 사상 최고의 실적을 내고 있는 대기업에 ‘사회적 책임’을 강조했습니다. 그리고 정부는...

  • HERI
  • 2014.11.11
  • 조회수 5007

[착한경제] 미국을 대하는 중국의 '이중적' 태도

등록: 2010.08.05 수정: 2014.11.11 미국의 대표적인 싱크탱크 가운데 하나인 <새로운 미국재단(New American Foundation)>의 스티븐 클레몬스가, 지난 7월 22일 <외교(The Diplomat)>에 게재한 글이다. 중국에 잠시 체류하는 동...

  • HERI
  • 2014.11.11
  • 조회수 4952

[착한경제] 세상을 바꾸기 위해 꼭 필요한 것

등록: 2010.08.03 수정: 2014.11.11 “나치의 인종대학살이나 남아공·미국 등의 인종차별 정책이 버젓이 행해진 데는 이 끔찍한 범죄에 가담하거나 뒷짐 지고 방관한 사람들이 있었다. 반면 그 범죄행위에 맞서 싸우고 희생자를 ...

  • HERI
  • 2014.11.11
  • 조회수 4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