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칼럼

등록: 2010.11.01 수정: 2014.11.11


이 글은 왕후이야오(王辉耀)가 상해금융법률연구원(上海金融与法律研究院)이 운영하는 <思想库>에 2010년 9월 7일자로 게재한 것이다(그러나 글이 쓰여진 시점은 2009년으로 보인다). <사상고>는 중국 싱크탱크의 현황과 고민, 제안을 다채롭게 접할 수 있는 사이트이며, 이미 몇차례 여기에 실린 글들을 '착한경제 블로그'에 번역게재한 바 있다. 저자는 중국과세계화 연구중심(中国与全球化研究中心, Center for China & Globalization) 주임(主任)이며, 구미동학회(欧美同学会) 부회장을 맡고 있기도 하다. 2009년 중국 베이징에서 열렸던 세계 싱크탱크 회의(Global Think Tank Summit)에 참가하면서, 본인이 느낀 바와 중국 싱크탱크의 나아갈 길에 대해 담담히 서술한 글이다. 번역은 남혜선씨께서 해 주셨다. 늘 좋은 글을 번역해 주시는 남혜선씨께 감사드린다.

 

------------------------------------------------------------

 

중국 싱크탱크의 발전, 그 막중한 임무와 머나먼 여정


왕후이야오(王辉耀)

 

‘싱크탱크’ 중국인의 시야에 들어오다

 

올해 들어 ‘싱크탱크’라는 단어가 중국인의 시야에 자주 나타나고 있다. 올해 초 쩡페이옌 전 부총리가 세운 중국국제경제교류중심(中國國際經濟交流中心, China Center For International Economic Exchange)-원문에는 国际经济合作学会라고 나오는데 쩡페이옌이 세운 건 国际经济合作学会이 아니라 中國國際經濟交流中心이다. 그리고 国际经济合作学会라는 명칭을 가진 싱크탱크는 없고 中国国际经济合作学会라는 명칭의 싱크탱크는 있는데 이곳은 쩡페이옌이 주축이 된 곳이 아닌 걸로 보인다 전후 맥락을 고려하여 번역에서는 中國國際經濟交流中心으로 하였다.(역자+감수자)-이 올 하반기 성대한 규모의 글로벌싱크탱크서밋(Global Thinktank Summit)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당시 리커창(李克強)[1] 국무원 부총리를 포함한 중국 정부 고위 관료들이 직접 참석하기도 했다. 이는 중국 정부가 중국의 지식계와 전 세계에 보낸 중요한 신호, 즉 중국 정부가 싱크탱크와 같은 비정부, 비영리조직에 높은 관심을 갖고 있으며, 앞으로 이런 조직의 발전을 추진하겠다는 결심을 드러내는 메시지였다. 거대 언론사들이 관련 보도를 내보내고, 싱크탱크라는 개념이 보급되면서 중국 사회에서 싱크탱크에 대한 전에 없던 관심이 일어났다. 나 또한 중국과세계화연구중심(中國與全球化研究中心, Center For China&Globalization)을 대표해 베이징에서 열린 글로벌싱크탱크서밋에 참여했고, 함께 참석한 브루스킹스연구소(Brookings Institution), 미국외교협회(Council on Foreign Relation), 카네기국제평화재단(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과 같은 전세계 유명 싱크탱크의 대표들과 만나 교류할 기회를 얻었으며, 이를 통해 느낀 바가 많았다.


당시 내 감회는 글로벌싱크탱크서밋이라는 행사 자체에만 국한되지 않고 중국과세계화연구중심을 설립하면서 오랫동안 경험했던 모든 것과 관련되어 있었다. 개혁개방이 30년을 맞이하면서 물질적인 면에서 중국 사회는 전 세계를 놀라게 할 만한 성취를 이루었다. 역사상 가장 화려한 올림픽을 치뤘고, 양쯔강을 교통의 요지로 변화시킨 싼샤댐(三峡)을 준공시켰다. 또한 세계 주요 언론들은 G20정상회의를 중국과 미국이 주도하는 G2라고 부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취들은 과거 30년, 특히나 하드웨어 방면에서의 성과에 속한다. 앞으로 중국 사회의 지속적인 발전과 진보는 소프트웨어 방면에서의 발전, 즉 사상, 문화교육에서의 돌파구, 정부의 정책 결정, 정책의 과학화와 합리적인 개혁 등이 핵심 요소가 되어야 한다. 중국에서 진정한 의미의 독립성을 갖춘, 수준 높은 민간 싱크탱크들이 대량으로 출현할 수 있게 되면 각 분야 인재들의 합리적인 토론과 목소리가 중국의 대내, 대외 정책 결정에 모여들어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로부터 정책 결정의 과학성과 유효성, 민주화 수준이 올라가고, 오류는 줄어들 것이다.


중국은 서양과는 사정이 전혀 다르다. 중국은 서양과는 비교할 수 없는, ‘집중된 역량으로 대규모의 일을 해내는’ 장점과 효율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정책 결정 과정이 과학적이지 못해 ‘역량의 집중’이 엄청난 손실을 불러오기도 한다. 중국에는 전문적인 능력과 ‘예비 정책’을 내놓을 수 있는 정책 연구 기구, 즉 싱크탱크가 필요하다. 중국 인민대표대회의 대표직이나 정치협상회의의 위원직은 모두 ‘겸직’의 형태로, 겸직을 하지 않는 서구의 국회의원과는 다르다. 이 때문에 사회와 국민이 누구에게 정책 연구를 위탁해야 할 것인지가 더더욱 중요하다. 나는 특히나 중국에는 일정 수준의 독립성과 민간 성격을 가진, 중립적인 제3의 연구기구, 즉 민간 싱크탱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런 민간 싱크탱크들이 중국의 발전에 지혜를 보태줘야 한다.










2009년 7월 베이징에서 열린 세계 싱크탱크 정상회의. / 중국국제경제교류중심 제공 


 선진국 싱크탱크의 막대한 영향력


많은 중국인들에게 싱크탱크는 낯선 개념이다. 하지만 서구에서는 20세기 초에 이미 싱크탱크라는 개념이 널리 보급되기 시작했다. 통계 자료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 5,465개의 싱크탱크 중 1,777개가 미국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에는 이미 전 세계에서 가장 발달된 싱크탱크 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며, 싱크탱크 운영 시스템도 이미 성숙 단계에 접어든 상태다. 이에 비해 중국의 경우 국제적으로 싱크탱크라고 인정 받을 만한 연구 기관이 겨우 74개에 불과하다.


선진국에는 싱크탱크를 입법, 행정, 사법과 병립하는 4대 기구로 보는 사람들도 있다. 이는 정책 결정 과정에서 싱크탱크가 미치는 막강한 영향을 보여준다 하겠다. 실례를 하나 들어보자. 저명한 싱크탱크인 랜드연구소(RAND Corporation)는 한국전쟁 직전 미국 정부와 군부 모두가 중국은 절대 파병하지 않을 것이라고 예견한 가운데, 훗날 사실로 증명된 자신들의 ‘출세작’을 내놓았다. 그 연구 보고서의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중국은 한반도에 파병할 것이다.” 랜드가 200만 달러에 내놓은 이 보고서를 펜타곤은 거절했지만 그 후 미국 정부는 랜드의 장기 고객이 되었다. 랜드는 이를 계기로 미국 사회에서의 자신들의 가치와 영향력을 확고히 하게 된다.


선진국의 싱크탱크들과 비교하면 현재 중국 싱크탱크들의 영향력은 함께 놓고 언급하기 어려울 정도다. 현재 중국의 싱크탱크는 95%가 비(非)민간 싱크탱크다. 국책 싱크탱크가 나쁘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비민간 싱크탱크가 대다수를 이루고 있는 현재의 상황은 민간 기업이 전무하던 계획경제 시대와 비슷하다. 싱크탱크 사이의 경쟁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중국은 다원화된, 다양한 유형의 싱크탱크를 필요로 하지만 현재 상황은 그다지 낙관적이지 않다. 예를 들면, 민간 싱크탱크는 원래 비영리조직이지만 현단계 중국은 정책적으로 민간 싱크탱크들이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 형태로 등록을 하거나 아니면 관련 정부 부문에 예속되는 형태를 취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 외에 사회 분위기도 문제가 있다. 나는 기업과 개인의 자선 활동이 꼭 도서관이나 체육 시설을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싱크탱크에 기부해 중국의 사회 공공 정책 연구 사업에 이바지하는 것도 사회에 공헌하는 길이다. 해외에서는 저명 기업가, 정계 인사들의 기부금으로 설립된 싱크탱크들을 많이 볼 수 있다. 카네기국제평화재단, 후버연구소(Hoover Institution), 카터센터(Carter Center), 닉슨센터(Nixon Center for Peace and Freedom) 등이 이에 속한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아직까지 이런 기부 사례를 볼 수 없다.


중국, 국제적인 영향력을 가진 싱크탱크가 필요하다


싱크탱크 특히나 독립성을 가진, 영리와 결부되지 않는 중립적인 싱크탱크는 중국의 민주정치개혁과 사회공공정책 분야에서 누구도 대신할 수 없는 역할을 한다.


중국의 시사잡지 <요망(瞭望)>은 2009년 첫 호에서 다음과 같이 보도했다. 개혁개방 이래, 정책 연구를 핵심으로 하면서 정부를 대상으로 한 직간적접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 ‘싱크탱크형’ 연구기관이 대략 2,000개에 달하며 중국은 수치상으로는 이미 세계에서 싱크탱크 산업이 가장 발달한 미국을 앞질렀다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이는 중국 대학이 매년 세계에서 가장 많은 ‘박사’들을 배출시키고, 중국의 과학기술 인력 규모가 세계 최대를 자랑하며, 과학기술 연구개발비가 세계 6위에 랭크되어 있는 데도 중국 본토가 이데올로기와는 아무 상관이 없는 자연과학 분야에서조차 아직도 노벨상 수상자를 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과 똑같다. 미국 펜실베니아대학이 발표한 <2008년 세계싱크탱크보고>는 국제 기준에 따를 경우 중국에는 겨우 74개의 싱크탱크가 있다고 보고 있다. 이는 아시아의 인근 국가인 인도와 일본에도 한참 못 미치는 수치다.


국제적인 이슈를 두고 각국의 싱크탱크들은 ‘책략가’로서의 면모를 발휘한다. 그러나 중국의 싱크탱크는 여러 차례 자신의 목소리를 내지 못했다. 이런 ‘민망한 침묵’을 우리는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국제적인 영향력과 공신력을 갖추지 못한 세계적인 싱크탱크의 부재는 중국 싱크탱크 발전의 가장 큰 약점이다. 대국에는 대국에 걸맞은 싱크탱크가 필요하다. 중국이 슈퍼파워로 발돋움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제적인 공신력과 영향력을 겸비한 세계적인 싱크탱크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하겠다.


중국 싱크탱크의 95%가 국책 싱크탱크인데, 이런 싱크탱크들로 대변되는 ‘소프트파워’와 중국의 종합국력이 전세계에서 차지하는 지위가 서로 부합되지 못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소프트파워’가 ‘하드파워’[2]에 한참 뒤지고 있다는 얘기다. 때문에 앞으로 중국 정부는 일련의 개혁 조치 시행을 포함해서 필연적으로 싱크탱크를 육성하게 될 것이다. 나는 다음과 같이 조언하고자 한다. 반드시 경쟁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 싱크탱크는 스스로의 규율에 따라 운영되어야 하며, 정부의 공공정책의 경우 연구 입찰 공고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 세계은행 프로젝트를 도입할 때 정부가 입찰 공고를 냈듯 말이다. 지나친 행정화는 국책 싱크탱크를 정부의 홍보 부처처럼 만들어 버릴 뿐이고, 이런 상태에서 싱크탱크는 ‘예비 정책’을 만들어내지 못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민간 싱크탱크의 발전을 크게 촉진시켜야 한다. 다수의 영역에서 국책 싱크탱크와의 공평한 경쟁을 허용해 민간 싱크탱크도 프로젝트와 연구 경비를 따낼 수 있게 해야 한다. 이런 내부 경쟁마저 없다면 중국의 싱크탱크들은 전세계 최고 싱크탱크들과 경쟁이 가능한 ‘대국의 싱크탱크’로 우뚝 설 수 없을 것이다.


(계속)




[1] 현재 중국 국무원 부총리직을 맡고 있다. 2010년 10월 18일 중국공산당 5중전회에서 시진핑 국가부주석이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으로 선출되면서 2012년 등장하게 될 중국의 차세대 지도부의 윤곽이 드러나고 있는데 대부분이 ‘시진핑 국가주석과 리커창 총리 체제’가 유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역주).

[2] ‘하드파워’는 군사력이나 경제제재 등의 물리적 힘을 뜻하며, 이에 대응하는 개념인 ‘소프트파워’는 강제력보다는 매력을 통해, 명령이 아닌 자발적 동의에 의해 얻어지는 능력으로 하버드대학교 케네디 스쿨의 조지프 나이(Joseph S. Nye)가 처음 사용했다(역주).


홍일표 한겨레경제연구소 연구위원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착한경제-아시아미래포럼] 중국 기업가에게는 ‘원죄의식’이 있다

등록: 2010.11.26 수정: 2014.11.12 “중국 민간기업 경영자들과 얘기하다 보면 일종의 ‘원죄의식’ 같은 게 있다는 걸 발견합니다. 다른 사람의 희생을 발판으로 사업을 일으키고, 법을 어겨가면서 돈을 번 어두운 기억 때문이죠...

  • HERI
  • 2014.11.12
  • 조회수 4685

[착한경제] 그 분이 오신다고요?!

등록: 2010.11.25 수정: 2014.11.12 대학시절, 함께 스터디를 하던 멤버 중에 똑똑하고 모범적인 선배가 있었습니다. 인자하고 현명해서 상담 신청을 하면 마치 자신의 일인냥 정성껏 조언해주곤 했습니다. 머리도 좋아서 공부를 ...

  • HERI
  • 2014.11.12
  • 조회수 5500

[착한경제] 한∙중∙일 기업은 서구보다 사회책임경영이 뒤떨어졌을까?

등록: 2010.11.23 수정: 2014.11.12 한겨레경제연구소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기업의 사회책임경영 연구를 벌써 3년째 진행하고 있다. 그런데 여전히 말끔히 풀지 못한 의문이 있다. 늘 한국 언론과 기업들은 '서구에서...

  • HERI
  • 2014.11.12
  • 조회수 4639

[착한경제] 스트레스, 내 안을 보라

등록: 2010.11.22 수정: 2014.11.12 '아! 스트레스 받아' 직장인이면 일주일에 몇 번 쯤은 내뱉는 말이다. 우리는 스트레스가 세계 최고 수준인 나라에 살고 있다. 얼마 전 발표된 ‘필립스 헬스 앤 웰빙 지수’에 따르면 G20...

  • HERI
  • 2014.11.12
  • 조회수 4831

[착한경제] '벤처 박사' 안철수의 성공론

등록: 2010.11.18 수정: 2014.11.12 안철수(카이스트 석좌교수)는 올바른 사람이다. 그는 원래 올바른 창업가였다. 컴퓨터 바이러스백신이라는, 세상이 없던 제품을 만드는 '안철수연구소'라는 벤처기업을 세웠고, 성공시켰다. 편법 없...

  • HERI
  • 2014.11.12
  • 조회수 4647

[착한경제-아시아미래포럼]사회적기업, 국제협력에 나서야 하는 이유

등록: 2010.11.18 수정: 2014.11.12 동아시아 3국(이하 한중일)은 상당한 경제적 성장을 이뤄냈다. 20세기 중반 패전국으로 대부분의 산업기반을 상실했던 일본은 높은 수준의 기술과 생산성에 기반한 성장을 거듭해 아시아의 거의 ...

  • HERI
  • 2014.11.12
  • 조회수 5256

[착한경제-아시아미래포럼] 사회적기업, 해외원조의 새로운 길

등록: 2010.11.18 수정: 2014.11.12 동아시아 3국(이하 한중일)은 상당한 경제적 성장을 이뤄냈다. 20세기 중반 패전국으로 대부분의 산업기반을 상실했던 일본은 높은 수준의 기술과 생산성에 기반한 성장을 거듭해 아시아의 거의 ...

  • HERI
  • 2014.11.12
  • 조회수 5730

[착한경제-아시아미래포럼] 더 나은 기업이 가능하려면

등록: 2010.11.17 수정: 2014.11.11 지난 주 열린 주요 20개국 정상회의(G20)에 대해 논란도 많았지만, 나는 내심 기대를 갖고 있었다. 주요국 경영자들이 금융위기 이전의 과거 경영 관행에서 탈피하겠다는 반성이라도 하지 않을...

  • HERI
  • 2014.11.11
  • 조회수 4906

[착한경제-아시아미래포럼] 장하준이 삼류 경제학자?

등록: 2010.11.16 수정: 2014.11.11 “삼류 잡지 에디터가 무슨 …” 장하준 교수(케임브리지대 경제학과)에 대해 서울대의 한 교수가 던진 말이라 한다. ‘삼류잡지’란 장 교수가 한 때 편집자(editor)로 활동했던 ‘케임브리지 ...

  • HERI
  • 2014.11.11
  • 조회수 6195

[착한경제-아시아미래포럼]한중일 미래 정책, 누가 이끌까?

등록: 2010.11.15 수정: 2014.11.11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아시아적 가치와 질서, 비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중·일 싱크탱크의 역할이 새삼 부각되고 있다. 정책이 위로부터 일방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시장과 ...

  • HERI
  • 2014.11.11
  • 조회수 5304

[착한경제-아시아미래포럼] G20를 넘어서려면

등록: 2010.11.12 수정: 2014.11.11 10월 초, <조선일보> 1면을 보고는 큰 한숨을 쉰 일이 있습니다. <조선일보>는 10월 '한중일 경제대전'이라는 제목의 시리즈를 진행했습니다. 첫 회 제목은 이렇습니다. "1등 하던 造船業, 中에...

  • HERI
  • 2014.11.11
  • 조회수 5035

[착한경제] 독립성은 싱크탱크의 근본

등록: 2010.11.04 수정: 2014.11.11 이 글은 왕후이야오(王辉耀)가 상해금융법률연구원(上海金融与法律研究院)이 운영하는 <思想库>에 2010년 9월 7일자로 게재한 것이다(그러나 글이 쓰여진 시점은 2009년으로 보인다). <사상고>는 중국 ...

  • HERI
  • 2014.11.11
  • 조회수 5820

[착한경제] 김성근 리더십

등록: 2010.11.03 수정: 2014.11.11 경영학 책에서는 유능한 리더를 설명할 때,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해 설명하곤 한다. 이를 테면, 위기관리에 탁월한 역량을 갖고 있는 위기관리형 리더, 조직 구성원들에게 명확한 비전을 제시...

  • HERI
  • 2014.11.11
  • 조회수 5898

[착한경제] 중국 싱크탱크의 국제적 영향력(1)

등록: 2010.11.01 수정: 2014.11.11 이 글은 왕후이야오(王辉耀)가 상해금융법률연구원(上海金融与法律研究院)이 운영하는 <思想库>에 2010년 9월 7일자로 게재한 것이다(그러나 글이 쓰여진 시점은 2009년으로 보인다). <사상고>는 중국 ...

  • HERI
  • 2014.11.11
  • 조회수 6513

[착한경제] 무상급식과 엄마의 도시락

등록: 2010.10.29 수정: 2014.11.11 지난 6월 지방 선거를 뜨겁게 달궜던 무상급식에 대한 로드맵이 일부 지자체를 중심으로 속속 발표되고 있다. 사회복지선진국이라 일컫는 스웨덴과 핀란드, 그리고 영국과 미국 등 서구 선진국...

  • HERI
  • 2014.11.11
  • 조회수 5653

[착한경제] 사랑한다면 프랑스처럼

등록: 2010.10.21 수정: 2014.11.11 정부의 연금 개혁안에 반대하는 프랑스 시위대에 고등학생들도 가세했다고 한다. 연금 받을 만큼 늙을 것이란 생각은 꿈에도 안 들 나이에 그런 정치의식이 있다는 것이 새삼스럽다. 그래도 프...

  • HERI
  • 2014.11.11
  • 조회수 4687

[착한경제] ‘값싼 제품’의 위험한 진실

등록: 2010.10.15 수정: 2014.11.11 ‘값 싸고 질 좋은 상품’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지갑을 여는 결정적인 기준입니다. 얼마 전 이마트의 ‘싸고 큰 피자’에 소비자들의 반응이 뜨거웠습니다. 지난 8월 한 달 성수점에서만 6천개...

  • HERI
  • 2014.11.11
  • 조회수 4748

[착한경제] 대형마트 김치값이 오른 진짜 이유는?

등록: 2010.10.14 수정: 2014.11.11 편의점이나 대형 할인마트에서 파는 이른바 상품김치 가격이 올랐다. 회사별로 크게는 20%, 평균 10% 가량이 올랐다. 배추, 무, 고추 등 김치에 들어가는 식재료 가격이 적게는 두 배, 많게...

  • HERI
  • 2014.11.11
  • 조회수 5514

[착한경제] 노동연구원을 양대노총의 통합연구소로?

등록: 2010.10.14 수정: 2014.11.11 현 정부 들어 국책연구소의 독립성 훼손 논란이 끊이질 않았다. 그 정점에는 한국노동연구원의 파행이 있을 것이다. 노동연구원장의 '반노동자적' 발언과 행동들이 계속되었고, 연구원 노조와의 ...

  • HERI
  • 2014.11.11
  • 조회수 6911

[착한경제] 디지털 미디어와 화목하게 살려면

등록: 2010.10.12 수정: 2014.11.11 주말을 덕유산 자연휴양림에서 보냈다. 얼마 전 까지만 해도 가기 힘든 오지의 대명사였던 무주구천동 부근의 숲 속에서 울창한 나무가 내뿜는 상쾌한 기운을 받으며 청명한 가을을 만끽했다. ...

  • HERI
  • 2014.11.11
  • 조회수 5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