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2010.10.14 수정: 2014.11.11
편의점이나 대형 할인마트에서 파는 이른바 상품김치 가격이 올랐다. 회사별로 크게는 20%, 평균 10% 가량이 올랐다. 배추, 무, 고추 등 김치에 들어가는 식재료 가격이 적게는 두 배, 많게는 세배 상승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단다.
그런데, 이런 상품김치 가격 인상이 곱게 보이지 않는 이유는 왜일까?
지난해, 국내 김치 시장의 규모는 약 2조 2523억 원으로 이 중 상품김치 시장이 차지하는 규모는 1조 767억 원에 달하고 있다. 하지만, 가정용 상품김치 시장의 규모는 2194억 원으로 전체 시장의 18%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이마저도 지난 2007년 말까지 꾸준히 증가해왔던 가정용 상품김치 시장은 2008년을 기점으로 정체기에 들어섰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게 된 배경에는 업계가 주장하는 ‘외식의 증가’와 ‘가구 당 식구 수 감소’와 같은 인구통계학적 원인 이외에도 저가 중국 김치 수입량 확대로 인한 수익성 저하, 온라인 등 유통 채널 다양화로 인한 경쟁심화 등 보다 근본적인 문제가 상존해 있다. 김치업계 전문가들이 차별화 된 제품 개발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높이는 이유와 무관치 않다. 즉, 2008년 이래로 국내 가정용 상품김치 시장은 경쟁심화와 수익성 악화라는 두 가지 난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번 10월 단행된 상품김치 가격인상이 단순히 원료 가격 상승으로 인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 아니라, 자사의 수익구조 개선을 위한 전략적 판단으로 보는 이유도 마찬가지다.
실제로, 이번 농산물 가격 상승과 김치 제조업체들의 원자재 조달 가격 상승과는 큰 상관관계가 없다. 대다수 김치 제조업체들은 배추를 비롯한 원재료 조달을 위해 직접 또는 계약재배를 하기 때문에, 일선 소비자와 같이 높은 가격에 원재료를 구입하지 않는다. 일명 밭떼기라고 불리는 방식으로 농산물을 확보하는 유통업자와 같이 유리한 가격에 원재료를 조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다. 가격 인상 시기도 석연치 않은 구석이 많다. 김치 제조업체들은 농산물 가격이 본격적으로 폭등하기 시작한 추석연휴 이후 2주가 채 지나지 않아 전격적으로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김장철도 아닌 10월 초에 김치 수요가 얼마나 증가했는지 모르겠지만, 전국 주요 대형 할인마트에 항상 차고 넘치던 김치가 순식간에 종적을 감췄다. 마치 짜고 치는 고스톱처럼.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재료 상승을 근거로 인상한 상품김치 가격을 정당화하고 싶은 김치 제조업체가 있다면 2008년과 2009년 배추가격이 폭락했을 때 왜 상품김치 가격을 내리지 않았는지 답하는 것이 우선이다.
오늘날, 김치 제조업체들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것은 사회적 분위기와 소비자들의 심리를 이용해 기업의 수익구조를 개선하기 보다는 정체 상태에 있는 상품김치 시장을 근본적으로 살릴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열악한 유통구조 때문에 소득 측면에서 불이익을 겪고 있는 농가를 위해 계약재배 방식을 개선하는 ‘공정무역’ 개념을 사업 모델에 도입하거나, 김치 소비가 저조한 세대 또는 계층을 위해 신제품 개발에 역점을 기하는 등 보다 근본적인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시간은 많지 않다. 이번 가을 이후, 농산물 가격이 안정됐을 때 이번에 올렸던 김치 가격을 그대로 유지하고 싶은 김치 제조업체들은 서둘러야 한다. 오르기만 하고 내리지 않더라도 항상 사람들이 들끓는 명품 매장처럼 명품 김치가 가득한 기업 만들기에 매진해야 한다.
서재교 한겨레경제연구소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