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칼럼

등록: 2010.10.12 수정: 2014.11.11


주말을 덕유산 자연휴양림에서 보냈다. 얼마 전 까지만 해도 가기 힘든 오지의 대명사였던 무주구천동 부근의 숲 속에서 울창한 나무가 내뿜는 상쾌한 기운을 받으며 청명한 가을을 만끽했다. 일부러 그런 곳을 찾아간 것인데도 우리는 단 하루도 바깥 세상과의 연을 끊지 못했다. 일행들은 새로 장만한 스마트폰에 대해 오래 얘기했고, 처음 보는 술의 특성을 검색해 보고, 이런 저런 인증샷을 찍어 도시의 지인에게 전송했다. 중간고사에서 해방된 기분에 인터넷과 컴퓨터 게임으로 주말을 보냈을 아이들을 염두에 둔 여행이었지만, 녀석들은 거기서도 케이블 텔레비전에 빠져 방 바닥을 뒹굴었다.


그러고 보니 주말에 들은 라디오나 돌아와 읽은 뉴스에는 인터넷 같은 새로운 미디어가 우리 사회를 어떻게 변하게 했는지를 비판적으로 다룬 내용이 여럿 있었다. 가수 태진아와 작사가 최희진 사이의 어리둥절한 공방에서부터, 가수 타블로(본명 이선웅)의 학력 논란, 걸핏하면 올라오는 ‘무슨 녀’ 시리즈의 최신판인 ‘지하철 난투극’ 동영상에 이르기까지 최근의 사례들은 최진실이 왜 죽었을까를 다시 생각하게 할 만큼 인터넷의 역기능을 부각시켰기 때문일 것이다.


문화평론가 김갑수씨는 라디오에 나와, 남의 일에 대해 스토커적인 끈질김을 가진 극히 일부 사람들이 인터넷 덕분에 수 만 명에게 영향력을 갖는 권력자로 성장했다고 진단했다. 이들의 집요함은 낚시성 제목장사로 한몫 보는 듣도보도 못한 온라인 매체와 상승작용을 하면서 인터넷을 선정과 관음, 비방의 도가니로 만들고 있다는 것이디. 여기에 부응하는 대중의 관심은 주로 유명 연예인과 스포츠 스타의 사생활, 텔레비전 드라마나 오락프로그램에 거진 다 소모되고, 정작 우리 삶을 뿌리에서부터 지배하는 정치-경제-국제적 이슈들은 공론장에서 곁방조차 얻기 힘든 처지가 됐다 것이 김씨의 걱정이었다. 한 신문은 “한번 찍으면” 끝장을 보려는 네티즌의 행태는 근본적으로 질투와 시기에서 발원해 “인터넷을 통해 집단을 이루면서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을 공격하고 확인되지 않은 이야기를 진실처럼 맹신”하는 양상을 보인다고 밝혔다. 또 다른 신문은 독일 커뮤니케이션 학자 엘리자베스 노엘레-노이만의 ‘침묵의 소용돌이 이론’(the spiral of silence theory)을 원용해 인터넷상에서 활동하는 소수의 ‘사이버 좀비’들이 다수를 침묵시키며 온라인 여론을 장악해 가는 방식이 이러하다고 주장했다.


긴장이 되는 것은 최근의 디지털 미디어 발달이 이런 변화를 가속화할 것이란 점이다. 트위터나 미투데이, 페이스북, 유튜브 같은 소셜미디어(social media)는 정보가 유통되는 속도를 몇 배는 빠르게 만들 수 있다. 최근 국내에서 사용자가 크게 늘고 있는 트위터는 평균 4명만 거치면 어떤 사용자와도 만날 수 있을 만큼 전파의 범위가 넓다. 한 사람 한 사람에게 그 만큼 강력한 정보 유통의 힘이 실린다고도 볼 수 있다. 국내의 한 연구[1]에서 리트윗 된 글은 처음에 팔로어(follower)가 몇 명인지에 관계없이 평균 1천명에게 전파되고, 리트윗도 55%가 글이 오른 지 1시간 이내에 이뤄져 비교적 신속히 전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글이 잘못돼 원본을 지운다 해도 사본은 오래도록 저장돼 작성자 의도와 관계없이 계속 퍼져나갈 수 있다.


스마트폰 사용인구가 올해 말 4백 만 명, 내년 말에 국민 5명 당 1명꼴인 1천 만 명에 이르고, 소셜미디어 사용자도 그런 속도로 급증하면, 인터넷 시대와는 또 다른 삶의 양식과 소통 방식이 보편화될 것이다. 개인은 다양한 사람과 관계를 맺고 관심 영역을 넓힐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사생활이 노출되고 무차별로 공격 당할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기업에겐 새로운 마케팅 광장이 펼쳐진 셈이지만, 어쩌다가 좋지 않은 평판이 돌기 시작하면 걷잡을 수 없게 될 지도 모른다. 십 수 년 전 낙동강에 유독성 패놀을 흘려 보내 큰 곤욕을 치른 한 대기업의 경험은 파장의 확산속도와 충격이란 면에서 그저 ‘아날로그 시대’의 추억이 될 지도 모른다.


우리가 인터넷, 디지털 미디어와 더불어 어떻게 잘 살아야 하는 지는 더 이상 미뤄둘 수 없는 숙제로 다가왔다. 우리는 그 동안 기술의 새로움을 경탄하거나 산업적 가능성을 주로 부각해 왔다. 기술 발달이 인간을 해방시키고 자유롭게 할 것이란 암묵적인 전제가 깔려있다. 기술결정론일 수도 있는 데, 사실 기술은 우리를 해방시킬 수도 또 다른 속박을 가져올 수도 있다. 트위터에 인기인의 사생활을 근거 없이 들추는 글이 확산될 때도 있었고, 잃어버린 어린이를 찾는 글이 리트윗 될 때도 있었다. 지금 필요한 것은 디지털 미디어 발달에 대한 사회적, 인간적인 측면의 관심과 이해다.  기술적-산업적인 관심에 비할 때 여전히 많이 미약하다.


[1] 곽해원 등 (2010), ‘트위터, 소셜네트워크인가 뉴미디어인가?’ (What is Twitter, a Social Network or a News Media?)


이봉현 한겨레경제연구소 연구원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착한경제-아시아미래포럼] 중국 기업가에게는 ‘원죄의식’이 있다

등록: 2010.11.26 수정: 2014.11.12 “중국 민간기업 경영자들과 얘기하다 보면 일종의 ‘원죄의식’ 같은 게 있다는 걸 발견합니다. 다른 사람의 희생을 발판으로 사업을 일으키고, 법을 어겨가면서 돈을 번 어두운 기억 때문이죠...

  • HERI
  • 2014.11.12
  • 조회수 4685

[착한경제] 그 분이 오신다고요?!

등록: 2010.11.25 수정: 2014.11.12 대학시절, 함께 스터디를 하던 멤버 중에 똑똑하고 모범적인 선배가 있었습니다. 인자하고 현명해서 상담 신청을 하면 마치 자신의 일인냥 정성껏 조언해주곤 했습니다. 머리도 좋아서 공부를 ...

  • HERI
  • 2014.11.12
  • 조회수 5500

[착한경제] 한∙중∙일 기업은 서구보다 사회책임경영이 뒤떨어졌을까?

등록: 2010.11.23 수정: 2014.11.12 한겨레경제연구소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기업의 사회책임경영 연구를 벌써 3년째 진행하고 있다. 그런데 여전히 말끔히 풀지 못한 의문이 있다. 늘 한국 언론과 기업들은 '서구에서...

  • HERI
  • 2014.11.12
  • 조회수 4639

[착한경제] 스트레스, 내 안을 보라

등록: 2010.11.22 수정: 2014.11.12 '아! 스트레스 받아' 직장인이면 일주일에 몇 번 쯤은 내뱉는 말이다. 우리는 스트레스가 세계 최고 수준인 나라에 살고 있다. 얼마 전 발표된 ‘필립스 헬스 앤 웰빙 지수’에 따르면 G20...

  • HERI
  • 2014.11.12
  • 조회수 4831

[착한경제] '벤처 박사' 안철수의 성공론

등록: 2010.11.18 수정: 2014.11.12 안철수(카이스트 석좌교수)는 올바른 사람이다. 그는 원래 올바른 창업가였다. 컴퓨터 바이러스백신이라는, 세상이 없던 제품을 만드는 '안철수연구소'라는 벤처기업을 세웠고, 성공시켰다. 편법 없...

  • HERI
  • 2014.11.12
  • 조회수 4647

[착한경제-아시아미래포럼]사회적기업, 국제협력에 나서야 하는 이유

등록: 2010.11.18 수정: 2014.11.12 동아시아 3국(이하 한중일)은 상당한 경제적 성장을 이뤄냈다. 20세기 중반 패전국으로 대부분의 산업기반을 상실했던 일본은 높은 수준의 기술과 생산성에 기반한 성장을 거듭해 아시아의 거의 ...

  • HERI
  • 2014.11.12
  • 조회수 5256

[착한경제-아시아미래포럼] 사회적기업, 해외원조의 새로운 길

등록: 2010.11.18 수정: 2014.11.12 동아시아 3국(이하 한중일)은 상당한 경제적 성장을 이뤄냈다. 20세기 중반 패전국으로 대부분의 산업기반을 상실했던 일본은 높은 수준의 기술과 생산성에 기반한 성장을 거듭해 아시아의 거의 ...

  • HERI
  • 2014.11.12
  • 조회수 5730

[착한경제-아시아미래포럼] 더 나은 기업이 가능하려면

등록: 2010.11.17 수정: 2014.11.11 지난 주 열린 주요 20개국 정상회의(G20)에 대해 논란도 많았지만, 나는 내심 기대를 갖고 있었다. 주요국 경영자들이 금융위기 이전의 과거 경영 관행에서 탈피하겠다는 반성이라도 하지 않을...

  • HERI
  • 2014.11.11
  • 조회수 4906

[착한경제-아시아미래포럼] 장하준이 삼류 경제학자?

등록: 2010.11.16 수정: 2014.11.11 “삼류 잡지 에디터가 무슨 …” 장하준 교수(케임브리지대 경제학과)에 대해 서울대의 한 교수가 던진 말이라 한다. ‘삼류잡지’란 장 교수가 한 때 편집자(editor)로 활동했던 ‘케임브리지 ...

  • HERI
  • 2014.11.11
  • 조회수 6195

[착한경제-아시아미래포럼]한중일 미래 정책, 누가 이끌까?

등록: 2010.11.15 수정: 2014.11.11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아시아적 가치와 질서, 비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중·일 싱크탱크의 역할이 새삼 부각되고 있다. 정책이 위로부터 일방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시장과 ...

  • HERI
  • 2014.11.11
  • 조회수 5304

[착한경제-아시아미래포럼] G20를 넘어서려면

등록: 2010.11.12 수정: 2014.11.11 10월 초, <조선일보> 1면을 보고는 큰 한숨을 쉰 일이 있습니다. <조선일보>는 10월 '한중일 경제대전'이라는 제목의 시리즈를 진행했습니다. 첫 회 제목은 이렇습니다. "1등 하던 造船業, 中에...

  • HERI
  • 2014.11.11
  • 조회수 5035

[착한경제] 독립성은 싱크탱크의 근본

등록: 2010.11.04 수정: 2014.11.11 이 글은 왕후이야오(王辉耀)가 상해금융법률연구원(上海金融与法律研究院)이 운영하는 <思想库>에 2010년 9월 7일자로 게재한 것이다(그러나 글이 쓰여진 시점은 2009년으로 보인다). <사상고>는 중국 ...

  • HERI
  • 2014.11.11
  • 조회수 5821

[착한경제] 김성근 리더십

등록: 2010.11.03 수정: 2014.11.11 경영학 책에서는 유능한 리더를 설명할 때,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해 설명하곤 한다. 이를 테면, 위기관리에 탁월한 역량을 갖고 있는 위기관리형 리더, 조직 구성원들에게 명확한 비전을 제시...

  • HERI
  • 2014.11.11
  • 조회수 5899

[착한경제] 중국 싱크탱크의 국제적 영향력(1)

등록: 2010.11.01 수정: 2014.11.11 이 글은 왕후이야오(王辉耀)가 상해금융법률연구원(上海金融与法律研究院)이 운영하는 <思想库>에 2010년 9월 7일자로 게재한 것이다(그러나 글이 쓰여진 시점은 2009년으로 보인다). <사상고>는 중국 ...

  • HERI
  • 2014.11.11
  • 조회수 6514

[착한경제] 무상급식과 엄마의 도시락

등록: 2010.10.29 수정: 2014.11.11 지난 6월 지방 선거를 뜨겁게 달궜던 무상급식에 대한 로드맵이 일부 지자체를 중심으로 속속 발표되고 있다. 사회복지선진국이라 일컫는 스웨덴과 핀란드, 그리고 영국과 미국 등 서구 선진국...

  • HERI
  • 2014.11.11
  • 조회수 5654

[착한경제] 사랑한다면 프랑스처럼

등록: 2010.10.21 수정: 2014.11.11 정부의 연금 개혁안에 반대하는 프랑스 시위대에 고등학생들도 가세했다고 한다. 연금 받을 만큼 늙을 것이란 생각은 꿈에도 안 들 나이에 그런 정치의식이 있다는 것이 새삼스럽다. 그래도 프...

  • HERI
  • 2014.11.11
  • 조회수 4687

[착한경제] ‘값싼 제품’의 위험한 진실

등록: 2010.10.15 수정: 2014.11.11 ‘값 싸고 질 좋은 상품’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지갑을 여는 결정적인 기준입니다. 얼마 전 이마트의 ‘싸고 큰 피자’에 소비자들의 반응이 뜨거웠습니다. 지난 8월 한 달 성수점에서만 6천개...

  • HERI
  • 2014.11.11
  • 조회수 4749

[착한경제] 대형마트 김치값이 오른 진짜 이유는?

등록: 2010.10.14 수정: 2014.11.11 편의점이나 대형 할인마트에서 파는 이른바 상품김치 가격이 올랐다. 회사별로 크게는 20%, 평균 10% 가량이 올랐다. 배추, 무, 고추 등 김치에 들어가는 식재료 가격이 적게는 두 배, 많게...

  • HERI
  • 2014.11.11
  • 조회수 5515

[착한경제] 노동연구원을 양대노총의 통합연구소로?

등록: 2010.10.14 수정: 2014.11.11 현 정부 들어 국책연구소의 독립성 훼손 논란이 끊이질 않았다. 그 정점에는 한국노동연구원의 파행이 있을 것이다. 노동연구원장의 '반노동자적' 발언과 행동들이 계속되었고, 연구원 노조와의 ...

  • HERI
  • 2014.11.11
  • 조회수 6911

[착한경제] 디지털 미디어와 화목하게 살려면

등록: 2010.10.12 수정: 2014.11.11 주말을 덕유산 자연휴양림에서 보냈다. 얼마 전 까지만 해도 가기 힘든 오지의 대명사였던 무주구천동 부근의 숲 속에서 울창한 나무가 내뿜는 상쾌한 기운을 받으며 청명한 가을을 만끽했다. ...

  • HERI
  • 2014.11.11
  • 조회수 5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