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칼럼

등록: 2010.09.10 수정: 2014.11.11


이 글은 일본의 대표적 싱크탱크 연구자인 스즈키 다카히로(죠사이 국제대학대학원 객원교수)의 책 <일본에 민주주의를 일으켜 세운다(日本に「民主主義」を起業する : 自伝的シンクタンク論、第一書林、2007)내용 중 일부(pp.235-238)를 번역한 것이다.  지난 20년간 다양한 일본 싱크탱크들에 직접 참여하고,  운영해 오면서 스즈키 다카히로는 "일본 싱크탱크의 특징과 전망"에 대한 실천적, 이론적 글들을 꾸준히 발표해 왔다. 이미 2006년 희망제작소 창립 기념 국제심포지움에서 '일본 싱크탱크의 역사와 현황'에 대해 발표하기도 했던 그는, 올 12월로 예정되어 있는 한겨레신문 주최의 <아시아미래포럼>의 '아시아 싱크탱크' 세션에도 참가하여 발표할 예정이다(중국 싱크탱크에 관해서 <착한경제> 블로그에서 여러 차례 소개했던 난카이대학 쭈쉬펑 교수가, 한국 싱크탱크에 대해선 내가 발표할 예정이다). 일본 싱크탱크의 특징에 대해선 <헤리 리뷰> 14호 '세계 싱크탱크 톺아보기' 기사를 참조하길 바란다.  


스즈키 교수는 이 책에서 일본 싱크탱크의 역사와 개인의 '싱크탱크 경험'을 정리하고, 현재 자신이 속해 있는 '싱크탱크 2005, 일본'을 중심으로 한 '정당계 싱크탱크'의 가능성을 살핀다. 여기서 번역/소개하는 부분은 일본의 싱크탱크가 다른 나라들에 비해 특별히 약한 구조적 요인, 특히 '지적 인프라의 결여' 부분에 대한 것이다. 일본의 '정책지식 생태계' 특징을 큰 틀에서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다. 한국 상황과도 매우 유사하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번역은  홍일표가 하였다. 번역게재를 허락해 준 스즈키 교수와 제일서림 측에 감사 드린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왜 일본에는 싱크탱크가 불가능한가?


일본에 본격적인 싱크탱크가 불가능한 것은 다양한 분양의 지적 인프라가 존재하기 않기 때문이다. 우선 그 몇가지 내용들을 살펴보려 한다.


지적 인프라의 결여


(1)官(행정조직)에 있어서의 결여


일본의 관(행정조직)은, 일상적 업무가 바쁘고, 정책활동보다는 교섭을 위한 사전조작 등의 조정업무가 중심이다. 그로 인해 정책대안을 만들기 위한 연구 및 조사활동은 그다지 중점을 두지 않는 상황이다. 또 정책연구를 활용하여 정책형성을 지원할 수 있는 체제 역시 그다지 충분하지 않다.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조직은 많이 설립되어 있으나, 출장소 직원들에 의존하는 케이스가 대부분이라 이들 역시 충분히 제기능을 하고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이후 지방분권화가 진전된다면, 정책연구조직의 필요성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


(2)政(입법)에 있어서의 결여


중의원과 참의원에는 국회 스탭들이 있다. 또 국회도서관에도 조사 스탭이 있다.  그리고 국회의원에게는, 정책담당비서를 포함하여 공식비서가 3명씩 허용되고 있지만, 정책활동 측면에서 본다면 충분하다고 할 수 없다. 정당에도 전속 스탭이 있고, 자민당이나 민주당은 각 정당계 싱크탱크를 창설하였다. 더욱이 의원내각제에서는 정치가 행정을 콘트롤 할 수 있기 위한 정치주도의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렇듯 전체로서는 정치주도의 경향이 있다.  하지만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행정과 입법에서 정책활동에 관한 지원스탭의 숫자는, 220 대 6 정도라고 한다. 이러한 상황을 염두에 두면, 행정도 정책의 지적 인프라가 충분치는 않지만, 정(입법)은 더욱 불충분하다는 것이 명확해 진다.


(3)司法에 있어서의 결여


삼권분립에서는 사법에 의한 입법기능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일본에서 사법은 정치판단이나 적극적 입법기능을 회피하려는 경향이 매우 강하다. 결과적으로는 정책의 지적 인프라로써의 역할을 하지 않고 있는 셈이다.


(4)民에 있어서의 결여


민간에서는 정책을 체크하기 위한 역할이나, 시민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한 지적 인프라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한 상징이 바로 민간비영리독립 싱크탱크의 부재라 할 수 있다. 민주주의 요체는, 정책의 입법자나 집행자가 아무리 우수하더라도, 그 이외의, 특히 시민적 감시가 이루어지고, 민간으로부터의 정책대안을 만들어 제출할 수 있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싱크탱크의 개척자적 존재인 브루킹스연구소의 설립취지, 목적에도 그러한 생각이 잘 드러나 있다.


(5)대학의 정책적 '지적 인프라 결여'


일본 대학에서는 기초연구가 주류이고, 응용학문 인 정책지향적 연구는 제대로 평가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많은 정책관계학부나 대학원이 만들어졌지만, 실제 정책형성에 도움이 되는 연구나 정책인재 육성에 필요한 체제가 되지 못하고 있고, 그 인프라도 불충분하다.


(6)저널리즘, 미디어에 있어서의 결여


일본의 저널리즘, 미디어에서는, 정치를 생각함에 있어 정책은 중시되지 않고, 정국이 중심이 된다. 그로 인해 미디어가 정책의 지적 인프라 역할을 수행하는 면에서는 충분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


(7)네트워크의 부재


관(행정), 정(입법), 사법, 민, 학, 미디어 사이의 네트워크가 효과적으로 기능한다면, 각 분야의 기능에서 불충분한 부분을 보완하는 것이 가능하겠지만, 이 역시 충분하지 않다. 여기서 말하는 네트워크라 하는 것은 정보의 흐람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교류의 장, 인적 교류 등도 포함하는 것이다. 이 네트워크의 부재 문제는 앞서 말한 여섯가지 결여 문제와 연동되어 있다.


* [일본에 '민주주의'를 일으켜 세운다]는 2007년 출판이 맞습니다. 위의 표 출처인용이 잘못되었습니다.


홍일표 한겨레경제연구소 연구위원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착한경제-아시아미래포럼] 중국 기업가에게는 ‘원죄의식’이 있다

등록: 2010.11.26 수정: 2014.11.12 “중국 민간기업 경영자들과 얘기하다 보면 일종의 ‘원죄의식’ 같은 게 있다는 걸 발견합니다. 다른 사람의 희생을 발판으로 사업을 일으키고, 법을 어겨가면서 돈을 번 어두운 기억 때문이죠...

  • HERI
  • 2014.11.12
  • 조회수 4685

[착한경제] 그 분이 오신다고요?!

등록: 2010.11.25 수정: 2014.11.12 대학시절, 함께 스터디를 하던 멤버 중에 똑똑하고 모범적인 선배가 있었습니다. 인자하고 현명해서 상담 신청을 하면 마치 자신의 일인냥 정성껏 조언해주곤 했습니다. 머리도 좋아서 공부를 ...

  • HERI
  • 2014.11.12
  • 조회수 5500

[착한경제] 한∙중∙일 기업은 서구보다 사회책임경영이 뒤떨어졌을까?

등록: 2010.11.23 수정: 2014.11.12 한겨레경제연구소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기업의 사회책임경영 연구를 벌써 3년째 진행하고 있다. 그런데 여전히 말끔히 풀지 못한 의문이 있다. 늘 한국 언론과 기업들은 '서구에서...

  • HERI
  • 2014.11.12
  • 조회수 4639

[착한경제] 스트레스, 내 안을 보라

등록: 2010.11.22 수정: 2014.11.12 '아! 스트레스 받아' 직장인이면 일주일에 몇 번 쯤은 내뱉는 말이다. 우리는 스트레스가 세계 최고 수준인 나라에 살고 있다. 얼마 전 발표된 ‘필립스 헬스 앤 웰빙 지수’에 따르면 G20...

  • HERI
  • 2014.11.12
  • 조회수 4831

[착한경제] '벤처 박사' 안철수의 성공론

등록: 2010.11.18 수정: 2014.11.12 안철수(카이스트 석좌교수)는 올바른 사람이다. 그는 원래 올바른 창업가였다. 컴퓨터 바이러스백신이라는, 세상이 없던 제품을 만드는 '안철수연구소'라는 벤처기업을 세웠고, 성공시켰다. 편법 없...

  • HERI
  • 2014.11.12
  • 조회수 4647

[착한경제-아시아미래포럼]사회적기업, 국제협력에 나서야 하는 이유

등록: 2010.11.18 수정: 2014.11.12 동아시아 3국(이하 한중일)은 상당한 경제적 성장을 이뤄냈다. 20세기 중반 패전국으로 대부분의 산업기반을 상실했던 일본은 높은 수준의 기술과 생산성에 기반한 성장을 거듭해 아시아의 거의 ...

  • HERI
  • 2014.11.12
  • 조회수 5256

[착한경제-아시아미래포럼] 사회적기업, 해외원조의 새로운 길

등록: 2010.11.18 수정: 2014.11.12 동아시아 3국(이하 한중일)은 상당한 경제적 성장을 이뤄냈다. 20세기 중반 패전국으로 대부분의 산업기반을 상실했던 일본은 높은 수준의 기술과 생산성에 기반한 성장을 거듭해 아시아의 거의 ...

  • HERI
  • 2014.11.12
  • 조회수 5730

[착한경제-아시아미래포럼] 더 나은 기업이 가능하려면

등록: 2010.11.17 수정: 2014.11.11 지난 주 열린 주요 20개국 정상회의(G20)에 대해 논란도 많았지만, 나는 내심 기대를 갖고 있었다. 주요국 경영자들이 금융위기 이전의 과거 경영 관행에서 탈피하겠다는 반성이라도 하지 않을...

  • HERI
  • 2014.11.11
  • 조회수 4906

[착한경제-아시아미래포럼] 장하준이 삼류 경제학자?

등록: 2010.11.16 수정: 2014.11.11 “삼류 잡지 에디터가 무슨 …” 장하준 교수(케임브리지대 경제학과)에 대해 서울대의 한 교수가 던진 말이라 한다. ‘삼류잡지’란 장 교수가 한 때 편집자(editor)로 활동했던 ‘케임브리지 ...

  • HERI
  • 2014.11.11
  • 조회수 6195

[착한경제-아시아미래포럼]한중일 미래 정책, 누가 이끌까?

등록: 2010.11.15 수정: 2014.11.11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아시아적 가치와 질서, 비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중·일 싱크탱크의 역할이 새삼 부각되고 있다. 정책이 위로부터 일방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시장과 ...

  • HERI
  • 2014.11.11
  • 조회수 5304

[착한경제-아시아미래포럼] G20를 넘어서려면

등록: 2010.11.12 수정: 2014.11.11 10월 초, <조선일보> 1면을 보고는 큰 한숨을 쉰 일이 있습니다. <조선일보>는 10월 '한중일 경제대전'이라는 제목의 시리즈를 진행했습니다. 첫 회 제목은 이렇습니다. "1등 하던 造船業, 中에...

  • HERI
  • 2014.11.11
  • 조회수 5035

[착한경제] 독립성은 싱크탱크의 근본

등록: 2010.11.04 수정: 2014.11.11 이 글은 왕후이야오(王辉耀)가 상해금융법률연구원(上海金融与法律研究院)이 운영하는 <思想库>에 2010년 9월 7일자로 게재한 것이다(그러나 글이 쓰여진 시점은 2009년으로 보인다). <사상고>는 중국 ...

  • HERI
  • 2014.11.11
  • 조회수 5821

[착한경제] 김성근 리더십

등록: 2010.11.03 수정: 2014.11.11 경영학 책에서는 유능한 리더를 설명할 때,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해 설명하곤 한다. 이를 테면, 위기관리에 탁월한 역량을 갖고 있는 위기관리형 리더, 조직 구성원들에게 명확한 비전을 제시...

  • HERI
  • 2014.11.11
  • 조회수 5899

[착한경제] 중국 싱크탱크의 국제적 영향력(1)

등록: 2010.11.01 수정: 2014.11.11 이 글은 왕후이야오(王辉耀)가 상해금융법률연구원(上海金融与法律研究院)이 운영하는 <思想库>에 2010년 9월 7일자로 게재한 것이다(그러나 글이 쓰여진 시점은 2009년으로 보인다). <사상고>는 중국 ...

  • HERI
  • 2014.11.11
  • 조회수 6514

[착한경제] 무상급식과 엄마의 도시락

등록: 2010.10.29 수정: 2014.11.11 지난 6월 지방 선거를 뜨겁게 달궜던 무상급식에 대한 로드맵이 일부 지자체를 중심으로 속속 발표되고 있다. 사회복지선진국이라 일컫는 스웨덴과 핀란드, 그리고 영국과 미국 등 서구 선진국...

  • HERI
  • 2014.11.11
  • 조회수 5654

[착한경제] 사랑한다면 프랑스처럼

등록: 2010.10.21 수정: 2014.11.11 정부의 연금 개혁안에 반대하는 프랑스 시위대에 고등학생들도 가세했다고 한다. 연금 받을 만큼 늙을 것이란 생각은 꿈에도 안 들 나이에 그런 정치의식이 있다는 것이 새삼스럽다. 그래도 프...

  • HERI
  • 2014.11.11
  • 조회수 4687

[착한경제] ‘값싼 제품’의 위험한 진실

등록: 2010.10.15 수정: 2014.11.11 ‘값 싸고 질 좋은 상품’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지갑을 여는 결정적인 기준입니다. 얼마 전 이마트의 ‘싸고 큰 피자’에 소비자들의 반응이 뜨거웠습니다. 지난 8월 한 달 성수점에서만 6천개...

  • HERI
  • 2014.11.11
  • 조회수 4749

[착한경제] 대형마트 김치값이 오른 진짜 이유는?

등록: 2010.10.14 수정: 2014.11.11 편의점이나 대형 할인마트에서 파는 이른바 상품김치 가격이 올랐다. 회사별로 크게는 20%, 평균 10% 가량이 올랐다. 배추, 무, 고추 등 김치에 들어가는 식재료 가격이 적게는 두 배, 많게...

  • HERI
  • 2014.11.11
  • 조회수 5515

[착한경제] 노동연구원을 양대노총의 통합연구소로?

등록: 2010.10.14 수정: 2014.11.11 현 정부 들어 국책연구소의 독립성 훼손 논란이 끊이질 않았다. 그 정점에는 한국노동연구원의 파행이 있을 것이다. 노동연구원장의 '반노동자적' 발언과 행동들이 계속되었고, 연구원 노조와의 ...

  • HERI
  • 2014.11.11
  • 조회수 6911

[착한경제] 디지털 미디어와 화목하게 살려면

등록: 2010.10.12 수정: 2014.11.11 주말을 덕유산 자연휴양림에서 보냈다. 얼마 전 까지만 해도 가기 힘든 오지의 대명사였던 무주구천동 부근의 숲 속에서 울창한 나무가 내뿜는 상쾌한 기운을 받으며 청명한 가을을 만끽했다. ...

  • HERI
  • 2014.11.11
  • 조회수 5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