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칼럼

[착한경제] 경제와 행복, 어떤 관계일까

HERI 2014. 11. 10
조회수 5138

등록: 2010.07.13 수정: 2014.11.10


“부산의 한 복합쇼핑몰이 개장하는 날, 붉은색 속옷을 사기 위해 몰려든 사람들 때문에 속옷 매장 전체가 아수라장이 됐다는 기사를 읽는다. 붉은색 속옷만 해도 5천여만 원어치가 삽시간에 팔려 나갔고 그 외의 여성 속옷도 브랜드별로 1억 원씩 매출을 올렸다니, 놀랍다. 속옷을 사러 몰려든 사람들의 사진 속엔 남자들, 젊은이들도 많다. 이유는 ‘개업 점포에서 속옷을 사 옷장에 걸어두기만 해도 온 가족에게 행운이 온다’는 속설 때문이라는 것이다.”


<산다는 것은>에서 작가 박범신은 요행수에 대한 기대심리가 높아지는 우리네 모습을 이 사례를 통해 반추합니다. ‘사서 걸어놓기만 해도 가족들이 다 행복해진다는 데 누군들 그 ‘속옷’을 사고 싶지 않겠는가’라며 작가는 사는 일이 팍팍할수록 이런 요행 기대심리가 늘어나는 것은 인지상정이라고 말합니다.


문제는 이런 사회적 현상들 배후에 오로지 경제 불황만이 있다고 맹신하는 데 있습니다.  작가는 특히 정치 지도층이나 지식인, 나아가 성직자들조차 경제만 좋아지면 삶이 충만해지고 사회 갈등과 분열까지 다 봉합될 거라고 믿는다는 점이 정말 우려스럽다고 말합니다.


과연  경제만 좋아지면 모든 비정상적 사회현상들이 극복될 수 있을까요.  작가는 경제만을 제일의 가치로 여기고 오로지 그것만을 우러러보라고 부추기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봅니다. 경제는 행복의 절대적 필요충분조건이 아니라 상대적 필요조건이기 때문이죠. "우리가 열심히 일해 돈을 버는 것은 최종적으로 행복해지기 위해서지, 자본의 신을 제단 위에 모셔놓고 그 밑에 꿇어앉아 머리를 조아리기 위해서가 아니다."


누구나 행복한 삶을 살고 싶어합니다. 경제는 그 길로 가기 위한 하나의 방편일 뿐이라고 작가는  자신있게 말합니다. 그런데도 경제가 아니면 행복해지는 길이 없는 것처럼 몰아가는 것은 최종적으로 우리를 지배하는 데 자본을 통하는 것이 편리하고 또 저항이 없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 지금의 위기는 경제만의 위기가 아니다. 이미 경제위기가  곧 삶의 총체적 위기라고 생각하도록 오랫동안 길들여져 온 우리는, 이 경제 불황을 일시적으로 극복한다 해도 확대재생산되는 욕망을 계속 따라가야 하기 때문에, 여전히 위기라고 느낄 것이다."


작가는 행복해지는 방법을 옛 성현의 지혜로운 말씀에서 찾습니다.   " '행복은 자족 속에 있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은 행복이 자기정체성을 찾는 데서서 비롯된다는 점을 알리고 있고 '남을 행복하게 하는 자만이 행복을 얻는다'는 플라톤의 말은 행복이 나눔과 헌신과 사랑에서 시작된다는 걸 암시하고 있으며 '행복은 번뇌의 소명에 있다'는 <법구경>의 한마디는 행복이 정신적인 안락에서 온다는 것을 강력히 시사하고 있다."


올 들어 각종 경제지표에 청신호가 켜졌습니다. 하지만 물가상승 등으로 서민들의 삶은 더 팍팍해져 '두 얼굴의 한국경제'라는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심지어 경제가 좋아지고 있다는 뉴스가 딴 나라 소식처럼 들린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경제만 나아지면 모든 것이 좋아진다는 '경제가 만사'라는 생각의 틀을 바꿔야 우리는 행복한 삶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입니다.


이현숙 한겨레경제연구소 연구위원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착한경제-아시아미래포럼] 장하준이 삼류 경제학자?

등록: 2010.11.16 수정: 2014.11.11 “삼류 잡지 에디터가 무슨 …” 장하준 교수(케임브리지대 경제학과)에 대해 서울대의 한 교수가 던진 말이라 한다. ‘삼류잡지’란 장 교수가 한 때 편집자(editor)로 활동했던 ‘케임브리지 ...

  • HERI
  • 2014.11.11
  • 조회수 6043

[착한경제-아시아미래포럼]한중일 미래 정책, 누가 이끌까?

등록: 2010.11.15 수정: 2014.11.11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아시아적 가치와 질서, 비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중·일 싱크탱크의 역할이 새삼 부각되고 있다. 정책이 위로부터 일방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시장과 ...

  • HERI
  • 2014.11.11
  • 조회수 5167

[착한경제-아시아미래포럼] G20를 넘어서려면

등록: 2010.11.12 수정: 2014.11.11 10월 초, <조선일보> 1면을 보고는 큰 한숨을 쉰 일이 있습니다. <조선일보>는 10월 '한중일 경제대전'이라는 제목의 시리즈를 진행했습니다. 첫 회 제목은 이렇습니다. "1등 하던 造船業, 中에...

  • HERI
  • 2014.11.11
  • 조회수 4805

[착한경제] 독립성은 싱크탱크의 근본

등록: 2010.11.04 수정: 2014.11.11 이 글은 왕후이야오(王辉耀)가 상해금융법률연구원(上海金融与法律研究院)이 운영하는 <思想库>에 2010년 9월 7일자로 게재한 것이다(그러나 글이 쓰여진 시점은 2009년으로 보인다). <사상고>는 중국 ...

  • HERI
  • 2014.11.11
  • 조회수 5667

[착한경제] 김성근 리더십

등록: 2010.11.03 수정: 2014.11.11 경영학 책에서는 유능한 리더를 설명할 때,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해 설명하곤 한다. 이를 테면, 위기관리에 탁월한 역량을 갖고 있는 위기관리형 리더, 조직 구성원들에게 명확한 비전을 제시...

  • HERI
  • 2014.11.11
  • 조회수 5675

[착한경제] 중국 싱크탱크의 국제적 영향력(1)

등록: 2010.11.01 수정: 2014.11.11 이 글은 왕후이야오(王辉耀)가 상해금융법률연구원(上海金融与法律研究院)이 운영하는 <思想库>에 2010년 9월 7일자로 게재한 것이다(그러나 글이 쓰여진 시점은 2009년으로 보인다). <사상고>는 중국 ...

  • HERI
  • 2014.11.11
  • 조회수 6308

[착한경제] 무상급식과 엄마의 도시락

등록: 2010.10.29 수정: 2014.11.11 지난 6월 지방 선거를 뜨겁게 달궜던 무상급식에 대한 로드맵이 일부 지자체를 중심으로 속속 발표되고 있다. 사회복지선진국이라 일컫는 스웨덴과 핀란드, 그리고 영국과 미국 등 서구 선진국...

  • HERI
  • 2014.11.11
  • 조회수 5451

[착한경제] 사랑한다면 프랑스처럼

등록: 2010.10.21 수정: 2014.11.11 정부의 연금 개혁안에 반대하는 프랑스 시위대에 고등학생들도 가세했다고 한다. 연금 받을 만큼 늙을 것이란 생각은 꿈에도 안 들 나이에 그런 정치의식이 있다는 것이 새삼스럽다. 그래도 프...

  • HERI
  • 2014.11.11
  • 조회수 4578

[착한경제] ‘값싼 제품’의 위험한 진실

등록: 2010.10.15 수정: 2014.11.11 ‘값 싸고 질 좋은 상품’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지갑을 여는 결정적인 기준입니다. 얼마 전 이마트의 ‘싸고 큰 피자’에 소비자들의 반응이 뜨거웠습니다. 지난 8월 한 달 성수점에서만 6천개...

  • HERI
  • 2014.11.11
  • 조회수 4599

[착한경제] 대형마트 김치값이 오른 진짜 이유는?

등록: 2010.10.14 수정: 2014.11.11 편의점이나 대형 할인마트에서 파는 이른바 상품김치 가격이 올랐다. 회사별로 크게는 20%, 평균 10% 가량이 올랐다. 배추, 무, 고추 등 김치에 들어가는 식재료 가격이 적게는 두 배, 많게...

  • HERI
  • 2014.11.11
  • 조회수 5357

[착한경제] 노동연구원을 양대노총의 통합연구소로?

등록: 2010.10.14 수정: 2014.11.11 현 정부 들어 국책연구소의 독립성 훼손 논란이 끊이질 않았다. 그 정점에는 한국노동연구원의 파행이 있을 것이다. 노동연구원장의 '반노동자적' 발언과 행동들이 계속되었고, 연구원 노조와의 ...

  • HERI
  • 2014.11.11
  • 조회수 6776

[착한경제] 디지털 미디어와 화목하게 살려면

등록: 2010.10.12 수정: 2014.11.11 주말을 덕유산 자연휴양림에서 보냈다. 얼마 전 까지만 해도 가기 힘든 오지의 대명사였던 무주구천동 부근의 숲 속에서 울창한 나무가 내뿜는 상쾌한 기운을 받으며 청명한 가을을 만끽했다. ...

  • HERI
  • 2014.11.11
  • 조회수 5112

[착한경제] 한-EU FTA 읽는 법

등록: 2010.10.11 수정: 2014.11.11 한국과 유럽연합(EU)이 자유무역협정(FTA)에 서명했다. 언론에는 국책연구소 보고서를 인용한 전망이 넘쳐난다. 국민총생산(GDP)가 10년간 5.6%가 늘어난다는 둥, 무역수지 144억달러 흑자 효과가 ...

  • HERI
  • 2014.11.11
  • 조회수 4904

[착한경제] 소비, 어떤 기준으로 하시나요?

등록: 2010.10.06 수정: 2014.11.11 “본인은 소비를 실질적으로 하나, 이념적으로 하나” 최근 이마트 피자가 인기리에 판매되면서 트위터에서 벌어진 일부 누리꾼들과의 설전 중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이 되물은 말입니다. 정용진 ...

  • HERI
  • 2014.11.11
  • 조회수 5748

[착한경제] 부동산 문제의 근원적 해법은?

등록: 2010.10.05 수정: 2014.11.11 부동산 시장을 살리겠다며 정부가 야심차게 내놓았던 ‘8.29대책’이 애꿎은 서민들만 잡고 있습니다. 매매시장은 살리지도 못하면서 되레 전셋값 상승만 더 부추겼다는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습니...

  • HERI
  • 2014.11.11
  • 조회수 4306

[착한경제] 윤리적 소비? 정용진, 조국, 공병호에 답하다

등록: 2010.09.29 수정: 2014.11.11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 조국 서울대 교수. 공병호 공병호경영연구소장. 세 명은 각각 한국의 대표 유통기업의 최고경영자, 인권과 법에 대한 국내 최고 논객, 대중에게 가장 많이 사랑받는 자...

  • HERI
  • 2014.11.11
  • 조회수 7220

[착한경제] '남자의 자격' 박칼린의 리더십

등록: 2010.09.27 수정: 2014.11.11 커다란 강당을 메운 관객들 앞에서 합창이 끝나자마자 합창단은 눈물바다가 됐다. 한국방송의 예능프로그램 '남자의 자격'의 '남자 그리고 하모니'의 마지막, 여덟 번째 편에서 지켜본 광경이었...

  • HERI
  • 2014.11.11
  • 조회수 5964

[착한경제] “위기 다시 오지만 살 길은 있다”

등록: 2010.09.16 수정: 2014.11.11 “우리는 위험한 시대에 살고 있다. 구조적인 문제점들이 여전히 위기를 불러오고 있으며, 위기의 여파로 전 세계 국가와 경제가 흔들리고 있다. 국가의 적절한 개입으로 금융시스템의 신뢰성이...

  • HERI
  • 2014.11.11
  • 조회수 4596

[착한경제] 왜 일본에는 싱크탱크가 불가능한가?

등록: 2010.09.10 수정: 2014.11.11 이 글은 일본의 대표적 싱크탱크 연구자인 스즈키 다카히로(죠사이 국제대학대학원 객원교수)의 책 <일본에 민주주의를 일으켜 세운다(日本に「民主主義」を起業する : 自伝的シンクタンク論、第一書...

  • HERI
  • 2014.11.11
  • 조회수 6599

[착한경제] 돈, 어떻게 바라봐야 하나?

등록: 2010.09.07 수정: 2014.11.11 “부자들의 배를 불려주면 물이 아래로 흐르듯이 언젠가는 돈이 똑똑똑 한 방울씩 지옥까지 떨어져서 가난한 사람들의 바짝 마른 입술을 적셔줄 것이다. 그러니 부자들이 더 많이 돈을 쓸 수...

  • HERI
  • 2014.11.11
  • 조회수 4579